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4.23 (수)

  • 구름많음동두천 20.9℃
  • 흐림강릉 10.5℃
  • 흐림서울 20.6℃
  • 구름많음대전 20.1℃
  • 구름많음대구 16.2℃
  • 구름많음울산 14.6℃
  • 구름조금광주 20.9℃
  • 구름많음부산 16.5℃
  • 구름많음고창 19.9℃
  • 흐림제주 16.7℃
  • 구름많음강화 19.0℃
  • 구름많음보은 19.3℃
  • 구름많음금산 21.5℃
  • 흐림강진군 16.3℃
  • 흐림경주시 12.9℃
  • 구름많음거제 16.5℃
기상청 제공

사회

일본 코로나, 신규확진 2329명...엿새만에 2000명대로 감소

URL복사

 

도쿄 727명·가나가와 412명·지바 234명·오사카 224명 등
일일 사망 오키나와 5명·후쿠오카 2명· 도쿄 1명 등 12명

 

[시사뉴스 황수분 기자] 일본에서는 2329명이 신종 코로나바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았다. 

 

도쿄올림픽 개막이 나흘 앞으로 다가온 일본에서 6일 만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신규 환자가 2천명대로  줄었지만 사망자는 전날 3명에서 10명 이상으로 대폭 늘어났다.

NHK와 지지(時事) 통신 등에 따르면 각 지방자치단체와 후생노동성의 발표를 집계한 결과 19일 오후 9시30분까지 2329명이 코로나19에 새로 걸렸다.

도쿄도에서 727명, 가나가와현 412명, 지바현 234명, 오사카부 224명, 사이타마현 199명, 홋카이도 70명, 아이치현 36명, 후쿠오카현 46명, 효고현 39명, 오키나와현 35명, 교토부 29명, 도치기현 23명, 이바라키현 27명, 시즈오카현 12명, 미야기현 11명, 나라현 18명 등 감염자가 발생해 누계 확진자는 84만4000명을 넘었다.

일일환자는 6월 1일 2643명, 2일 3035명, 3일 2830명, 4일 2594명, 5일 2651명, 6일 2021명, 7일 1278명, 8일 1881명, 9일 2238명, 10일 2045명, 11일 1934명, 12일 1942명, 13일 1384명, 14일 934명, 15일 1417명, 16일 1708명, 17일 1550명, 18일 1621명, 19일 1519명, 20일 1307명, 21일 868명, 22일 1435명, 23일 1779명이다. 

 

24일 1674명, 25일 1709명, 26일 1630명, 27일 1282명, 28일 1001명, 29일 1380명, 30일 1820명, 7월 1일 1753명, 2일 1776명, 3일 1879명, 4일 1485명, 5일 1029명, 6일 1669명, 7일 2189명, 8일 2246명, 9일 2275명, 10일 2457명, 11일 2031명, 12일 1504명, 13일 2385명, 14일 3191명, 15일 3417명, 16일 3432명, 17일 3886명, 18일 3103명을 기록했다.

일본 국내 감염자 중 오키나와현에서 5명, 후쿠오카현 2명, 홋카이도와 사이타마현, 아이치현, 도쿄도, 구마모토현 1명씩 합쳐서 12명이 목숨을 잃어 총 사망자가 1만5062명으로 늘어났다.

크루즈선 승선 사망자 13명을 더하면 1만5075명이 지금까지 목숨을 숨졌다.

일본 내 코로나19 환자는 전세기편으로 중국에서 귀국한 다음 감염이 확인된 14명과 공항 검역 과정에서 확진자로 드러난 사람을 포함해 84만3827명이다.

여기에 집단발병으로 요코하마(橫浜)항에 격리 정박했던 대형 유람선(크루즈) 다이아몬드 프린세스호에 탔던 승객과 승조원 환자 712명을 합치면 총 확진자는 84만4539명이다.

일본에서 코로나19에 감염한 일본인과 중국인 여행객, 귀국 환자 등 84만3827명의 분포를 보면 도쿄도가 18만9843명으로 전체 5분의 1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이어 오사카부가 10만6970명, 가나가와현 7만3524명, 아이치현 5만2225명, 사이타마현 4만9878명, 지바현 4만3793명, 홋카이도 4만2456명, 효고현 4만1857명, 후쿠오카현 3만6431명, 오키나와현 2만1847명, 교토부 1만7098명, 히로시마현 1만1678명, 이바라키현 1만1144명, 시즈오카현 9846명, 미야기현 9560명, 기후현 9377명, 나라현 8477명, 군마현 8154명, 오카야마현 7700명, 도치기현 7420명, 구마모토현 6533명, 시가현 5699명, 미에현 5472명이다.

다음으로 후쿠시마현 5198명, 나가노현 5092명, 이시카와현 4237명, 가고시마현 3778명, 니가타현 3585명, 오이타현 3530명, 나가사키현 3282명, 야마구치현 3193명, 미야자키현 3120명, 에히메현 2796명, 와카야마현 2748명, 사가현 2605명, 아오모리현 2579명, 야마나시현 2190명, 가가와현 2131명이다.

이어 도야마현 2087명, 야마가타현 2084명, 고치현 1960명, 이와테현 1859명, 도쿠시마현 1705명, 후쿠이현 1421명, 아키타현 974명, 시마네현 591명, 돗토리현 585명이다.

