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4.24 (목)

  • 맑음동두천 20.9℃
  • 구름많음강릉 25.0℃
  • 맑음서울 19.0℃
  • 구름많음대전 21.2℃
  • 구름많음대구 25.3℃
  • 구름조금울산 22.4℃
  • 구름조금광주 22.3℃
  • 맑음부산 17.9℃
  • 맑음고창 17.6℃
  • 구름많음제주 19.0℃
  • 맑음강화 15.5℃
  • 구름조금보은 22.0℃
  • 구름조금금산 21.1℃
  • 구름조금강진군 23.5℃
  • 맑음경주시 26.5℃
  • 구름조금거제 19.4℃
기상청 제공

국제

日인구 1920년 이후 첫 감소…5년 새 강남+강북구 인구 만큼 감소

URL복사

고령화로 인한 감소, 인구 감소기 확실히 접어들어

[시사뉴스 강철규 기자] 일본이 인구조사를 시작한 1920년 이래 처음으로 인구수가 감소했다. 26일 일본 총무성 발표에 따르면, 일본의 2015년 총 인구수는 1억 2711만명으로, 2010년 조사때 보다 94만7000여명(0.7%) 줄어들었다.

쉽게 말해, 5년새 서울의 강북구과 강남구의 인구 정도가 감소한 것이다. 서울 강남구의 인구수는 2015년 기준 58만여명, 강북구의 경우는 34만여명이다.

니혼게이자이 신문 보도에 따르면, 다카이치 사나에(高市早苗) 총무상은 이날 각료(국무)회의에서 2015년 10월 현재 외국인을 포함한 일본의 총인구는 1억 2711만 47명이라고 발표했다. 2010년 조사에 비해 94만 7305명(0.7%)감소한 것으로 일본 총인구가 줄어든 것은 1920년의 조사 시작 이후 처음이다.

총무성은 이번 결과에 대해서 "고령화로 인한 인구의 자연 감소가 커지면서 인구 감소기에 확실히 들어왔다"고 설명했다.

총무성 발표에 따르면, 일본 총인구는 2008년에 절정을 이뤘다. 2010년 조사에서도 2005년 보다 0.2% 늘었는데, 그것은 체류 외국인의 증가 등의 영향인 것으로 나타났다.

2010년 대비 2015년 오사카(大阪)부 인구는 0.3%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오사카 시내는 1% 증가했지만 교외의 시읍면에서 감소가 눈에 띄었다.

일본 전체 인구가 줄어드는 상황에서 증가를 유지한 지역도 있다. 도쿄권역이다. 도쿄(東京)도를 둘러싼 3개 현인 사이타마(埼玉)현, 치바(千葉)현, 카나가와(神奈川)현은 인구가 증가했다.

도쿄도의 인구는 1351만명으로 2.7% 늘었다. 도쿄권의 인구는 3613만명으로 5년 간 51만명 증가했다. 전국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2010년에 비해 전부터 0.6포인트 높아져 28.4%에 달했다.

또한 아이치(愛知)현, 시가(滋賀)현, 후쿠오카(福岡)현, 오키나와(沖縄)현도 인구가 증가했다.

한편 일본의 인구수는 줄었지만, 오히려 가구수는 증가한 것으로도 나타났다. 일본 전국 가구수는 5340만 3226개로 2010년보다 2.8% 늘어났다. 독신가구 증가로 가구수는 역대 최다를 기록했다.1가구당 인원은 사상 최저치인 2.38명이었다.

이번 인구 조사는 2011년 3월 동일본 대지진 이후 최초 인구조사로, 재해지 중에서는 후쿠시마(福島)현의 인구가 5.7% 줄었다. 감소율은 2010년 조사보다 2.7%포인트 확대됐다. 도쿄 전력 후쿠시마 제1원자력 발전소 사고로 피난 구역이 된 후쿠시마 현 내 나미에(浪江), 도미오카(富岡), 오쿠마(大熊), 후타바(双葉) 4개 마을에는 인구수가 '제로'다. 동일본 대지진 피해지역인 이와테(岩手)현의 감소율은 3.8%, 미야기(宮城)현은 0.6%로 2010년 조사 수준이었지만 해일의 피해를 받은 미야기현 오나가와쵸(女川町)에서 37% 줄어들어 연안부에서 감소세가 두드러졌다.

이날 일본 언론은 자국의 인구 감소에 대해 집중 보도했다. 산케이 신문은 26일 기사에서 "일본 침몰의 서막? 인구조사 시작 이후 처음으로 감소세"라며 일본 인구 감소에 대한 우려를 나타냈다.

산케이에 따르면 2015년 유엔 추계에서 각국의 총 인구를 비교해 보면, 일본은 이전 조사와 같은 10위를 차지하고 있다. 다만 2010~2015년 증감률을 보면, 인구 상위 20개국 중 인구가 감소한 것은 일본 뿐이다.

