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9.12 (금)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사회

지방의대 수시 등록 포기, 전년 대비 최대 3배…'정시 이월' 규모 커질 듯

URL복사

부산대 의대 87명, 충북대 120명…전년 대비 3배
등록 포기 인원 지방권 4개 의대 283명, 전년 117명보다 2.4배 증가
공식집계 발표한 13개 약대 수시 등록포기 비율 79.0%, 전년 54.3%보다 증가
연세대 치대 등록 포기 비율 94.1%(전년 32.4%), 부산대 한의대 100.0%(전년 45.0%)
의대 증원 따른 연쇄 이동…정시 이월도 늘 여지
"지난해 33명보다 훨씬 많을 듯…100명대 전망"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2025학년도 수시 등록을 포기한 지방권 의대 수시 모집인원 대비 99.6%로 등록포기자가  전년대비 2.4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대입 수시전형이 마무리된 가운데 지방권 의과대학 중 등록을 포기한 합격자가 전년 대비 3배까지 증가한 사례가 나왔다. 정시 이월 인원도 100명대까지 불어날지 관심을 모은다.

 

지난 29일 종로학원이 지난 27일 수시 미등록 인원을 공개한 지방권 의대 4곳 현황을 취합한 결과, 부산대 의대는 104명 모집에 87명(83.7%)이 등록을 포기했다. 전년도 미등록 인원(29명)과 견줘 3배 늘어난 것이다.

 

의대 증원으로 국립대 중 가장 많은 모집인원이 늘어난 충북대의 경우 60명 모집에 합격자 120명(200%)이 등록하지 않았다. 전년도 44명보다 2.7배 불어난 셈이다.

 

제주대는 의대 합격자 중 등록 포기자가 전년도 18명에서 올해 46명(모집인원의 124.3%)으로, 강원 연세대 미래는 26명에서 30명(36.1%)으로 각각 증가했다.

 

지방권 의대 4곳을 합하면 283명이 등록하지 않은 것으로 이들 의대 모집인원(284명) 대비 99.6%에 이른다. 전년도 수시모집 때는 117명이었는데 2.4배 많아졌다.

 

지방의대 다음 입시 서열로 평가 받는 약대와 치대, 한의대의 미등록 수시 합격생 수가 크게 늘어난 양상이다.

 

지난 27일까지 수시 미등록 현황을 발표한 약대 13곳에서는 모집인원(372명) 대비 79%인 294명의 합격자가 등록을 하지 않았다. 전년(202명) 대비 45.5% 늘었다.

 

서울권 약대 7곳에서는 덕성여대 49명(96.1%), 동덕여대 19명(95.0%), 이화여대 27명(87.1%), 연세대 10명(55.6%), 서울대 13명(30.2%) 등 총 136명이었다.

 

경인권의 가톨릭대 약대는 24명(96.0%)이 등록하지 않았고 차의과대 약대는 모집인원(24명)보다 많은 36명(150.0%)의 합격생이 등록을 포기했다.

 

치과대학에서도 서울대 8명(32.0%), 연세대 32명(94.1%) 등 수치를 공개한 2개 대학에서 총 모집인원 대비 67.8%를 차지하는 40명의 등록 포기자가 나왔다. 전년도에는 20명에 그쳤으나 두 배 늘어난 셈이다.

 

부산대 한의대도 등록 포기자가 모집인원과 같은 20명 발생해 전년도의 9명(45.0%)보다 2.2배 불어났다.

 

등록을 포기한 합격생은 보다 높은 합격선을 차지하는 다른 대학에 합격해 빠져나가는 경우가 많은 만큼, 지방의대와 치·약·한의대 등 메디컬 계열에서 이탈한 합격생들은 다른 의대나 수도권 지역 의대를 택한 것으로 보인다.

 

지방의대와 메디컬 계열의 수시 등록 포기자가 2~3배 늘어난 만큼 다른 의대에서도 합격생을 충원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을 가능성이 높고, 끝내 충원하지 못한 빈 자리를 정시로 넘기는 '정시 이월'도 늘어날 가능성이 높아진다.

