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종합] 코로나 백신, 국민 60% 이상분 확보 "내년 상반기 접종 가능하지만.."
"2021년 2~3월 도입..접종시기는 탄력적 결정"
전문가 “영국, 미국도 국민 대부분이 내년 접종”
박능후 장관 “코로나 종식 시기, 국민 절반쯤이 접종 끝나는 때"
[ 시사뉴스 홍정원 기자 ] 정부가 코로나19 백신을 4400만명분까지 확보했다고 밝혔다. 이는 당초 목표 했던 국민 60%인 3000만명보다 많은 숫자다.
정세균 국무총리가 8일 오전 주재한 국무회의에서 코로나 해외 개발 백신 확보 계획을 심의, 의결했다. 정부는 이날 코백스 퍼실리티 1000만명분과 해외 제약사 3곳의 3400만명분 등 4400만명분의 코로나 백신을 선구매하기로 했다.
3400만명분이 확보된 해외 제약사 3곳은 화이자(1000만명분), 아스트라제네카(1000만명분), 모더나(1000만명분), 존슨앤드존슨 제약분야 계열사인 얀센(400만명분)이다.
정부는 아스트라제네카와는 선 구매 계약을 이미 체결한 상태다. 화이자, 얀센과는 법적 구속력이 있는 구매 약정서를 체결해놨으며 모더나와는 2000만회분 공급 물량 등을 확정한 확약서를 받아놨다.
정부는 화이자, 얀센, 모더나와는 12월 중 나머지 계약 체결 절차를 진행한다.
통상 백신 완성 기간은 10년 이상 걸리는 데 반해 코로나 백신의 경우 완성 기간이 1년이 채 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해외 제약사들이 각국과 계약 시 부작용이 발생해도 책임을 묻지 않아야 한다는 '면책'을 (계약) 조건으로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국 정부도 이를 일정 부분 수용한 것으로 전해졌다.
코백스 퍼실리티를 통해 확보한 1000만명분 백신의 종류나 접종 횟수에 대해서는 추후 결정된다.
정부가 선 구매한 백신은 내년 1분기인 2~3월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시작으로 순차적으로 국내 도입된다. 다른 코로나 백신 물량들은 내년 연말 전까지 국내 상륙한다.
하지만 접종 시기는 탄력적이라는 게 정부 설명이다. 백신에 대한 안전성·효과성 등 우려가 있기에 외국 접종 동향, 부작용 여부 등을 고려해 탄력적으로 결정한다는 방침이다.

박능후 보건복지부 장관은 이날 "(정부의) 코로나 백신 전략은 물량은 조기 확보하더라도 접종에 대해선 신중하자는 것이다"고 강조했다.
박 장관은 "유럽이나 미국처럼 확진자 수가 급속히 늘어나 백신 외에 다른 방법이 없다면 위험을 안고라도 안전성이 확보되지 않은 상태에서 접종 강행을 할 수 있지만 아직 위험성이 제대로 규명되지 않은 상태에서 우리가 서둘러 접종한다는 것은 그다지 필요성이 높지 않다"고 말했다.
그는 코로나19 종식으로 인한 일상 복귀 시점에 대해선 "국민 절반 정도가 접종이 끝나는 시기인데 그 시기가 가능한 빨리 올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며 "내년에 그렇게 늦지는 않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장담했다.
한 전문가는 "영국이 오늘(8일)부터 (코로나 백신 접종이) 시작되고 미국도 연내에 시작되지만 실제 접종 양이 많지 않다"며 "영국과 미국도 대부분의 국민은 내년 접종한다. 우리나라에서도 내년 상반기부터 접종할 수 있기에 백신 확보 시기가 많이 늦다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