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SK증권은 24일 현대차에 대해 미국 시장에서 하이브리드 차량의 판매 확대 등으로 내년 호실적이 기대된다며 투자의견은 '매수', 목표주가는 33만원을 유지했다.
윤혁진 SK증권 연구원은 "기존 내연기관 모델보다 10% 이상 비싼 하이브리드 비중 증가, 상대적으로 고가인 펠리세이드 하이브리드 출시, 현대차 브랜드보다 60~70% 고가인 제네시스 브랜드 판매 비중 증가는 회사의 장기적인 평균판매단가(ASP) 상승 요인"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미국 자동차 시장에서 2022년초 6% 수준에 그쳤던 하이브리드 차량의 비중은 최근 13% 이상을 기록하며 두배 이상 증가했다. 하이브리드 시장 규모 확대에 더해 현대차의 미국 하이브리드 차량 시장 점유율은 2024년초 5%대에서 최근 8~9%까지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해 윤 연구원은 "투싼 하이브리드를 중심으로 산타페, 소나타, 아반테 하이브리드 판매가 호조를 보이고 있다"며 "현대차는 매출액과 수익성 두 마리 토끼를 잡고 있는 것"이라고 평가했다.
증권가에서는 내년 미국 시장에서 15%의 자동차 품목 관세율에 대한 비용을 감안하더라도 현대차의 호실적을 예상하고 있다. 현대차의 내년 연결기준 매출액은 201조7000억원으로 전년 대비 6%, 영업이익은 13조4000억원으로 9.6% 상승할 것으로 추정된다.
윤 연구원은 "내년 미국 자동차 품목 관세율 15% 기준 연간 관세비용은 4조3000억원으로 추정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회사는 양호한 실적 기록할 수 있을 것"이라며 "뉴 노멀이 된 원달러 환율은 관세비용을 절반 가까이 상쇄시켜줄 것이며, 15% 관세 시대에서 재편될 미국 시장 점유율 상승은 내년과 내후년 실적 업사이드 요인"이라고 전망했다.
이어 "현대차는 25% 관세하에서도 미국 시장 점유율이 높아졌으며, 이익 체력이 약한 닛산, 스텔란티스 등이 먼저 가격 인상을 실시할 경우 시장은 현대차그룹과 도요타로 급격한 시장 재편이 이뤄질 것"이라며 "이에 더해 내년 신차 골든 사이클에 진입해 성장성이 높아질 전망"이라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