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7.26 (토)

  • 맑음동두천 32.0℃
  • 맑음강릉 33.9℃
  • 맑음서울 32.7℃
  • 맑음대전 32.8℃
  • 맑음대구 31.6℃
  • 맑음울산 31.0℃
  • 맑음광주 32.3℃
  • 구름조금부산 31.5℃
  • 맑음고창 33.1℃
  • 구름조금제주 29.9℃
  • 맑음강화 30.8℃
  • 맑음보은 30.5℃
  • 맑음금산 30.8℃
  • 맑음강진군 33.3℃
  • 맑음경주시 31.9℃
  • 구름조금거제 29.1℃
기상청 제공

국제

피엘라벤, ‘스웨덴 지속가능 브랜드 지수’ 의류&패션 산업-브랜드 분야 1위

URL복사

[시사뉴스 김찬영 기자] 알펜인터내셔널(대표 조인국)의 스웨덴 프리미엄 아웃도어 브랜드 '피엘라벤'이 2021년 스웨덴 지속가능 브랜드 지수(Sustainable Brand Index) 의류&패션 산업-브랜드 분야에서 지난해에 이어 1위를 차지했다고 16일 밝혔다.

 

지난 2011년부터 매년 실시하고 있는 스웨덴의 지속가능성 브랜드 지수 조사는 유럽 최대 지속가능성 조사로 35가지 산업 분야 1,400개 브랜드를 대상으로 8개국 5만8000명의 소비자가 평가에 참여한다.

 

크리스티안 돌바 손버그 피엘라벤 지속가능성 매니저는 "피엘라벤이 스웨덴 의류&패션 산업-브랜드 분야에서 가장 지속가능한 브랜드로 여겨진다는 것은 기쁜 일이다. 우리가 더 발전하기 위해 노력하는 것에 대한 보상이라고 생각한다. 지속가능성은 우리에게 별개의 개념이 아니라 우리가 하는 모든 일의 핵심 원칙이다. 말보다 행동이 설득력 있다고 믿고 있으며, 믿음을 실행하는 데 쏟아붓는 노력과 모든 행동을 소비자들이 알아준다는 것은 굉장히 보람찬 일"라고 말했다.

 

 

피엘라벤은 기능적이면서도 시간을 타지 않는 디자인에 내구성이 좋은 아웃도어 의류와 장비를 갗췄다. 사람들이 자연 속에서 걷고 시간을 보내면서 자연을 훼손시키지 않을 수 있는 다양한 방식을 고민한다. 이 지표는 R&D, 디자인, 생산을 포함하는 모든 제품 개발에 해당한다.

 

특히 소재를 선택할 때 지속가능한 의류연합(Sustainable Apparel Coalition, SAC)가 발표하는 '히그 지수(Higg Index: 의류 소재를 생산하는데 들어가는 환경 부담 요인을 나타낸 수치)' 기준을 적용해 재활용, 오가닉, 재생 소재를 우선 순위에 둔다.

 

피엘라벤 브랜드는 지속가능한 의류연합과 UN 기후행동 계획(UN Global Climate Action Initiative)의 멤버로 모든 상품은 2015년부터 독성 화학 물질 PFC를 사용하지 않는 발수 코팅을 한다. 브랜드 핵심 소재인 G-1000은 모두 재생 폴리에스테르와 오가닉 면을 사용한다. 동물 복지와 사회적 지속가능성도 생산 과정에서 최우선으로 고려한다. 더불어 아웃도어 산업에서 투명하고 윤리적인 다운 생산과 지속가능한 울 생산을 주도하고 있다.

