전체기사

2023.12.11 (월)

  • 흐림동두천 9.0℃
  • 흐림강릉 10.6℃
  • 서울 12.2℃
  • 구름많음대전 13.8℃
  • 구름많음대구 12.1℃
  • 연무울산 11.1℃
  • 광주 13.9℃
  • 흐림부산 13.7℃
  • 흐림고창 10.2℃
  • 제주 16.2℃
  • 흐림강화 9.7℃
  • 흐림보은 12.5℃
  • 흐림금산 13.1℃
  • 흐림강진군 13.6℃
  • 흐림경주시 8.2℃
  • 흐림거제 13.6℃
기상청 제공

문화

화가 ‘양숙’ 개인전 ‘사랑이 좋아요’, 11일부터 인사아트프라자갤러리서 열려

URL복사

[시사뉴스 이운길 기자]  오는 11일부터 17일까지 화가 양숙이 인사아트프라자갤러지 4층에서 개인전을 연다. 화가 양숙은 꽃으로 인생과 사랑, 평화, 행복을 이야기하는 작가다. 30년간 유화만을 그리다 아크릴로 표현기법을 바꿔 제 2의 인생을 펼쳐나가고 있다.

 

이번 개인전은 그녀의 33회차 행사다. 초대전부터 시작해 단체행사까지 포함하면 300회가 넘는다. 주로 재능기부를 목표로 다른 사람들을 돕는 방식의 개인전을 치러왔지만, 이번에는 다르다. 오롯이 자신을 표현하는 방식으로, 60세에도 여전히 역동적이고 아름다운 시절을 보내고 있음을 드러냈다.

 

양숙 작가는 “이번 전시는 60부터 제2의 인생을 살고 있는 ‘나’를 중요하게 생각해 만들어낸 작품을 전시한다. 이번에 선보이는 작품들은 나의 캐릭터로, 60이라는 나이에서도 삶에 대한 적극적인 자세를 넘어 도전하고, 해낼 수 있다는 역동적인 모델을 표현하고 싶었다”고 밝혔다.

 

이번 전시회 주제는 ‘사랑이 좋아요’다. 꽃이라는 소재를 통해 일기형의 작품들을 선보인다. 

 

 

양숙 작가는 제2의 인생의 시작을 60부터라고 정했다. 이를 표현하기 위해 꽃을 소재로 일기형의 작품을 만들어 나가고 있다. 

 

양숙 작가는 “꽃의 다양한 칼라와 아름다운 색상들을 활용해 꽃의 순수함이 만들어 내는 행복감과 사랑을 더 많은 이들에게 전달해 주고 싶다”고 전했다.

 

 

특히 올해는 코로나19로 인해 전 세계 사람들이 힘들고 암울한 시간을 보내고 있는 가운데, ‘사랑’이라는 매개체의 중요성을 더 강조하고 싶었단다. 60세가 된 자신에게도 제2의 인생이 평온하고 아름답게 펼쳐지고 있듯이, 전 세계 사람들의 슬픔과 우울도 ‘사랑’이라는 결속력을 통해 힘든 시기를 제대로 헤쳐나갈 수 있기를 바란다는 것.

 

그녀의 올해 작품들 역시 예년과 달리 시기나 환경적으로 어려움을 겪고 나온 것들이다. 새로운 도전이 이어지는 중이라 완성하는데 걸리는 시간도 길었다. 그럼에도 작품 일기는 계속되고, 앞으로도 계속 이어지고 세상에 전달할 것이라는 것이 그녀의 목표다.

 

양숙 작가는 이번에 열리는 개인전을 소개하며, “나의 작품들에는 언제나 성장 중에 있기 때문에 부족한 부분이 드러난다. 완성하지 못한 서투른 마침표를 꾸준히 이뤄나가는 것, 그것이 우리의 인생이며 나의 정체성이다”라고 소감을 덧붙였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5개월만에 또 다시 등장한 ‘엄석대’ 논란
지난 3월 국민의힘 3·8 전당대회를 앞두고 이준석 전 대표가 윤석열 대통령을 이문열 소설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의 주인공인 독재자 엄석대로 빗댄데 이어 5개월만에 또 다시 국민의힘 의원들과 내각 일부장관들이 대통령을 엄석대로 만들고 있다는 비판이 제기돼 관심을 끌고 있다. 자유한국당(국민의힘 전신) 비상대책위원장을 지낸 김병준 한국경제인협회 상임고문은 지난달 28일 ‘2023 국민의힘 국회의원 연찬회’ 특강에서 “국민의힘 의원들과 정부부처가 윤석열 대통령의 의중, 즉 ‘윤심(尹心)’만 따라가는 모습을 국민에게 보여 주니까 ‘대통령이 엄석대다, 아니다’라는 말이 나온다”며 “대통령의 철학이나 국정운영 기조를 제대로 알고 이심전심으로 당과 용산이 혼연일체가 되고 일심동체가 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강연의 요지는 윤 대통령은 엄석대를 쫓아내며 학급에 자유를 되찾게 한 김 선생님에 가까운데 일부 여당과 정부부처 장관들이 ‘윤심’을 지나치게 확대해석하거나 맹목적으로 따르다보니 대통령이 엄석대 소리를 듣게 된다는 것이다. 김 상임고문의 지적은 요즘 일어나고 있는 홍범도 장군 흉상 이전문제나 정율성 역사공원 논란, 잼버리대회 전후 여성가족부장관의 부적절한 처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