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7.29 (화)

  • 맑음동두천 32.0℃
  • 맑음강릉 33.9℃
  • 맑음서울 32.7℃
  • 맑음대전 32.8℃
  • 맑음대구 31.6℃
  • 맑음울산 31.0℃
  • 맑음광주 32.3℃
  • 구름조금부산 31.5℃
  • 맑음고창 33.1℃
  • 구름조금제주 29.9℃
  • 맑음강화 30.8℃
  • 맑음보은 30.5℃
  • 맑음금산 30.8℃
  • 맑음강진군 33.3℃
  • 맑음경주시 31.9℃
  • 구름조금거제 29.1℃
기상청 제공

e-biz

결혼정보회사 가연, 2020 국가브랜드 대상 수상 “고객만족 위해 더욱 노력할 것”

URL복사

[시사뉴스 윤호영 기자]  결혼정보회사 가연(대표 김영주)이 ‘2020 국가브랜드대상’ 결혼정보서비스 부문에서 대상을 수상했다.

 

서울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진행된 ‘2020 국가브랜드대상’은 중앙일보와 이코노미스트가 주최하고 2020 국가브랜드대상 선정위원회 사무국이 주관한다. 국가 이미지의 핵심적 구성요소인 문화·산업·도시·농식품을 대표하는 브랜드를 대상으로 NCI(국가브랜드경쟁력지수) 평가를 통해 각 부문별 1위 브랜드를 선정·시상하는 행사다.

 

선정 및 시상은 국내 소비자 1만2000명을 대상으로 브랜드 인지도, 대표성, 만족도, 글로벌 경쟁력, 브랜드 종합 호감도 등의 항목에 근거한 온라인 소비자 조사와 브랜드 전문가의 심사를 통해 이뤄졌다.

 

가연결혼정보 김영주 대표는 “국가브랜드대상에서 7년 연속 수상을 하게 돼 매우 의미 있게 생각한다”며 “앞으로도 아름다운 인연을 만드는 일에 가치를 실현하고, 고객 만족을 위해 계속해서 노력하겠다”고 소감을 전했다.

 

금번 수상으로 7년 연속 수상을 기록하게 된 가연은 고객만족팀을 대표이사 직속으로 운영하며 체계적인 고객 서비스를 선사하고 있다. 이밖에 ▲공정거래위원회 표준약관 100% 준수 ▲고객 대상 안심번호 서비스 무료제공 ▲사내 변호사 전담 신원인증팀 운영 ▲정회원 전용 애플리케이션 운영 ▲VIP 고객 대상 무료 법률지원 서비스 등 다양한 정책을 시행하는 성혼컨설팅 전문기업이다

 

또한 오랜 노하우를 바탕으로 소셜 데이팅앱 ‘매치코리아’를 개발·운영하고 있으며, 국내 유수 기업 및 전문직 단체들과의 제휴로 폭넓은 회원층을 확보하면서 저출산·비혼 문제 해결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고 있다.

 

한편, 가연 홈페이지에서는 초혼과 재혼, 노블레스 같은 결혼정보회사 서비스 정보들을 지원하고 있으며, 공식 유튜브에서는 결혼정보회사 등급표의 진실, 소개팅 성공 메이크업 등 다채로운 꿀팁을 제공하고 있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여름밤 무료 국악콘서트 ‘야광명월’ 개최
[시사뉴스 정춘옥 기자] 서울남산·돈화문국악당은 오는 8월 시민을 위한 여름밤 무료 국악콘서트 ‘야광명월’을 개최한다. 올해로 세 번째로 선보이는 ‘야광명월’은 서울돈화문국악당뿐만 아니라 서울남산국악당에서도 함께 개최되며, 도심 속 실내 문화공간에서 무더위를 식히는 시원한 힐링 무대로 관객들을 찾아간다. 8월 13~14일 진행되는 ‘남산 야광명월’은 젊은 국악 아티스트 네 팀의 감각적인 무대로 구성되며, 젊은 국악이라는 특성을 살려 창작의 공간이었던 ‘연습실’을 공연의 ‘무대’로 활용하는 독특한 콘셉트로 진행된다. 13일에는 담백하고 따뜻한 감각으로 국악의 결을 세심하게 빚어내는 가야금 3인조 ‘누룽지’, 전통 판소리에 기반한 폭발적인 고음과 호소력 짙은 목소리의 ‘이아진’이 출연한다. 14일에는 거문고, 가야금, 해금의 3인조 앙상블 ‘다못’, 일상 속 작은 순간들을 음악으로 풀어내는 2인조 인디국악팀 ‘신수동 3평’이 무대를 준비한다. 특히 화이트·실버·블루 등 달빛을 닮은 의상이나 액세서리를 착용 후 관람하면 소정의 선물을 증정하는 ‘드레스코드:달빛’ 이벤트가 마련될 예정이다. 8월 16~17일 진행되는 서울돈화문국악당 ‘야광명월: 별, 아리랑’은 국악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의대생 전공의 복귀하려면 무조건 사과부터 해야
지난해 ‘의대 정원 2000명 증원’에 반발해 집단 이탈했던 의대생과 전공의들이 지난 14일 전격 복귀 의사를 밝히면서 17개월 만에 의정 갈등이 마침표를 찍게 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다만 복귀자들에 대한 학사일정조정, 병역특례, 전공의 시험 추가 응시기회 부여 등 특혜 시비를 슬기롭게 해결하지 못하면 의정갈등의 불씨는 계속 남아있게 된다. 새로운 정부가 들어서면서 1년5개월 만에 해결의 실마리를 찾고 있는 의정 갈등의 해법은 의대생, 전공의들이 무조건 국민과 환자들에게 의정 갈등으로 인한 진료 공백 사태에 대해 사과부터 하고 그 다음 복귀 조건을 제시하는 수순을 밟는 것이다. 지난해 2월부터 발생한 의정 갈등은 정부가 고령화 시대 의료 수요 증가와 지역·필수의료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의대 정원 2000명 증원과 지역의료 강화, 필수 의료 수가 인상 등을 묶어 필수 의료 정책 패키지 추진을 강행하면서부터 시작됐다. 의료계는 이에 대해 의사 수 부족이 아닌 ‘인력 배치’의 불균형 문제이며, 의료개혁이 충분한 협의 없이 졸속으로 추진되었다고 반발하며 집단행동에 나섰다. 의료계는 의사 수 증가가 오히려 과잉 진료와 의료비 증가를 야기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