 

자체 개발 소재인 G-1000은 경량 소재인 G-1000 에어를 제외하고는 모두 매우 튼튼하고 치밀한 직조로 제작돼 있다. 기본적으로 방풍 기능이 매우 뛰어나며 자체적으로 만든 그린란드 왁스 반복 사용 여부에 따라 방수, 내구성이 높아진다. 왁스는 파라핀과 천연 비즈왁스를 조합해 만든 것으로 이 왁스를 원단에서 제거하면 옷은 더 가볍고, 통기성이 좋아진다. 날씨에 따라 왁스 사용 여부를 결정해 4계절 내내 옷을 기능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대표적인 상품군인 '넘버스 시리즈'는 피엘라벤 론칭 초기 헤리티지를 계승한 플래그십 라인이다. 넘버스 상품군이 가진 숫자는 그 상품이 개선된 버전의 횟수다. 예를 들어 '재킷 No.68'은 68번째 개선을 통해 선보인 상품을 의미한다.

 

사용하는 소재는 모두 친환경 소재로 유럽 내에서 인증된 공급처로부터 구입한 것이다. '세대를 뛰어넘는 궁극의 내구성과 유니크한 디자인'을 목표로 자연 속에서 오랫동안 사용하며 환경 영향을 최소화하는 것이 목표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한 가족의 삶을 통해 대한민국 근현대사 100년을 통찰하다
[시사뉴스 정춘옥 기자] 페스트북은 정일남 작가의 소설 ‘반갑다, 지리산 무지개여!: 격동기를 살아낸 한민족의 이야기’를 올해의 추천 도서로 선정했다. 이 책은 일제강점기와 6·25전쟁, 강제 노역과 해방을 거치며 한반도를 휘몰아친 격동의 역사를 평범한 민초의 삶을 통해 그려낸 역사소설이다. 정일남 작가는 노스텍사스대학에서 화학 박사 학위를 받은 후 평생을 화학 연구자로 살았다. 정년 퇴임 이후에는 벤처기업 JSI실리콘을 설립했다. 그는 “오늘날 대한민국이 이룬 발전이 결코 저절로 얻어진 것이 아님을, 개개인의 수많은 노력과 희생 위에 세워진 것임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됐으면 한다”며 “또한 지나온 역사 속에서 미처 깨닫지 못했거나 바로잡아야 할 부분들을 함께 성찰하고, 어떤 마음가짐으로 미래를 향해 나아가야 할지 고민하는 작은 계기가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라고 출간 소감을 전했다. 페스트북 편집부는 ‘반갑다, 지리산 무지개여!’는 위대한 영웅이 아닌 지리산 부근에 사는 한 가족의 삶을 통해 대한민국 근현대사 100년을 통찰하는 소설로, 그들의 삶과 슬픔, 저항을 날 것의 모습 그대로 꾹꾹 눌러 담았다며, 강제 노역과 전쟁, 분단의 파고를 지나야 했던 사람들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의대생 전공의 복귀하려면 무조건 사과부터 해야
지난해 ‘의대 정원 2000명 증원’에 반발해 집단 이탈했던 의대생과 전공의들이 지난 14일 전격 복귀 의사를 밝히면서 17개월 만에 의정 갈등이 마침표를 찍게 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다만 복귀자들에 대한 학사일정조정, 병역특례, 전공의 시험 추가 응시기회 부여 등 특혜 시비를 슬기롭게 해결하지 못하면 의정갈등의 불씨는 계속 남아있게 된다. 새로운 정부가 들어서면서 1년5개월 만에 해결의 실마리를 찾고 있는 의정 갈등의 해법은 의대생, 전공의들이 무조건 국민과 환자들에게 의정 갈등으로 인한 진료 공백 사태에 대해 사과부터 하고 그 다음 복귀 조건을 제시하는 수순을 밟는 것이다. 지난해 2월부터 발생한 의정 갈등은 정부가 고령화 시대 의료 수요 증가와 지역·필수의료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의대 정원 2000명 증원과 지역의료 강화, 필수 의료 수가 인상 등을 묶어 필수 의료 정책 패키지 추진을 강행하면서부터 시작됐다. 의료계는 이에 대해 의사 수 부족이 아닌 ‘인력 배치’의 불균형 문제이며, 의료개혁이 충분한 협의 없이 졸속으로 추진되었다고 반발하며 집단행동에 나섰다. 의료계는 의사 수 증가가 오히려 과잉 진료와 의료비 증가를 야기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