 


공항 검역에서 감염이 확인된 3342명, 중국에서 전세기로 귀국한 사람과 정부직원, 검역관 등 173명이 있다.

감염자 가운데 인공호흡기를 달거나 집중치료실에 있는 중증환자는 19일 시점에 일본 내에만 전날보다 14명 늘어나 392명이 됐다.

병세가 좋아져 퇴원한 환자는 19일까지 일본 안에서 걸린 확진자 중 79만9062명, 다이아몬드 프린세스 승선자가 659명으로 총 79만9721명이다.

PCR(유전자 증폭) 검사 시행 건수는 15일에 속보치로 하루 동안 3만7451건으로 집계됐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서울 봉천동 아파트 화재 7명 사상, 방화 용의자는 현장서 사망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서울 관악구 봉천동에서 21일 오전 발생한 화재로 인하여 1명이 사망하고 6명이 중·경상을 입었다. 화재를 낸 것으로 추정되는 방화 용의자는 현장 사망자와 동일인인 것으로 확인됐다. 서울경찰청에 따르면 이날 봉천동에서 발생한 방화 용의자는 60대 남성으로 복도에서 발견된 소사체와 동일인이다. 서울경찰청 관계자는 "불에 탄 변사체의 지문을 확인해본 결과 방화 용의자로 추정하던 사람과 동일인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방화 용의자는 인화물질 액체를 담을 수 있는 토치 형태의 도구로 아파트에 불을 지른 것으로 확인됐다. 아파트 인근에서는 해당 도구로 불을 지르는 모습이 포착되기도 했다. 방화 전에는 본인이 거주하던 주거지에 유서를 남겼다. 현장에 남겨진 유서에는 "엄마 미안하다"는 내용과 함께 딸에게는 "할머니 잘 모셔라"는 내용을 남겼다. 아울러 "이 돈은 병원비하라"며 유서와 함께 현금 5만원을 놓아뒀다. 한편 소방당국은 이날 오전 8시17분께 봉천동 소재 21층 규모의 아파트 4층에서 화재가 발생했다는 신고를 접수하고 출동했다. 화재 연속 확대와 인명 피해 우려에 8시30분 대응 1단계를 발령했으며, 소방 인원 153대와 소방차 45대

정치

더보기
이재명, '공공의대 설립' 공약 발표...공공·필수·지역 의료 인력 양성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 후보가 '공공의대 설립' 공약을 내놓았다. 문재인 정부 시절 추진했다가 의료계 반발로 무산됐던 정책인만큼, 공공의대를 둘러싼 의정 갈등이 되풀이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23일 국회 등에 따르면 이 후보는 지난 22일 페이스북에 "공공의대를 설립해 공공·필수·지역 의료 인력을 양성하고 디지털 인프라를 기반으로 한 차세대 공공의료시스템을 갖춘 공공병원을 확충해 가겠다"고 밝혔다. 6·3 조기 대선이 40여일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나온 이재명 후보의 공약은 응급·분만·외상치료 등 필수의료를 국가가 책임지는 시스템을 만들겠다는 구상이다. 윤석열 정부에서 사회적 갈등 요인으로 급부상한 '의대 증원'은 속도 조절을 예고했다. 전공의와 의대생 등을 포함한 의료계, 환자, 시민단체 등 모든 이해당사자가 참여하는 사회적 합의를 통해 의대 정원을 결정하겠다는 취지다. 앞서 윤 전 대통령은 지난해 2월 의대 정원을 2000명 늘리겠다고 발표했고, 이에 전공의들의 수련병원 이탈, 의대생들의 수업 거부 등 1년 2개월째 의료계와 정부가 대립하고 있다. 이에 이 대표는 의대 증원 가능성은 열어두면서도 '사회적 합의'를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박석 의원, “신통기획 처리기한제, 주민 압박 수단 되어선 안 돼…현장 고려한 탄력적 운영 당부”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서울특별시의회 박석 의원(국민의힘, 도봉3)은 제330회 임시회 주택공간위원회 주택실 업무보고에서 ‘신속통합기획 처리기한제’의 실효성 강화를 촉구했다. 서울시는 신속한 정비구역 지정을 위해 지난 10월 재건축 신속통합기획(이하 신통기획) 후보지 대상 ‘단계별 처리기한제’를 도입했으며, 2025년부터는 재개발 신통기획까지 적용 범위를 확대했다. 박 의원은 “서울시는 규제 철폐의 일환으로 재개발 신통기획 처리기한제를 즉시 시행하면서 제도의 적용을 받는 주민 대상 홍보나 설명은 부족했다”고 지적했다. 서울시가 제출한 ‘재건축 처리기한제 적용 사업장별 추진 현황’에 따르면, 자문요청 통보 후 자문 결과 통보까지 처리기한 1개월을 지킨 곳은 13곳의 대상 사업장 중 3곳에 불과했고, 자문결과 통보 후 주민공람을 2개월 내 처리한 곳은 3곳의 대상지 중 단 한 곳도 없었다. 박 의원은 “지역마다 복잡한 현안으로 절차가 지연되는 경우가 있음에도 일률적 기한 설정은 사업 지연 시 주민 불안을 키워 주민을 압박하는 수단으로 악용될 수 있다”고 우려를 표하며, 처리기한의 적절성과 제도의 실효성에 의문을 제기했다. 최진석 서울시 주택실장은 현재까지 처리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