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김부삼 기자]임성남 외교부 제1차관이 16일 미국, 일본 외교차관과 연쇄 양자회담을 갖고 북한의 핵실험 사태에 대해 긴밀히 대응해나가자는 의지를 재확인했다.
임성남 차관과 토니 블링큰 미국 국무부 부장관은 이날 오전 일본 도쿄에 있는 한국대사관에서 한·미 외교차관 회담을 열어 이같은 의견을 교환했다. 양 차관은 이날 오후에 열릴 한·미·일 외교차관협의회에 참석하기 위해 일본을 방문 중이다.
양 차관은 회담에서 북한의 제4차 핵실험 이후 양국 정상, 외교·국방장관, 6자회담 수석대표 등 각급 채널에서의 빈틈없는 공조 하에 신속한 조치를 취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이어 북한에 대한 강력하고 포괄적인 제재를 통해 상응하는 대가를 치르도록 추진해 나가기로 뜻을 모았다.
외교부는 "양 차관이 유엔 안보리 결의의 신속한 채택을 추진해 과거와는 차별화된 압박외교를 전방위로 전개해 나가기로 했다"며 "한·미 연합방위태세도 강화해 나가기로 했다"고 전했다.
이를 위해 양국은 한·미 포괄적 전략동맹을 한층 더 강화시키기 위해 고위급 전략 채널을 활성화하기로 했다.
임 차관은 이날 오후 사이키 아키타가 일본 외무차관과 한·일 외교차관회담을 갖고 한반도 정세, 한일관계 등에 대한 상호 의견을 교환했다.
양 차관은 '12·28 위안부 합의'의 후속조치를 착실히 이행하기 위해 계속 협의해 나가기로 하는 한편 북한 핵실험에 단호히 대응해야 한다는 공동의 인식을 같이했다.
한·미·일 3국은 이날 오후 제2차 외무차관협의를 갖고 효과적은 대북 제재 수위를 논의할 예정이다. 3국 외교차관은 이날 협의에서 지난 14일 있었던 한·중 6자회담 수석대표 회동 결과를 평가하고, 대북 제재 수위에 온도 차를 보이는 중국과의 협력 방안도 모색할 전망이다.
강력한 대북 제재를 추진하는 한·미·일 3국과 달리 중국은 대화를 통한 문제 해결이라는 원칙 아래 '명확한 대북 제재'를 주장하며 3국의 움직임에 난색을 내비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