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4.30 (수)

  • 구름많음동두천 8.4℃
  • 구름조금강릉 19.8℃
  • 구름조금서울 10.7℃
  • 맑음대전 10.0℃
  • 구름많음대구 11.7℃
  • 맑음울산 12.0℃
  • 맑음광주 10.6℃
  • 맑음부산 13.5℃
  • 맑음고창 13.6℃
  • 맑음제주 12.8℃
  • 구름많음강화 12.6℃
  • 맑음보은 6.1℃
  • 맑음금산 7.3℃
  • 맑음강진군 8.3℃
  • 맑음경주시 9.4℃
  • 맑음거제 11.7℃
기상청 제공

정치

윤호중 "지라시 발언 사과" vs 국민의힘 "번지수 잘못 짚어"

URL복사

 

윤호중, 野 간사 교체 요구·지라시 발언…野 반발

野 "분명한 사과 요구했는데도 유감 표명 운운"

 

[ 시사뉴스 김영욱 기자 ] 윤호중 국회 법제사법위원장은 2일 야당 간사 교체 요구, '지라시' 발언 등과 관련해 "유감과 사과의 말씀을 드린다"고 밝혔다.

 

앞서 윤 위원장은 지난달 26일 법사위 전체회의에서 윤 총장의 법사위 출석을 놓고 국민의힘 의원들과 설전을 벌이다 "야당 간사를 사보임할 것을 요청드린다"고 말했다. 이에 조수진 의원을 겨냥해 "그 양반이 지라시 만들 때 나오는 버릇이 나오는 것 같아 유감"이라고 말해 국민의힘의 반발을 샀다.

 

국민의힘은 윤 위원장의 발언을 문제삼으며 법사위를 보이콧하고 사과를 요구했지만 윤 위원장은 "사과할 일이 아니다"라며 일축했다.

 

하지만 2일 법사위에도 국민의힘 의원들이 출석하지 않자 이날 오후 전체회의가 속개하면서 "제가 위원회 운영을 책임지고 있는 사람이기 때문에 개인의 일로 인해 파행 운영되거나 정상 운영이 안 되면 제가 희생을 해 원하는 말씀을 드릴 수 있다"며 "원만한 운영을 위해 문제가 됐던 일들에 대해 유감과 사과의 말씀을 드린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야당 의원들이 바로 출석을 해줬으면 좋겠다"고 요청했다.

 

하지만 국민의힘 법사위 의원들은 이날 별도의 기자회견을 갖고 윤 위원장의 유감 표명에 "분명한 사과를 요구했음에도 유감 표명 운운하는 건 번지수를 잘못 짚은 것"이라고 반박했다.

 

국민의힘 법사위원들은 "윤 위원장이 여당 간사를 통해 포괄적 유감표시를 하겠다고 알려왔는데 이해하기 어려운 처사"라며 "국민의힘이 요구한 건 야당 간사 교체 요구, 언론 모독, 보좌진 폄훼 등 세 가지"라고 밝혔다.

 

또 "잘못한 쪽이 공식 사과하면 그 내용, 적정성, 수위 등을 살펴 수용할지 여부를 상대가 결정하는 게 상식적"이라며 "그래놓고 윤 위원장과 여당은 오늘도 법사위 소위를 마음대로 정해 일방적으로 통보했다"고 비판했다.

 

이들은 "여당 소속 상임위원장이 야당 간사를 교체하라고 요구하는 건 군사독재 시절에도 없었던 일"이라며 "법사위원장은 제1야당 몫으로 배정됐던 게 국회의 오랜 전통인데 이를 안다면 더 겸손한 태도로 법사위를 운영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김형재 시의원, “서울시 홍보대사의 ‘무제한 연임’ 관행 사라진다”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서울특별시의회 김형재 의원(국민의힘·강남2)이 서울시 홍보대사의 무분별한 연임 관행을 방지하기 위해 대표발의한 「서울특별시 홍보대사 운영에 관한 조례 일부개정조례안」이 지난 25일 개최된 제330회 서울시의회 임시회 2차 본회의에서 최종 가결됐다. 그동안 서울시는 시정의 효율적인 홍보와 시 이미지 제고를 위한 차원에서 홍보대사를 무보수 명예직으로 위촉하여 운영해 왔다. 최근 5년간 위촉된 홍보대사만 해도 52명에 달한다. 현행 조례상 홍보대사의 임기는 2년이다. 그러나 연임 횟수에 대한 제한은 따로 없기 때문에 특정인이 장기간 홍보대사로 활동하는 경우가 적지 않았고, 이에 따라 서울시 홍보대사직이 관행적으로 연임될 우려가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어 왔다. 김 의원이 대표발의한 이번 개정안이 서울시의회 본회의에서 가결됨에 따라 앞으로 서울시 홍보대사는 초임 2년을 포함해 최대 6년까지만 활동할 수 있게 됐다. 단 현 임기 중 시정홍보에 탁월한 업적을 인정받는 경우에 한해 추가 연임을 허용하는 예외 규정을 추가했다. 김형재 의원은 “그동안 서울시는 시정홍보와 시 이미지 제고를 위해 홍보대사를 위촉·운영해 왔지만, 최근 5개년간 위촉된 52명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