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10.07 (화)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국제

방탄 UN연설,'2년만에 연사' RM 전한 희망메시지는? "삶 계속.."

URL복사

 

 

방탄 UN연설..전세계적 ‘코로나19 블루’에 희망메시지

2년 만에 UN 총회 특별연사로 나서

 

[시사뉴스 홍정원 기자] 방탄소년단이 2년 만에 UN 총회 특별연사로 나와 연설했다.

 

방탄소년단(방탄, BTS)은 지난 23일 밤(한국시간) UN 웹TV와 대한민국 외교부 페이스북, 유튜브에 공개된 제75차 UN 총회에서 특별연사로 나서 "삶은 계속될 것이다. 우리 함께 살아내자(Life goes on. Let’s live on)"라며 희망을 전달했다.

 

방탄소년단은 이날 UN 보건안보우호국 그룹 고위급 회의 중 공개된 영상에서 "내일은 어둡고 괴롭고 힘들지 모릅니다. 우린 걷다가 넘어지고 엎어질지 모릅니다. 하지만 밤이 깊을수록 별빛은 더 빛난다"고 밝혔다.

 

UN 보건안보우호국 그룹은 코로나19를 비롯한 보건안보 사안 논의를 위해 올해 대한민국 주도로 만들어졌다. UN 보건안보우호국 그룹에는 UN 회원국들이 40여개 이상이 참여한다. 한국, 덴마크, 시에라리온, 카타르, 캐나다가 공동의장국으로 있다.

 

앞서 방탄소년단은 지난 2018년 9월 24일 미국 뉴욕 UN 본부 신탁통치이사회 회의장에서 개최된 유니세프 청년 어젠다 '제너레이션 언리미티드'에도 대표 연설자로 섰다. 방탄은 당시 '자신을 사랑하자'(러브 마이 유어셀프, LOVE MY SELF)를 주제로 UN 연설에 나섰다.

 

영어로 연설한 방탄 리더 RM(알엠)은 "당신이 누구이고 어디서 왔고 피부색이 무엇이든 간에 남성이든 여성이든 자신의 목소리를 내십시오"라고 말했다.

 

이 연설 문구는 소셜네트워크서비스를 통해 '스피크 유어셀프(Speak yourself)' 주제로 캠페인처럼 퍼졌다.

 

RM은 이번 연설에선 "다시 새로운 세상을 살아가자"고 전했다.

 

그는 이어 "2년 전 저는 당신의 이름을 묻고 당신의 목소리를 들려달라”고 말했다.

 

또 “많은 것을 상상했다. 대한민국의 작은 도시 일산의 소년, UN 총회에 참석한 젊은이, 그리고 세상을 살아가는 세계 시민으로 저와 우리 앞에 놓인 무한한 가능성을 상상했다"고 했다.

 

하지만 "그 상상 속에 코로나19는 없었다"며 "월드투어가 취소되고 모든 계획이 어긋나고 혼자 됐다. 밤하늘을 올려다 봐도 별이 보이지 않았다"고 토로했다.

 

2년 전 UN 연설에서 한 발언을 회상한 RM은 "러브 유어셀프, 스피크 유어셀프"라며 "지금이야말로 우리가 얼굴 잊지 않고 마주해야 하는 때다. 필사적으로 자신을 사랑하고 미래를 상상하기 위해 노력했으면 한다"며 소망했다.

 

그는 "같이 가는 길에 별이 보이지 않는다면 달빛에 의지하고 달빛마저 없다면 서로 얼굴을 불빛 삼아 나아가 보자. 그리고 다시 상상해보자. 힘들고 지친 우리가 또 다시 꿈꿀 수 있길. 좁아졌던 내 세상이 다시 드넓게 펼쳐지는 미래를”이라면서 "언제나 깜깜한 밤이고 혼자인 것 같겠지만 내일의 해가 뜨기 전 새벽이 가장 어둡다"며 방탄소년단이 함께할 것임을 약속했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윤호중 행안장관 "중요 정보시스템 이중화, 예산 7천억~1조 소요 예상"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이 지난 1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국정자원 현안질의에서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에서 관리하는 주요 핵심 정보시스템들을 양쪽 센터에서 동시에 가동하는 방식으로 이중화할 경우 7000억원에서 1조원의 예산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윤 장관은 "지금 파악하기로는, 대전센터에 있는 30여개의 1등급 정보시스템을 액티브-액티브 방식으로 구축하면, 7000억원 정도가 소요된다"고 말했다. 이어 "공주센터까지 포함하면 (예산이) 1조원이 넘는다"고 덧붙였다. 액티브-액티브는 한쪽에서 장애가 발생하더라도 다른 쪽이 즉시 서비스를 이어받아 중단 없이 운영할 수 있는 체계로, 두 센터가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주고받으며 동시에 가동되는 구조다. 정부는 정보시스템을 중요도에 따라 1~4등급으로 나눠 관리하고 있다. 1등급은 국민 생활과 직결된 정보시스템으로, 정부24 등이 포함돼있다. 윤 장관은 이 방식이 막대한 예산이 소요되는 만큼, 민간에서 사용하는 클라우드 등을 활용하는 방안도 고려해보겠다고 했다. 윤 장관은 "보안 문제나 이런 문제를 해결한다면 민간 자원을 리스(임차) 형태로 활용하는 방법도 있을 수 있다"며 "로드맵을 마련하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디지털 약자들의 정보격차 어떻게 해소할 것인가
스마트폰 하나만 있으면 은행 업무부터 병원 예약, 대중교통 이용, 행정 서비스까지 해결되는 시대다. 그러나 이 편리함은 상대적으로 디지털 정보활용 취약계층에게는 새로운 장벽이 되곤 한다. 각종 기관의 창구 업무는 줄어들고 키오스크 등 디지털 기기만 늘어나고 있다. 디지털 전환은 이제 선택이 아닌 생존의 문제다. 전자정부, 모바일뱅킹, 온라인쇼핑, 스마트농업 등 대부분의 사회·경제 활동이 디지털을 기반으로 이뤄지는 시대다. 하지만 모두가 그 혜택을 고루 누리고 있는 것은 아니다. 노인뿐 아니라, 전업주부, 저학력자, 농촌 거주자, 장애인 등 이른바 ‘디지털 정보취약계층’은 여전히 정보 불평등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이러한 정보격차는 단순한 ‘기술 접근’의 문제가 아니다. 기기 사용 능력의 부족, 낮은 디지털 문해력, 인프라 격차, 생활환경의 한계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정보에 대한 접근 권한과 활용 능력이 결여되면 일상적인 서비스 이용은 물론, 경제 활동, 교육 기회, 복지 접근까지 제한받는다. 디지털 기술이 사회를 더 평등하게 만들기는커녕, 오히려 기존의 격차를 심화시키는 역설적 결과가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지방의 중장년층 여성이나 농민, 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