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김부삼 기자]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위원장 민일영) 관할 재산 공개대상자들의 평균 신고 재산은 지난해 12월31일 기준 13억3100만원으로 나타났다.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는 25일자 관보를 통해 관할 공개대상자 1813명에 대한 정기 재산변동사항 신고내역을 공개했다. 행정부 소속 정무직, 고위공무원단 가등급, 국립대학총장, 공직유관단체 임원, 기초·광역 지방자치단체장, 광역의회의원, 시·도 교육감 등이 공개대상자에 포함된다.
이번 공개대상자 1813명의 가구당 신고 재산은 평균 13억3100만원으로 전년 신고액 12억7600만원보다 5500만원 증가했다. 여기에는 배우자와 부모 등 직계 존·비속 재산도 포함됐다.
규모별로 보면 10억원 미만은 1077명으로 전체 공개대상자의 59.4%를 차지했다. 10억원 이상 20억원 미만은 401명으로 22.1%를, 20억원 이상 50억원 미만은 277명으로 15.3%를 차지했다. 50억원 이상 신고한 사람도 58명으로 3.2%를 차지했다.
공직자 본인의 평균 재산은 7억2700만원, 배우자의 평균재산은 4억7300만원, 부모 등 직계 존·비속의 평균재산은 1억3100만원이었다.
공개대상자 1813명 중 재산이 증가한 사람은 1352명으로 전체의 74.6%를 차지했다. 감소한 사람은 25.4%인 461명이었다. 주요 재산 증가 요인으로는 공시지가 상승, 주택가격 상승, 종합주가지수 상승, 급여저축, 부동산 상속 등이 꼽혔다.
전체 공개대상자 중 신고한 재산이 가장 많은 인물은 우병우 대통령비서실 민정수석비서관으로 전년도에 비해 15억여원이 줄었음에도 393억6700여만원을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은 전혜경 국립농업과학원장 289억여원, 김홍섭 인천 중구청장 188억여원, 임용택 한국기계연구원장 175억여원, 이근면 인사혁신처장 169억여원 순이었다. 신고 액수는 달라졌으나 상위 5명의 순위는 전년도와 같았다.
각 부처 장관과 국무총리 등의 재산 증감 현황을 보면 김희정 전 여성가족부 장관의 재산이 전년도보다 4억300여만원 늘어, 비교대상 중에 가장 많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황교안 국무총리의 경우 1억400여만원이 줄어든 것으로 신고됐다. 박근혜 대통령은 종전보다 3억4900여만원 늘어난 35억1900여만원을 신고했다.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는 신고 재산을 공개한 후 최대 6개월까지 심사를 진행해 재산을 허위 기재했거나 누락했을 경우, 직무상 비밀을 이용해 재산을 증식한 사실이 확인될 경우 공직자윤리법에 따라 징계의결 요청 등의 조치를 하게 된다.
한편 이번 공개대상자 1813명 중 548명이 직계 비·존속의 재산 고지를 거부, 고지거부율이 전년도에 비해 3.3%p 늘어난 30.2%를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