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10.07 (화)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유통ㆍ생활경제

퐁당, 화이트 터치 셀카 크림 1+1 이벤트

URL복사

 

[ 시사뉴스 김찬영 기자 ] 겨울은 건조한 피부와 함께 칙칙한 피부 톤이 고민일 수밖에 없는 계절로 많은 사람들이 이런 피부 고민을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톤업 크림이나 미백 크림, 화이트닝 크림을 찾고 있다. 그러나 피부의 수분 공급과 함께 미백 효과를 볼 수 있으면서 피부에 저자극 톤업이 가능한 크림을 찾는 것은 어려울 수밖에 없다.

 

기초화장품 브랜드 퐁당(pong dang)은 이러한 사람들의 욕구를 충족시켜 줄 화이트 터치 셀카 크림(White Touch Selfie Cream)의 1+1 이벤트를 공식 홈페이지에서 진행하고 있다.

 

퐁당 셀카 크림은 피부에 닿자마자 느껴지는 완벽한 수분감으로 건조한 피부에 가볍게 펴 발랐을 때 곧바로 수분 진정 효과를 보여주고, 피부 주름 사이사이에 뭉침 없이 고르게 발린다. 이러한 이유로 피부 착색이 가장 잘 일어나는 팔꿈치, 또는 허벅지 접히는 부분, 겨드랑이 부분에 발라도 크림이 하얗게 뭉치는 것이 아닌 자연스런 톤업을 보여준다.

 

퐁당의 톤업 크림은 100g의 용량을 자랑하기 때문에 얼굴과 함께 톤업을 원하는 바디 부위에 발랐을 때도 부족함이 없는 넉넉한 용량이다. 뿐만 아니라 마스크나 옷 등에 묻어나지 않아 샤워 후에 바디 로션 대신 바를 수 있고, 옷을 입어도 옷에 하얗게 묻어나지 않는다.

 

또한, 촉촉하고 수분감 많은 기초 스킨케어 역할과 함께 메이크업 베이스로 활용할 수 있을 정도로 즉각적인 피부 화이트닝 효과를 보여준다. 그렇기 때문에 마스크 착용으로 인해 두껍고 답답한 피부 화장이 부담스러운 사람들에게 화장품 베이스로 사용 가볍고 산뜻한 사용감을 선물한다.

 

저자극 스킨케어 브랜드 퐁당 공식 쇼핑몰에서는 메마르고 건조한 피부에 피부 보습과 톤업 효과를 보여주는 피부 톤 개선 크림과 함께 퐁당의 단품 1+1 이벤트를 진행하고 있다. 이번 1+1 행사는 2020년 마지막 1+1 이벤트로 오는 12월 25일 크리스마스까지만 진행된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윤호중 행안장관 "중요 정보시스템 이중화, 예산 7천억~1조 소요 예상"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이 지난 1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국정자원 현안질의에서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에서 관리하는 주요 핵심 정보시스템들을 양쪽 센터에서 동시에 가동하는 방식으로 이중화할 경우 7000억원에서 1조원의 예산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윤 장관은 "지금 파악하기로는, 대전센터에 있는 30여개의 1등급 정보시스템을 액티브-액티브 방식으로 구축하면, 7000억원 정도가 소요된다"고 말했다. 이어 "공주센터까지 포함하면 (예산이) 1조원이 넘는다"고 덧붙였다. 액티브-액티브는 한쪽에서 장애가 발생하더라도 다른 쪽이 즉시 서비스를 이어받아 중단 없이 운영할 수 있는 체계로, 두 센터가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주고받으며 동시에 가동되는 구조다. 정부는 정보시스템을 중요도에 따라 1~4등급으로 나눠 관리하고 있다. 1등급은 국민 생활과 직결된 정보시스템으로, 정부24 등이 포함돼있다. 윤 장관은 이 방식이 막대한 예산이 소요되는 만큼, 민간에서 사용하는 클라우드 등을 활용하는 방안도 고려해보겠다고 했다. 윤 장관은 "보안 문제나 이런 문제를 해결한다면 민간 자원을 리스(임차) 형태로 활용하는 방법도 있을 수 있다"며 "로드맵을 마련하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디지털 약자들의 정보격차 어떻게 해소할 것인가
스마트폰 하나만 있으면 은행 업무부터 병원 예약, 대중교통 이용, 행정 서비스까지 해결되는 시대다. 그러나 이 편리함은 상대적으로 디지털 정보활용 취약계층에게는 새로운 장벽이 되곤 한다. 각종 기관의 창구 업무는 줄어들고 키오스크 등 디지털 기기만 늘어나고 있다. 디지털 전환은 이제 선택이 아닌 생존의 문제다. 전자정부, 모바일뱅킹, 온라인쇼핑, 스마트농업 등 대부분의 사회·경제 활동이 디지털을 기반으로 이뤄지는 시대다. 하지만 모두가 그 혜택을 고루 누리고 있는 것은 아니다. 노인뿐 아니라, 전업주부, 저학력자, 농촌 거주자, 장애인 등 이른바 ‘디지털 정보취약계층’은 여전히 정보 불평등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이러한 정보격차는 단순한 ‘기술 접근’의 문제가 아니다. 기기 사용 능력의 부족, 낮은 디지털 문해력, 인프라 격차, 생활환경의 한계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정보에 대한 접근 권한과 활용 능력이 결여되면 일상적인 서비스 이용은 물론, 경제 활동, 교육 기회, 복지 접근까지 제한받는다. 디지털 기술이 사회를 더 평등하게 만들기는커녕, 오히려 기존의 격차를 심화시키는 역설적 결과가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지방의 중장년층 여성이나 농민, 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