 

지난 27일 2025학년도 수시 최종 등록 절차가 모두 끝나면서 대학들은 주말 동안 정시 이월 인원을 집계한 후 정시 모집요강을 통해 조만간 공표할 것으로 보인다.

 

전년도 입시에서 의대 39곳 중 정시 이월은 14곳에서 총 33명 발생했다. 올해는 증원 폭이 컸던 지방권 의대를 중심으로 100명대까지 늘어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임성호 종로학원 대표는"의대 모집인원 확대로 수시에 합격한 학생 중 상당수가 의대 간, 의약학 계열 간 전 부문에서 미등록 규모가 늘었다"며 "의대 정시 이월 규모는 훨씬 커질 수 있고 100명 내외까지 갈 수 있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헬렌 켈러의 삶을 새롭게 재해석한 비언어극 ‘마이 디어, 헬렌’ 공연
[시사뉴스 정춘옥 기자] 부산 극단 ‘배우, 관객 그리고 공간(배·관·공)’이 배리어프리 연극 ‘마이 디어, 헬렌’을 무료로 선보인다. 이번 공연은 한국장애인문화예술원의 장애인 문화예술 향유 지원 사업의 일환으로 마련됐으며, 장애인 관객이 차별 없이 공연을 즐길 수 있도록 기획됐다. 공연은 9월 11일부터 21일까지 부산 북구 창조문화활력센터 소극장 624에서 열리며, 러닝타임은 약 55분이다. 전 연령 관람이 가능하다. ‘마이 디어, 헬렌’은 헬렌 켈러의 삶을 새롭게 재해석한 비언어극으로, 언어를 최소화하고 움직임과 몸짓을 중심으로 구성해 청각, 시각, 언어적 제약이 있는 관객도 불편 없이 이해하고 즐길 수 있도록 했다. 작품은 어린 시절부터 성숙한 사회운동가로서의 삶까지 세 장면으로 펼쳐지며, 장애인 배우가 직접 무대에 올라 비장애인 배우와 호흡을 맞춘다. 자막과 현장 음성 해설을 통해 장애인 관객의 접근성을 높이고, 비장애인 관객에게도 새로운 연극적 체험을 선사한다. 공연 후에는 관객과의 대화가 이어져 창작 과정과 배우들의 이야기를 공유하며 예술의 사회적 의미를 더욱 깊게 나눈다. 이 작품은 2025년 7월 프랑스 아비뇽 오프 페스티벌 공식 초청작으로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생성형 AI 활용…결국 사용자의 활용 능력과 방법에 달려 있다
지난 2022년 인공지능 전문 기업인 오픈AI에서 개발한 챗GPT를 비롯해 구글의 Gemini(제미나이), 중국의 AI기업에서 개발한 딥시크, 한국의 AI기업에서 개발한 뤼튼, 미국 캘리포니아에 본사를 두고 있는 중국계 미국기업이 개발한 젠스파크 등 생성형 AI 활용시대가 열리면서 연령층에 상관없이 생성형 AI 활용 열기가 뜨겁다. 몇 시간에서 며칠이 걸려야 할 수 있는 글쓰기, 자료정리, 자료검색, 보고서, 제안서 작성 등이 내용에 따라 10초~1시간이면 뚝딱이니 한번 사용해 본 사람들은 완전 AI 마니아가 되어 모든 것을 AI로 해결하려 한다, 이미 65세를 넘어 70세를 바라보는 필자는 아직도 대학에서 3학점 학점 수업을 진행하고 있다. 지난 2일 개강 첫날 학생들에게 한 학기 동안 글쓰기 과제물을 10회 정도 제출해야 하는데 생성형 AI를 활용해도 좋으나 그대로 퍼오는 것은 안 된다는 지침을 주었다. 그러면서 “교수님이 그대로 퍼오는지 여부를 체크 할수 있다”고 큰소리를 쳤다. 큰소리가 아니라 지난 학기에도 실제 그렇게 점검하고 체크해서 활용 정도에 따라 차등 평가를 실시했다. 이렇게 차등 평가를 할 수 있다는 것은 필자가 생성형 AI 활용 경험이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