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4.29 (화)

  • 맑음동두천 18.5℃
  • 맑음강릉 17.5℃
  • 맑음서울 19.0℃
  • 맑음대전 20.2℃
  • 맑음대구 23.5℃
  • 맑음울산 15.7℃
  • 맑음광주 21.6℃
  • 맑음부산 14.7℃
  • 맑음고창 17.2℃
  • 맑음제주 17.7℃
  • 맑음강화 13.7℃
  • 맑음보은 20.2℃
  • 맑음금산 19.5℃
  • 맑음강진군 17.8℃
  • 맑음경주시 18.4℃
  • 구름조금거제 14.5℃
기상청 제공

정치

‘반기문 대망론’ 다시 꿈틀…대선경쟁 본격화?

URL복사

정진석, 방한 반기문 동선 맞춰 제주행 촉각
여권인사, 潘총장 연설 제주포럼에 대거참석 눈길…2野, 잇단 혹평 견제구

[시사뉴스 김부삼 기자]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이 ‘제주포럼’ 참석 차 25일 방한한다. ‘반기문 대망론’이 꿈틀대고 있는 가운데, 때마침 정진석 새누리당 원내대표, 홍문표 사무총장 대행, 나경원 의원 등 여권 인사들도 포럼에 참석하기로 하면서 온갖 해석이 나오고 있다. 

특히 나경원 의원은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위원장 자격으로 오래전부터 포럼에 참석키로 예정 돼 있었고, 포럼 만찬에서도 공식 만찬사를 할 예정이다. 반면 정 원내대표의 제주행은 갑작스럽게 잡힌 일정이라는 후문이다. 물론 당에서는 “원래부터 예정된 일정”이라고 확대해석을 경계했다.

그러면서 정 원내대표측은 제주에 언제 도착하고 어디에 묵을 지 동선에 대해 철저히 함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반 총장의 동선에 맞춰 1박2일간의 제주행이라는 사실만 확인하고 있다.

이에대해 당 핵심관계자는 “비대위 구성 문제로 골머리를 앓고 있다는 정 원내대표가 이틀씩이나 제주에 내려가 머물 일이 뭐가 있겠나”라고 반문했다. '총선 참패에 따른 당 재건이라는 화급을 다투는 일보다 반 총장과 만나는 일이 더 중요한 것이냐'는 비박계의 성토도 들린다.

정 원내대표는 그간 노골적인 '충청 역할론'을 언급하며, 특히 내년 대선에서 '충청'의 중요성을 수차례 강조해왔다. 그런 그가 충청대망론의 주인공이 될 지도 모를 반 총장과 만나는 자체가 온갖 해석을 낳기에 충분한 장면인 셈이다. 앞서 충북 출신의 이원종 청와대 비서실장 임명에도 반 총장을 의식한 인사가 아니냐는 민감한 해석이 뒤따랐다.

소위 '반기문 대망론'이 정치권에 회자된 이래로 반 총장이 한국을 방문한 적이 이번이 처음도 아니다. 그럼에도 반 총장 방한이 정치권의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는 이유는 4·13 총선 참패로 여권의 유력주자들이 전멸하다시피한 여권 내 권력지형 때문이다.

친박계는 '반기문 대망론'을 점점 노골화하는 분위기다. 총선 전만 하더라도 오세훈 전 서울시장을 비박계 수장 '김무성 대항마'로 여겼다. 하지만 오 전 시장이 총선에서 힘없이 주저앉으면서 친박계의 관심은 반 총장으로 쏠리고 있다. 친박계 중진 핵심 홍문종 의원은 “반기문 총장은 새누리당에게는 변수가 아니라 상수(常數)”라고 말할 정도다.

반면 비박계는 민감한 반응이다. 김무성 전 대표의 최측근 김성태 의원은 “반 총장도 보수당인 새누리당의 흔히 말하는 특정 계파 세력이 추대 옹립한다고 새누리당에 덜렁 올라타겠냐, 쉽지않을 것”이라고 친박계의 반 총장 옹립에 비관적 입장을 나타냈다.

김 의원은 그러면서 “당내 일각에서 반 총장만 옹립하면 내년 대선이 아무 문제도 없는 것처럼 인식되어지고 있는 문제가 새누리당의 더 큰 위기라고 본다”며 '반기문 필승론' 에 거부감을 드러냈다.

야권도 비박과 같은 입장이다. 우상호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는 “아무리 자기 당에 인물이 없다고 다른데서 꾸어오려 하는 것은 책임정치 측면에서 볼 때 어색해보인다”고 냉소적 입장을 나타냈다.

우 원내대표는 그러면서 “모호하게 하시는 분 중에 성공하신 분이 없어서 제대로 말씀하시는 게 좋을 것 같다”고 반 총장을 비판하기도 했다.

김홍걸 더민주 국민통합위원장은 영국의 경제지 '이코노미스트'가 최근 발간한 기사에서 반 총장을 '실패한 총장이자 역대 최악의 총장 중 한명'이라고 혹평한 부분을 인용하면서, “해외에 나가서 뭔가 한 자리 하면 그것이 국위선양이라고 생각하는 사고방식을 버릴 때가 됐다”고 직격탄을 날렸다.

이상돈 국민의당 최고위원 역시 “반 총장은 검증을 견디기 어렵다. (대선에 출마하더라도) 100% 패배한다”고 단언했다.

이처럼 친박계를 제외하곤 여야 제 정파들로부터 '반기문 대망론'은 환영받지 못하는 초대장이 되고 있는 셈이다. 그러나 친박계 핵심관계자는 “정치 신인에게 '노이즈마케팅' 만큼 뛰어난 홍보도 없다. 예전만 하더라도 반 총장이 대권에 도전하느냐 마느냐가 논쟁거리였지만, 어느순간부터 대권 승리가 가능하느냐 안하느냐의 자연스러운 논쟁으로 진화하고 있다”며 “나쁠게 없는 전개과정”이라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김형재 시의원, “서울시 홍보대사의 ‘무제한 연임’ 관행 사라진다”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서울특별시의회 김형재 의원(국민의힘·강남2)이 서울시 홍보대사의 무분별한 연임 관행을 방지하기 위해 대표발의한 「서울특별시 홍보대사 운영에 관한 조례 일부개정조례안」이 지난 25일 개최된 제330회 서울시의회 임시회 2차 본회의에서 최종 가결됐다. 그동안 서울시는 시정의 효율적인 홍보와 시 이미지 제고를 위한 차원에서 홍보대사를 무보수 명예직으로 위촉하여 운영해 왔다. 최근 5년간 위촉된 홍보대사만 해도 52명에 달한다. 현행 조례상 홍보대사의 임기는 2년이다. 그러나 연임 횟수에 대한 제한은 따로 없기 때문에 특정인이 장기간 홍보대사로 활동하는 경우가 적지 않았고, 이에 따라 서울시 홍보대사직이 관행적으로 연임될 우려가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어 왔다. 김 의원이 대표발의한 이번 개정안이 서울시의회 본회의에서 가결됨에 따라 앞으로 서울시 홍보대사는 초임 2년을 포함해 최대 6년까지만 활동할 수 있게 됐다. 단 현 임기 중 시정홍보에 탁월한 업적을 인정받는 경우에 한해 추가 연임을 허용하는 예외 규정을 추가했다. 김형재 의원은 “그동안 서울시는 시정홍보와 시 이미지 제고를 위해 홍보대사를 위촉·운영해 왔지만, 최근 5개년간 위촉된 52명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