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4.29 (화)

  • 맑음동두천 18.5℃
  • 맑음강릉 17.5℃
  • 맑음서울 19.0℃
  • 맑음대전 20.2℃
  • 맑음대구 23.5℃
  • 맑음울산 15.7℃
  • 맑음광주 21.6℃
  • 맑음부산 14.7℃
  • 맑음고창 17.2℃
  • 맑음제주 17.7℃
  • 맑음강화 13.7℃
  • 맑음보은 20.2℃
  • 맑음금산 19.5℃
  • 맑음강진군 17.8℃
  • 맑음경주시 18.4℃
  • 구름조금거제 14.5℃
기상청 제공

정치

‘선진화법’ 각하 결정…與 ‘안도’·野 ‘찜찜’[종합]

URL복사

겉으론 환영 속 4·13 총선 여소야대로 유불리 바꿔어 입장 반전

[시사뉴스 김부삼 기자]‘식물국회’ 논란을 불러왔던 국회법(일명 국회선진화법)에 대해 헌법재판소가 권한쟁의심판 청구 각하 결정에 따른 여야의 입장이 사뭇 다른 모양새다. 당초 헌재에 권한쟁의심판을 청구한 새누리당은 각하 결정에 오히려 안도하고 있고, 야당은 어딘가 마뜩찮은 분위기다. 각하(却下)란 법적으로 소송 용건을 갖추지 못했을 때 내리는 결정이다.

헌재는 26일 오후 서울 종로구 헌재 대심 판정에서 새누리당 주호영 의원 등 19명이 정의화 국회의장 등 2명을 상대로 청구한 권한쟁의심판 사건을 "청구 요건을 갖추지 못했다"며 각하 결정했다.

헌재의 결정에 여야는 공통적으로 “헌재의 결정을 존중한다”는 반응을 보였다.

정진석 새누리당 원내대표는 “사법부의 결정을 당연히 존중한다”며 “협치를 통해 우리가 조금 더 양보하고 타협하고 의회민주주의를 이루라는 그런 뜻으로 받아들인다”고 말했다.

민경욱 새누리당 원내대변인은 브리핑을 통해 “오늘 헌재 결정에 따라 곧 출범할 20대 국회는 선진화법의 모순을 해결해야 하는 큰 과제를 안게 됐다”고 말했다.

야권의 반응도 비슷했다. 이재경 더불어민주당 대변인은 논평에서 “국회선진화법은 여야가 타협과 합의의 정치를 하라는 국민의 뜻을 받들어 만든 법”이라며 “위헌심판 청구에 대한 헌재의 각하 결정은 입법취지를 받아들여 내린 결정으로 존중한다”고 밝혔다.

이용호 국민의당 원내대변인도 “극히 상식적이고 당연한 귀결이라고 받아들이며 헌재의 결정을 존중한다”고 말했다.

국회선진화법은 국회 내의 폭력 사태를 막는다는 취지로 18대 국회가 마련한 국회법 개정안을 뜻한다. 국회의장이 본회의에 법안을 직권 상정할 수 있는 요건을 천재지변, 전시·사변에 준하는 국가 비상 상태, 국회의장이 교섭단체 대표의원과 합의한 경우 세 가지로 제한한 내용을 골자로 하고 있다.

하지만 19대 국회에서 선진화법 운영 과정에서 법안의 직권상정 요건에 대한 여야의 이해관계가 상충됐다. 새누리당은 자당이 처리를 원하던 법안들을 의장의 직권상정 요건에 막혀 통과시키지 못했다.

이에 주호영 새누리당 의원 등 19명은 지난해 1월30일 해당 조항 등이 국회의원의 법률안 심의·의결권을 침해한다며 정의화 국회의장 등을 상대로 권한쟁의 심판을 청구했다.

하지만 4·13총선을 거치면서 상황이 뒤바뀌었다. 여소야대의 구도가 조성됐다.

새누리당은 총선 이전부터 예상 의석수로 180석 이상을 거론하며 선진화법 개정을 공언했지만 결과는 정반대였다. 123석을 차지한 더민주에 밀려 2당으로 내려앉았다. 새누리당은 오히려 여당이 이 법에 기대어 거대 야당을 견제해야 할 상황이 됐다.

때문에 헌재의 각하 결정이 새누리당 입장에서는 내심 다행일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한 야권 관계자는 “새누리당 입장에서 보면 현재의 국회법이 유지되기를 바랐을 것”이라며 “오늘 헌재의 결정에 표정관리를 하는 듯한 느낌을 확연히 준다”고 말했다.

야당이 공조해 법안의 강행처리를 시도하려 해도 신속안건처리요건(상임위 내 재적위원 5분의 3이상 찬성)을 갖추기 어렵기 때문이다. 더민주와 국민의당, 정의당까지의 의석수를 모두 합해도 5분의 3인 180석에 미치지 못한다.

반면 야당의 입장에서는 헌재의 각하 결정에 따라 국회의장의 직권상정이라는 강력한 무기를 사용할 수 없게 됐다.

더민주 관계자는 “법안 처리의 효율성만 보면 야당이 불리하다는 계산이 나올지 모르지만, 이번 문제는 그런 계산법으로 접근할 문제가 아니다”라며 “유불리만 계산하면 언젠가는 또 유불리의 덫에 걸리게 돼 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다만 선진화법은 운영을 해보면서 문제점이 발견된 부분에 대해서는 토론을 해볼 필요는 있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김형재 시의원, “서울시 홍보대사의 ‘무제한 연임’ 관행 사라진다”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서울특별시의회 김형재 의원(국민의힘·강남2)이 서울시 홍보대사의 무분별한 연임 관행을 방지하기 위해 대표발의한 「서울특별시 홍보대사 운영에 관한 조례 일부개정조례안」이 지난 25일 개최된 제330회 서울시의회 임시회 2차 본회의에서 최종 가결됐다. 그동안 서울시는 시정의 효율적인 홍보와 시 이미지 제고를 위한 차원에서 홍보대사를 무보수 명예직으로 위촉하여 운영해 왔다. 최근 5년간 위촉된 홍보대사만 해도 52명에 달한다. 현행 조례상 홍보대사의 임기는 2년이다. 그러나 연임 횟수에 대한 제한은 따로 없기 때문에 특정인이 장기간 홍보대사로 활동하는 경우가 적지 않았고, 이에 따라 서울시 홍보대사직이 관행적으로 연임될 우려가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어 왔다. 김 의원이 대표발의한 이번 개정안이 서울시의회 본회의에서 가결됨에 따라 앞으로 서울시 홍보대사는 초임 2년을 포함해 최대 6년까지만 활동할 수 있게 됐다. 단 현 임기 중 시정홍보에 탁월한 업적을 인정받는 경우에 한해 추가 연임을 허용하는 예외 규정을 추가했다. 김형재 의원은 “그동안 서울시는 시정홍보와 시 이미지 제고를 위해 홍보대사를 위촉·운영해 왔지만, 최근 5개년간 위촉된 52명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