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강철규 기자] 최근 인도네시아 고속철도 수주 경쟁에서 중국에 밀린 일본이 신흥국 시장을 잡기 위해 대대적인 '엔화공세'에 나선다. 신흥국의 기반 시설 정비를 위한 엔차관 제도를 대폭적으로 손본다는 것이다.
18일 교도통신, 요미우리(讀賣)신문 등 일본 외신보도에 따르면, 일본 정부는 신흥국 대출시 현지 정부의 보증을 필수요건에서 제외하기로 했다. 예를 들면, 기존까지는 일본 정부가 상대국 정부와 국영기업 등에 차관 제공시 상대국 정부의 100% 보증이 필요했다. 그러나 앞으로는 상대국 정부 보증이 50% 정도여도 차관을 공여할 수 있게 했다.
대형 인프라 수주를 받기 위해 차관 절차 기간도 절반으로 줄이기로 했다. 종전에는 상대국으로부터 엔차관 요청부터 공사 입찰까지 약 3년이 걸렸지만 이것을 최대 1년 정도로 단축한다.
일본 정부가 엔차관 절차를 대폭 간소화한 것은 신흥국 시장에서 중국을 견제하기 위한 것이라고 일본 언론은 해석했다. 중국이 주도하는 아시아인프라투자은행(AIIB)에 대항하겠다는 의도도 있다.
요미우리는 아베 신조(安倍晉三) 일본 총리가 21일 말레이시아에서 열리는 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 관련 회담에서 이러한 구상을 밝힐 것이라고 전했다. 아베 총리는 회동에서 아시아 인프라 정비에 5년간 1100억달러(약 130조원)를 지원할 것을 표명할 방침이다. 일본 정부 관계자는 "1958년 엔화 차관이 시작된 이후 최대의 개혁이다"라고 평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