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4.29 (화)

  • 맑음동두천 18.5℃
  • 맑음강릉 17.5℃
  • 맑음서울 19.0℃
  • 맑음대전 20.2℃
  • 맑음대구 23.5℃
  • 맑음울산 15.7℃
  • 맑음광주 21.6℃
  • 맑음부산 14.7℃
  • 맑음고창 17.2℃
  • 맑음제주 17.7℃
  • 맑음강화 13.7℃
  • 맑음보은 20.2℃
  • 맑음금산 19.5℃
  • 맑음강진군 17.8℃
  • 맑음경주시 18.4℃
  • 구름조금거제 14.5℃
기상청 제공

정치

野 2당, 朴대통령 읍소 외면…‘레임덕’ 가시화?

URL복사

김종인 “논평 가치없어”…안철수 “올바른 접근 아냐”

[시사뉴스 김부삼 기자]박근혜 대통령이 국정교과서 폐기 결의안에 대해 우려하고, 김영란법 국회 재검토를 요청했지만 야권은 아랑곳하지 않는 모습이다. 여소야대(與小野大) 정국으로 여권의 정책 추진 동력이 사라지면서 박 대통령의 레임덕이 가시화하는 것 아니냐는 지적마저 나온다.

박 대통령은 지난 26일 국내 언론사 편집·보도국장 오찬 간담회에서 야당이 국정교과서 폐기 결의안을 준비 중인 것과 관련,“학생들에게 (기존 교과서로) 가르쳐야 되느냐 심각하게 생각해야 한다”고 말했다.

박 대통령은 “여태까지의 교과서를 보면 어떤 일들이 일어났는가, 이념 편향성에다가 이런 여러 가지 문제들을 어떻게 해결하느냐”며 “청소년들이 어떤 역사 교육을 받고 자라야 우리나라의 미래가 되겠느냐”고 말했다.

박 대통령은 김영란법에 대해서도 내수 위축을 이유로 들며 우려를 표명했다. 박 대통령은 “실제 그대로 되면 우리 경제를 너무 위축시키지 않을까 하는 우려를 속으로 많이 했다”며 “위헌이냐 아니냐를 떠나서 걱정스럽다”고 말했다.

박 대통령은 “좋은 취지로 시작했던 게 내수까지 위축시키면 어떻게 하느냐”며“이 부분은 헌재에서 결정을 하면 거기에 따라야되겠지만 국회 차원에서도 한번 다시 검토 해볼 수 있지 않을까 하고 생각한다”고 아쉬움을 표했다.

그러나 박 대통령의 이 같은 바람과는 달리 두 야당은 고개를 돌리고 있다. 원내 1당이 된 더불어민주당과 캐스팅보트를 쥔 국민의당 모두 일고의 가치도 없다며 외면하고 있다. 나아가 두 야당은 '국정교과서 폐기 결의안'도 공동 추진할 계획이다.

더민주 김종인 비대위 대표는 27일 국회에서 열린 비대위회의에서 “박 대통령의 간담회 내용을 보면 지금까지 추진한 일에 대해 전혀 별다른 변화가 없다는 것을 강조했을 뿐”이라며 “논평할 가치가 없다”고 잘라 말했다.

안철수 대표는 지난 26일 기자들을 만나 박 대통령이 김영란법에 대해 우려한 것과 관련,“올바른 접근 방법이 아니다”라며“내수와 연결시키기보다 오히려 원칙적 부분에 대해 말하는 것이 맞다”고 강조했다.

그는 박 대통령을 겨냥, “고집만 세고…”라고 말하기도 했다.

더민주 이재경 대변인은 “박 대통령은 역사교과서 국정화, 한·일 위안부 합의, 개성공단 폐쇄 등에서 기존의 입장을 재확인했을 뿐”이라며 “불통의 리더십을 고수하겠다는 대통령의 고집을 그대로 보여준 것”이라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김형재 시의원, “서울시 홍보대사의 ‘무제한 연임’ 관행 사라진다”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서울특별시의회 김형재 의원(국민의힘·강남2)이 서울시 홍보대사의 무분별한 연임 관행을 방지하기 위해 대표발의한 「서울특별시 홍보대사 운영에 관한 조례 일부개정조례안」이 지난 25일 개최된 제330회 서울시의회 임시회 2차 본회의에서 최종 가결됐다. 그동안 서울시는 시정의 효율적인 홍보와 시 이미지 제고를 위한 차원에서 홍보대사를 무보수 명예직으로 위촉하여 운영해 왔다. 최근 5년간 위촉된 홍보대사만 해도 52명에 달한다. 현행 조례상 홍보대사의 임기는 2년이다. 그러나 연임 횟수에 대한 제한은 따로 없기 때문에 특정인이 장기간 홍보대사로 활동하는 경우가 적지 않았고, 이에 따라 서울시 홍보대사직이 관행적으로 연임될 우려가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어 왔다. 김 의원이 대표발의한 이번 개정안이 서울시의회 본회의에서 가결됨에 따라 앞으로 서울시 홍보대사는 초임 2년을 포함해 최대 6년까지만 활동할 수 있게 됐다. 단 현 임기 중 시정홍보에 탁월한 업적을 인정받는 경우에 한해 추가 연임을 허용하는 예외 규정을 추가했다. 김형재 의원은 “그동안 서울시는 시정홍보와 시 이미지 제고를 위해 홍보대사를 위촉·운영해 왔지만, 최근 5개년간 위촉된 52명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