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4.30 (수)

  •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대전 25.8℃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보은 25.4℃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사회

‘경고신호 보냈지만…’ 자살 93.4% 가족들 몰라

URL복사

74.8%는 우울증 시달려…언어·행동·정서적으로 자살의도 사전 표현

[시사뉴스 이상미 기자]자살사망자들은 사망 전 언어와 행동 등으로 자살 경고신호를 보내지만 가족들은 대부분 이러한 경고신호를 인지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의 언어·행동·정서변화를 유심히 관찰해 징후를 알아차렸다면 자살을 막을 수 있었음을 시사한다.

보건복지부는 26일 이러한 내용의 심리부검 결과를 발표했다. 자살사례에 대한 분석을 실시한 것으로 20세 이상 자살사망자(121명)의 유가족(151명)을 구조화된 심리부검 조사도구를 통해 면담하고,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와 정신보건 전문가들이 분석했다.

일반적으로 자살자는 자살 전 경고신호를 보내는 경우가 많았다. 이번 심리부검 결과 사망자의 93.4%가 경고신호를 보였다.

경고신호는 고인이 자살에 대해 생각하고 있거나 자살을 할 의도가 있음을 드러내는 징후를 의미하며 언어적, 행동적, 정서적 방식으로 표현될 수 있다.

언어는 ▲죽음에 관한 직접적인 언급("내가 먼저 갈테니, 건강히 잘 지내고 있어") ▲신체적 불편감 호소 ("허리가 아프다", "소화가 안 된다") ▲자살방법에 대한 질문·언급("총이 있으면 편하게 죽겠다") ▲사후세계를 동경하는 표현("천국은 어떤 곳일까?") ▲주변 사망자에 대한 언급 및 그리움을 표현(자살한 사람에 대해 질문) ▲편지, 노트 등에 죽음 관련 내용 기재(일기장에 '자꾸 나쁜 생각이 든다'고 씀) 등이 있다.

행동은 ▲수면상태의 변화·식욕 및 체중 변화 ▲주변 정리(현금을 다량 인출해 남은 가족에게 전달) ▲자살에 대한 계획(농약이나 번개탄 등을 구입) ▲평소와 다른 행동(사망 전날 가족과 특별한 시간을 보내려고 함) ▲외모관리에 무관심(노인의 경우 염색할 때가 됐는데 하지 않음) ▲물질남용(급격한 음주 및 흡연량 증가) ▲죽음과 관련된 예술작품이나 언론보도에 과도하게 몰입(다른 사람의 자살 관련 기사를 일부러 검색해 정독) ▲가족 및 지인에게 평소 하지 않던 고마움과 미안함을 표현 ▲인지기능 변화(집중력 저하, 업무처리에 실수가 많아짐) 등이 신호로 제시된다.

갑작스러운 눈물, 웃지 않고 말이 없어지고 무기력, 대인기피, 흥미상실(외출을 줄이고 집에서만 지냄) 등의 감정상태의 변화도 위기 징후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유가족의 81.0%는 자살자의 사망 전 경고신호를 알아차리지 못해 적절한 도움을 주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사실을 감안할 때 자살 경고신호에 대한 교육 등 자살예방 게이트키퍼 교육이 확대될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복지부 관계자는 “경고신호를 알아차리는 못하는 유가족이 상당한 것으로 나타났다”며“많은 사람을 주기적으로 관찰할 수 있는 통반장, 복지 담당자 등을 비롯해 군인과 경찰, 선생님 등 다양한 직군에 게이트키퍼 교육을 강화할 것이다”고 말했다.

이어 “가족·친구 등 주변 사람들이 이전과 다른 정서적, 행동적 변화를 보인다면 지역의 정신건강증진센터(전화 1577-0199) 및 정신의료기관 등 자살예방 전문기관에게 의뢰하는 것이 자살 예방에 도움이 된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학교 먹는물’ 철저하게 관리한다··· 이효원 서울시의원 발의 조례 통과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서울시에도 ‘학교 먹는물’을 관리·지원하는 규정이 마련됐다. 서울특별시의회 교육위원회 소속 이효원 의원(국민의힘, 비례)이 발의한 「서울특별시교육청 학교 먹는물 관리 조례안」이 지난 30일 제330회 임시회 제3차 본회의를 통과했다. 이번 조례안은 서울시 교육감과 각 학교장이 교내 먹는물을 관리·지원하고 먹는물의 유지보수를 위한 책무를 규정하기 위해 발의됐다. 교육감은 학교 먹는물을 관리하기 위한 지원 사업을 규정하고, 학교장은 교내 먹는물을 관리하기 위해 자체적으로 각각의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본 조례안의 골자다. 현재 학교 먹는물은 학교와 지역별로 공급원과 공급장치가 상이하고 다수가 함께 사용하는 특성상 관리가 까다로워 보건·위생상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농후하다. 특히 서울시 학교의 경우 서울시 수돗물인 ‘아리수’ 음수대뿐만 아니라 정수기, 먹는 샘물 등 여러 공급장치가 설치돼 있어 학교 먹는물의 체계적인 관리가 필요한 실정이다. 이효원 의원은 “물은 인간의 생명을 유지하기 위해 누구나 매일 일정량을 섭취해야 하는 기본적인 영양소이자 필수 요소”라며 “무엇보다 학생과 교직원이 하루 중 대부분의 시간을 보내는 학교에서 제공되는 먹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