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10.10 (금)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경제

故이병철 회장 28주기…범삼성가 개별 추도행사

URL복사

19일 용인 호암미술관 인근 선영에서 진행

[시사뉴스 우동석 기자] 삼성 창업주인 이병철(1910년~1987년) 회장의 28기 추도식이 19일 오전 경기 용인 호암미술관 인근 선영에서 열렸다.

올해 추도식은 와병 중인 이건희 회장을 대신해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주관했다.

추도식에는 이 부회장과 모친 홍라희 삼성미술관 리움 관장, 동생 이부진 호텔신라 사장과 이서현 삼성물산 패션부문 사장 등이 함께 했다. 최지성 삼성그룹 미래전략실장과 권오현 삼성전자 부회장 등 사장단 50여명도 추도식에 참석했다.

다만 관심을 모았던 범(汎) 삼성가(家)가 함께 하는 추도행사는 이뤄지지 않았다.

그동안 이병철 회장의 추도식은 삼성그룹, 제사는 CJ그룹에서 챙겼다. 추도식은 삼성그룹 주도로 용인에서 열렸다. 제사는 CJ그룹이 서울 필동의 CJ인재원에서 따로 지냈다.

전통적으로 선대회장 추도식에는 삼성, CJ, 신세계, 한솔 등 삼성가가 모두 모여 창업주의 업적을 기렸다. 하지만 2012년 이맹희 CJ그룹 명예회장(1931년~2015년)과 이건희 회장의 재산 상속 다툼 이후에는 별도로 추모식을 진행했다.

지난해 추모식에서는 삼성과 CJ간 상속 소송이 마무리되면서 범 삼성가가 함께 모일 것으로 기대했지만 성사되지 못했다. 이 부회장을 비롯한 이건희 회장 직계가족은 오전, CJ그룹과 신세계 한솔그룹 등은 오후에 선영을 찾았다.

이날 추도식도 지난해와 동일하게 오전과 오후로 나눠 진행됐다.

오전 추도식은 삼성의 이 부회장 직계 가족들이 선영을 참배한 뒤 삼성그룹 주요 계열사 사장들이 참배하는 순서로 진행됐다. CJ그룹과 신세계그룹, 한솔그룹 등 범 삼성가는 오후에 각각 선영을 방문해 참배했다.

CJ그룹은 손경식 회장이 이재현 회장을 대신해 이채욱 CJ주식회사 대표 등 주요 경영진 40여명을 이끌고 참배했다. 신세계그룹에서는 김해성 사장, 이갑수 이마트 대표 등 사장단만 오후에 다녀갔다.

호암의 외손자인 조동길 한솔그룹 회장도 계열사 사장들과 함께 선영을 찾았다.

추도식 이후 제사는 이날 저녁 CJ그룹 주관 하에 서울 CJ인재원에서 치러진다. 제사는 구속정지집행으로 병원에 있는 이재현 CJ그룹 회장을 대신해 이 회장의 아들인 선호군이 주관한다. 선호군은 재작년부터 선대회장의 제사를 주재해왔다.

호암의 막내딸인 신세계 이명희 회장과 정유경 부사장도 참석한다. 정용진 신세계 부회장은 현재 해외 출장 중이다.

이병철 회장은 1938년 삼성물산의 전신인 삼성상회를 창업한 후 삼성그룹을 일궜다. 이 회장은 삼성물산, 제일모직, 삼성전자 등 삼성그룹의 핵심 계열사들을 세웠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배너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디지털 약자들의 정보격차 어떻게 해소할 것인가
스마트폰 하나만 있으면 은행 업무부터 병원 예약, 대중교통 이용, 행정 서비스까지 해결되는 시대다. 그러나 이 편리함은 상대적으로 디지털 정보활용 취약계층에게는 새로운 장벽이 되곤 한다. 각종 기관의 창구 업무는 줄어들고 키오스크 등 디지털 기기만 늘어나고 있다. 디지털 전환은 이제 선택이 아닌 생존의 문제다. 전자정부, 모바일뱅킹, 온라인쇼핑, 스마트농업 등 대부분의 사회·경제 활동이 디지털을 기반으로 이뤄지는 시대다. 하지만 모두가 그 혜택을 고루 누리고 있는 것은 아니다. 노인뿐 아니라, 전업주부, 저학력자, 농촌 거주자, 장애인 등 이른바 ‘디지털 정보취약계층’은 여전히 정보 불평등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이러한 정보격차는 단순한 ‘기술 접근’의 문제가 아니다. 기기 사용 능력의 부족, 낮은 디지털 문해력, 인프라 격차, 생활환경의 한계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정보에 대한 접근 권한과 활용 능력이 결여되면 일상적인 서비스 이용은 물론, 경제 활동, 교육 기회, 복지 접근까지 제한받는다. 디지털 기술이 사회를 더 평등하게 만들기는커녕, 오히려 기존의 격차를 심화시키는 역설적 결과가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지방의 중장년층 여성이나 농민, 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