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10.08 (수)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유통ㆍ생활경제

페트레이, 코엑스 SM타운 아티움 초대형 규모 옥외광고 통해 2020 F/W 시즌 캠페인 영상 공개

URL복사

 

[시사뉴스 김찬영 기자] 이탈리아 감성을 보다 생생하게 느껴볼 수 있다.

 

이탈리아 프리미엄 브랜드 '페트레이(PEUTEREY)'는 10월부터 11월 말까지 서울 강남구 삼성동에 위치한 코엑스 SM타운 아티움에 설치된 국내 최대 규모 옥외광고 디지털 LED 전광판에 2020 F/W 시즌 캠페인 영상을 공개한다.

 

공개된 영상 속에는 우리의 미래이자 미래의 영웅인 어린이들이 출연하며 ‘더 나은 미래를 위해 매 순간 도전하는 것(BETTER FUTURE IS OUR EVERYDAY CHALLENGE)’이라는 슬로건을 표현, ‘SEE YOU IN THE BRIGHT FUTURE)’ 와 같은 심플하면서도 임팩트 있는 메시지로 이번 시즌 아이템들을 강렬하게 어필했다.

 

브랜드 마케팅 관계자는 “‘한국판 타임스스퀘어’라 불리우는 서울 삼성동 코엑스 부근에는 약 8만대 이상의 일일 유동 차량은 물론 인근 지하철역 이용객들에게도 효과적으로 노출될 수 있어 옥외광고를 진행하게 되었다. 초대형 규모의 전광판에 노출되는 광고 캠페인을 통해 페트레이를 천진난만하고 순수한 아이들의 영혼을 담은 디자인으로 보다 더 친근하게 그리고 미래지향적으로 어필하겠다.” 라고 취지를 밝혔다.

 

한편, 페트레이의 20F/W 캠페인 광고는 국내 최대 규모 K-POP 스퀘어 옥외 광고 전광판을 통해 연말까지 노출되며, 영상 속 컬렉션 제품들은 전국 백화점 입점 매장과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자세히 만나볼 수 있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윤호중 행안장관 "중요 정보시스템 이중화, 예산 7천억~1조 소요 예상"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이 지난 1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국정자원 현안질의에서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에서 관리하는 주요 핵심 정보시스템들을 양쪽 센터에서 동시에 가동하는 방식으로 이중화할 경우 7000억원에서 1조원의 예산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윤 장관은 "지금 파악하기로는, 대전센터에 있는 30여개의 1등급 정보시스템을 액티브-액티브 방식으로 구축하면, 7000억원 정도가 소요된다"고 말했다. 이어 "공주센터까지 포함하면 (예산이) 1조원이 넘는다"고 덧붙였다. 액티브-액티브는 한쪽에서 장애가 발생하더라도 다른 쪽이 즉시 서비스를 이어받아 중단 없이 운영할 수 있는 체계로, 두 센터가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주고받으며 동시에 가동되는 구조다. 정부는 정보시스템을 중요도에 따라 1~4등급으로 나눠 관리하고 있다. 1등급은 국민 생활과 직결된 정보시스템으로, 정부24 등이 포함돼있다. 윤 장관은 이 방식이 막대한 예산이 소요되는 만큼, 민간에서 사용하는 클라우드 등을 활용하는 방안도 고려해보겠다고 했다. 윤 장관은 "보안 문제나 이런 문제를 해결한다면 민간 자원을 리스(임차) 형태로 활용하는 방법도 있을 수 있다"며 "로드맵을 마련하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디지털 약자들의 정보격차 어떻게 해소할 것인가
스마트폰 하나만 있으면 은행 업무부터 병원 예약, 대중교통 이용, 행정 서비스까지 해결되는 시대다. 그러나 이 편리함은 상대적으로 디지털 정보활용 취약계층에게는 새로운 장벽이 되곤 한다. 각종 기관의 창구 업무는 줄어들고 키오스크 등 디지털 기기만 늘어나고 있다. 디지털 전환은 이제 선택이 아닌 생존의 문제다. 전자정부, 모바일뱅킹, 온라인쇼핑, 스마트농업 등 대부분의 사회·경제 활동이 디지털을 기반으로 이뤄지는 시대다. 하지만 모두가 그 혜택을 고루 누리고 있는 것은 아니다. 노인뿐 아니라, 전업주부, 저학력자, 농촌 거주자, 장애인 등 이른바 ‘디지털 정보취약계층’은 여전히 정보 불평등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이러한 정보격차는 단순한 ‘기술 접근’의 문제가 아니다. 기기 사용 능력의 부족, 낮은 디지털 문해력, 인프라 격차, 생활환경의 한계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정보에 대한 접근 권한과 활용 능력이 결여되면 일상적인 서비스 이용은 물론, 경제 활동, 교육 기회, 복지 접근까지 제한받는다. 디지털 기술이 사회를 더 평등하게 만들기는커녕, 오히려 기존의 격차를 심화시키는 역설적 결과가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지방의 중장년층 여성이나 농민, 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