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종합] 백신 수급계획 밝힌 정부, 코로나백신 확보돼도 접종 안서두르는 이유
"코로나 백신 접종 후 근육통, 뻐근한 현상도 부작용"
[ 시사뉴스 홍정원 기자 ] 전문가들이 코로나19 백신을 접종받은 사람들에게서 아직 심각한 부작용은 없었다고 강조했다.
남재환 가톨릭대 의과대학 생명과학과 교수는 8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코로나 백신 수급계획(도입계획) 브리핑에서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에서 나온 부작용은 그렇게 심각한 부작용이 아니었던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화이자, 모더나 등 mRNA 전달체를 기반으로 하는 백신에 대해서도 "아주 심각한 문제가 발생하진 않았다"며 "지금 유럽(영국 8일 접종 시작)이나 미국이 mRNA 백신을 먼저 맞고 있기에 접종 후 주시해야 할 것이다"고 설명했다.
정부는 “코로나 백신을 도입하더라도 즉시 접종하진 않고 안전성을 검증하는 과정을 우선적으로 거치겠다”고 강조했다.
이어 “코로나 백신 접종을 시작한 다른 국가의 상황도 면밀히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박능후 보건복지부 장관, 양진영 식품의약품안전처(식약처) 차장, 임인택 복지부 보건산업정책국장, 이환종 서울대 의과대학 명예교수, 남재환 교수와의 일문일답이다.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은 임상과정에 실수가 있어 효능과 안전성 논란이 있는데도 가장 먼저 아스트라제네카와 선 구매, 계약한 이유는 무엇인가
▲남재환 교수=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은 위험하지 않다고 말할 수 있다. 모든 백신은 부작용이 있다.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에서 나온 부작용은 그렇게 심각한 부작용이 아니었던 것으로 확인됐다. 현재 나온 백신 중 아스트라제네카나 모더나나 화이자 백신들이 이미 자기 백신들이 나온 부작용을 모두 공개했다.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이 기존(다른 질병) 백신에 비해 특별한 부작용이 더 심각하게 있다고 현재 말할 수 없다.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먼저 구매한 것은 전략적으로 옳은 결정이라고 생각한다.
-식약처에서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은 전 임상 자료를 사전 검토하고 있다고 하는데 다른 기업의 백신도 사전 검토 중인지..
▲양진영 차장=아스트라제네카에 대해선 비임상 자료에 대한 심사를 지금 진행 중이다. 다른 기업에선 아직 사전 심사, 사전 검토를 신청하지 않았다. 아스트라제네카의 경우 앞으로 일주일 정도 지나 마지막 임상 결과까지를 식약처에 제출할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 최근 있었던 정부 간의, 정부와 아스트라제네카 대표단과의 협의 과정에서 그 말이 나왔다.
-화이자, 모더나 백신은 mRNA 기반으로 과거 적용된 적이 없는데 안전성, 효과성에 문제 없는 것인가. 과거 부작용은 없었는지, 예상되는 부작용은 무엇인가
▲남 교수=mRNA 백신을 현재 개발하고 있었던 모더나, 화이자 그리고 바이오앤테크, 큐어백 등 회사들이 암 백신을 개발을 하기 위해 mRNA 전달체를 사용했다. 임상 1상 결과가 코로나19 사태 이전에 나와 있었다. 코로나 등 백신 부작용을 굉장히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있는데 부작용엔 사실 등급이 있다. 1등급, 2등급, 3등급, 4등급이 있고 보통 백신을 맞았을 때 근육통이 있거나 뻐근한 현상도 부작용에 해당된다.
어느 정도 안전성이 검증돼 있었다. 공개된 자료를 보면 mRNA 백신에 의해 아주 심각한 문제가 발생한 적은 없다. 지금 유럽이나 미국이 mRNA 백신을 먼저 맞고 있기에 접종 이후 면밀하게 주시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