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강철규 기자] 국제통화기금(IMF)은 지난달 30일(현지시간) 내년 10월부터 중국 위안화를 특별인출권(SDR) 기반통화(바스켓)에 편입하기로 하면서 구성 비율을 10.92%로 책정했다.
위안화의 구성 비율은 달러(41.73%), 유로(30.93%)에 이은 3번째로 엔화(8.33%)와 파운드(8.09%)보다 높다.
IMF는 엔화와 파운드에 비해 많은 비중을 위안화에 배정하면서 중국의 무역 규모와 위안화 거래량, 외환보유액에서 사용 비율, 국제적인 공신력 등을 고려했다.
SDR 통화바스켓에 들어가려면 무엇보다도 해당 통화국의 무역량과 통화거래 자유도라는 2대 조건을 충족해야 한다.
중국은 유로권 다음의 무역 규모를 자랑하며, 장기간 엄격히 제한해온 위안화의 국제화도 유럽과 아시아에서 위안화 상품에 투자할 수 있을 정도로 진척시켰다.
크리스틴 라가르드 IMF 총재가 위안화의 편입을 결정한 이사회 후 기자회견에서 "중국 당국이 수년에 걸쳐 통화와 금융 제도의 개혁에 노력했다"고 평가할 정도로 인정을 받았다.
이런 중국 경제의 실력면에서 따져보면 위안화 구성 비율은 타당한 수준이라고 지적이 대체적이다.
통화바스켓에서 위안화에 공간을 내주기 위해 기존의 4개 통화는 비율 조정을 거쳤다.
파운드는 현행 11.3%에서 8.1%로 비율이 28.3%나 줄어 가장 큰 피해자로 볼 수 있다. 유로도 37%에서 30.9%로 17.4%가 감소하며 일본은 9.4%에서 8.3%로 11.7%나 지분이 축소했다.
다만 미국은 41.9%에서 41.7%로 0.5% 정도만 감소해 압도적인 위상에는 거의 영향이 없는 셈이다.
애초 IMF가 지난 7월 위안화의 구성 비율을 14~15%까지 잡았다는 관측이 나왔다.
하지만 이번에 통화바스켓 편입 사정 중점을 중국의 강점인 무역보다 통화거래 자유도에 두면서 낮아졌다는 분석도 있다.
그러나 2021년 9월30일까지로 예정된 다음 번 조정 때는 중국 경제규모의 확대와 위안화의 국제화로 구성 비율이 대폭 높아질 것이 분명하다.
위안화의 SDR 통화바스켓 진입으로 중국, 한국을 비롯한 주요 무역상대국은 과도한 달러 의존에서 벗어날 수 있는 기회를 잡았다.
무엇보다 중국은 수출입과 투자에서 위안화를 사용함으로써 환율변동 리스크와 환율 헤지 비용을 피하는 것이 가능하다.
시진핑(習近平) 지도부가 적극 추진하는 아시아와 아프리카, 중남미에서 인프라 투자에도 위안화 자본을 대거 주입할 수 있다.
위안화의 공신력 제고로 각국의 외환보유액에서 위안화의 점유율도 현재 1% 수준에서 10%까지는 쉽게 늘어날 것으로 점쳐진다.
여기에 중국 당국은 2020년 종료하는 제13차 5개년 계획 기간 국내총생산(GDP)을 2010년에서 배증할 방침으로 그만큼 중국의 구매력과 소비가 팽창하게 된다.
그만큼 가용도가 상승하면서 위안화의 구성 비율은 차기 조정 때는 적어도 지금보다 두 배 이상으로 확대, 20%대에 진입할 공산이 농후하다는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