한편 우리나라 인구수는 2013년 기준으로 5022만명으로 세계 인구순위에서 탄자니아에 이어 27위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서울 봉천동 아파트 화재 7명 사상, 방화 용의자는 현장서 사망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서울 관악구 봉천동에서 21일 오전 발생한 화재로 인하여 1명이 사망하고 6명이 중·경상을 입었다. 화재를 낸 것으로 추정되는 방화 용의자는 현장 사망자와 동일인인 것으로 확인됐다. 서울경찰청에 따르면 이날 봉천동에서 발생한 방화 용의자는 60대 남성으로 복도에서 발견된 소사체와 동일인이다. 서울경찰청 관계자는 "불에 탄 변사체의 지문을 확인해본 결과 방화 용의자로 추정하던 사람과 동일인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방화 용의자는 인화물질 액체를 담을 수 있는 토치 형태의 도구로 아파트에 불을 지른 것으로 확인됐다. 아파트 인근에서는 해당 도구로 불을 지르는 모습이 포착되기도 했다. 방화 전에는 본인이 거주하던 주거지에 유서를 남겼다. 현장에 남겨진 유서에는 "엄마 미안하다"는 내용과 함께 딸에게는 "할머니 잘 모셔라"는 내용을 남겼다. 아울러 "이 돈은 병원비하라"며 유서와 함께 현금 5만원을 놓아뒀다. 한편 소방당국은 이날 오전 8시17분께 봉천동 소재 21층 규모의 아파트 4층에서 화재가 발생했다는 신고를 접수하고 출동했다. 화재 연속 확대와 인명 피해 우려에 8시30분 대응 1단계를 발령했으며, 소방 인원 153대와 소방차 45대

정치

더보기
이재명, '공공의대 설립' 공약 발표...공공·필수·지역 의료 인력 양성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 후보가 '공공의대 설립' 공약을 내놓았다. 문재인 정부 시절 추진했다가 의료계 반발로 무산됐던 정책인만큼, 공공의대를 둘러싼 의정 갈등이 되풀이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23일 국회 등에 따르면 이 후보는 지난 22일 페이스북에 "공공의대를 설립해 공공·필수·지역 의료 인력을 양성하고 디지털 인프라를 기반으로 한 차세대 공공의료시스템을 갖춘 공공병원을 확충해 가겠다"고 밝혔다. 6·3 조기 대선이 40여일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나온 이재명 후보의 공약은 응급·분만·외상치료 등 필수의료를 국가가 책임지는 시스템을 만들겠다는 구상이다. 윤석열 정부에서 사회적 갈등 요인으로 급부상한 '의대 증원'은 속도 조절을 예고했다. 전공의와 의대생 등을 포함한 의료계, 환자, 시민단체 등 모든 이해당사자가 참여하는 사회적 합의를 통해 의대 정원을 결정하겠다는 취지다. 앞서 윤 전 대통령은 지난해 2월 의대 정원을 2000명 늘리겠다고 발표했고, 이에 전공의들의 수련병원 이탈, 의대생들의 수업 거부 등 1년 2개월째 의료계와 정부가 대립하고 있다. 이에 이 대표는 의대 증원 가능성은 열어두면서도 '사회적 합의'를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양악수술 후 내 모습’ 미리 보여주는 AI 모델 개발
[시사뉴스 이용만 기자] ‘양악수술을 받은 뒤의 내 모습은?’ 인공지능(AI)을 활용해 양악수술 후의 모습을 미리 보여주는 방사선 영상을 생성하는 기술이 최근 개발됐다. 악교정수술(양악수술)은 안면 골격 이상을 교정하거나 외상으로 인해 변형된 턱뼈를 재배열하는 수술로 미용 목적으로도 많이 시행되고 있다. 하지만 환자마다 부정교합의 정도가 다르기 때문에 수술 계획을 세우고 결과를 예측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 서울아산병원 융합의학과 김남국, 치과 성상진·김윤지 교수팀은 양악수술 전 환자의 해부학적 구조 데이터를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수술 후 모습을 예측해 고해상도의 측면 두부 방사선 영상을 생성하는 AI 모델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이번 AI 모델의 정확도를 검증한 결과, 연구에 참여한 교정 전문의와 구강악안면외과 전문의들은 AI가 생성한 예측 영상과 실제 수술 후 촬영한 영상을 구분하지 못했으며, 두 영상에 표시된 해부학적 기준점(계측점) 간의 평균 오차는 대부분 1.5mm 이하일 정도로 매우 높은 정확도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연구는 향후 의료현장에서 AI를 이용해 양악수술의 결과를 미리 예측하고, 이를 근거로 개별 환자에게 적합한 수술 계획을 세우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