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4.30 (수)

  •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대전 25.8℃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보은 25.4℃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사회

‘제국의 위안부’ 박유하 교수 월급 압류

URL복사

法, 9000만원 배상 판결 따른 채권압류 및 추심명령 신청인용

[시사뉴스 이상미 기자]'제국의 위안부' 저자 박유하(59) 세종대 교수가 위안부 피해 할머니들에 의해 월급 압류를 당했다.

서울서부지법은 이달 1일 이옥선(90) 할머니 등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9명이 박 교수와 세종대 학교법인 대양학원을 상대로 제기한 손해배상금 9000만원 채권압류 및 추심명령 신청을 인용했다.

서울동부지법은 지난달 13일 박 교수가 '제국의 위안부'를 통해 할머니들의 명예를 훼손했다며 9000만원을 배상하라고 판결했고, 이에 위안부 할머니들이 압류 신청을 한 것이다.

박 교수는 2013년 8월 펴낸 '제국의 위안부'에서 "위안부의 본질을 보기 위해서는 '조선인 위안부'의 고통이 일본인 창기의 고통과 다르지 않다는 점을 먼저 알 필요가 있다" 는 등의 내용을 담아 위안부를 '군인의 전쟁 수행을 도운 애국처녀' 등으로 표현했다.

할머니들은 박 교수가 '제국의 위안부'를 통해 자신들의 명예를 훼손했다면서 2014년 7월 책 판매금지 가처분 신청과 함께 1인당 3000만원씩 총 2억7000만원을 지급하라는 손해배상 청구 소송을 제기했다.

법원은 가처분 신청을 일부 인용해 현재 판매되고 있는 '제국의 위안부'에는 문제가 된 표현 34곳이 지워져있다.

또 손해배상 청구 소송에서 원고 일부 승소 판결을 내린 바 있다.

위안부 할머니들은 배상을 가집행할 수 있다는 재판부 선고에 따라 지난달 25일 서울서부지법에 채권압류 및 추심명령을 신청했으며 법원은 이를 인용했다.

이에 따라 세종대는 이달 초 손해배상금을 모두 갚을 때까지 매월 급여의 일부 금액을 압류하겠다는 통보 메일을 박 교수에게 보냈다.

박 교수는 자신의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통해 "전혀 예상하지 않았던 일이다. 나눔의 집의 목적은 나의 명예를 현재 이상으로 훼손하는데 있는 것 같다"고 전했다.

이어 "이제까지 너무 나이브하게 대응했다고 생각한다. 나눔의 집의 문제를 알면서도 가능한 말하지 않았다"며 "우선 나를 위해서지만 이런 이들이 또 다시 누군가를 괴롭히는 일이 없도록 태도를 바꿀 수 밖에 없을 듯하다"고 밝혔다.

박 교수는 위안부 할머니들의 명예를 훼손한 혐의로 기소돼 형사 재판을 받고 있으며 이 재판에 대해 국민참여재판을 신청한 상태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학교 먹는물’ 철저하게 관리한다··· 이효원 서울시의원 발의 조례 통과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서울시에도 ‘학교 먹는물’을 관리·지원하는 규정이 마련됐다. 서울특별시의회 교육위원회 소속 이효원 의원(국민의힘, 비례)이 발의한 「서울특별시교육청 학교 먹는물 관리 조례안」이 지난 30일 제330회 임시회 제3차 본회의를 통과했다. 이번 조례안은 서울시 교육감과 각 학교장이 교내 먹는물을 관리·지원하고 먹는물의 유지보수를 위한 책무를 규정하기 위해 발의됐다. 교육감은 학교 먹는물을 관리하기 위한 지원 사업을 규정하고, 학교장은 교내 먹는물을 관리하기 위해 자체적으로 각각의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본 조례안의 골자다. 현재 학교 먹는물은 학교와 지역별로 공급원과 공급장치가 상이하고 다수가 함께 사용하는 특성상 관리가 까다로워 보건·위생상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농후하다. 특히 서울시 학교의 경우 서울시 수돗물인 ‘아리수’ 음수대뿐만 아니라 정수기, 먹는 샘물 등 여러 공급장치가 설치돼 있어 학교 먹는물의 체계적인 관리가 필요한 실정이다. 이효원 의원은 “물은 인간의 생명을 유지하기 위해 누구나 매일 일정량을 섭취해야 하는 기본적인 영양소이자 필수 요소”라며 “무엇보다 학생과 교직원이 하루 중 대부분의 시간을 보내는 학교에서 제공되는 먹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