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7.28 (월)

  • 맑음동두천 32.0℃
  • 맑음강릉 33.9℃
  • 맑음서울 32.7℃
  • 맑음대전 32.8℃
  • 맑음대구 31.6℃
  • 맑음울산 31.0℃
  • 맑음광주 32.3℃
  • 구름조금부산 31.5℃
  • 맑음고창 33.1℃
  • 구름조금제주 29.9℃
  • 맑음강화 30.8℃
  • 맑음보은 30.5℃
  • 맑음금산 30.8℃
  • 맑음강진군 33.3℃
  • 맑음경주시 31.9℃
  • 구름조금거제 29.1℃
기상청 제공

국제

대만 지진…사망자 113명 실종자 4명

URL복사

[시사뉴스 강철규 기자] 지난 6일 대만 남부에서 발생한 규모 6.4의 강진으로 인한 사망자 수가 110명을 넘어섰다고 교도통신이13일 보도했다.

타이난 시 당국은 지진 발생후 8일이 경과한 13일 현재 사망자는 113명, 실종자는 4명이라고 발표했다.

특히 이들 사망자 가운데 2명을 제외한 111명은 타이난(台南)시 융캉(永康)구에서 옆으로 무너져 내린 일명 '두부 빌딩' 웨이관진룽(維冠金龍) 빌딩에서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조대는 지난 12일부터 13일 아침까지 밤새 수색 작업을 벌여 웨이관진룽 건물 잔해에서14명의 시신을 찾아냈다. 이 빌딩은 거의 해체되어 대부분의 잔해가 철거됐지만 건물 일부가 수 미터 아래 지하로 무너져 내린 상태로, 구조는 이 부분에 실종자가 있을 것으로 보고 수색 작업을 계속하고 있다.

현재 대만 정부의 수색·구조작업은 마무리 단계에 접어들었으며, 당국은 현장의 복구계획에 착수하는 동시에 웨이관진룽 빌딩의 붕괴 원인 규명을 본격화시킬 예정이다.

붕괴한 웨이관진룽 빌딩 벽 안에서는 식용유통 등의 양철 깡통이 무더기로 발견돼, 부실시공 논란이 일었다.

이에 대만 검찰 당국은 이 건물의 시공업체인 웨이관건설의 당시 사장 등 3명을 업무상 과실치사 혐의로 구속하고 조사를 벌이고 있다. 웨이관건설은 현재 도산한 상태다.

또한 빌딩 저층부의 소유자가 기둥과 벽 등을 불법 개조한 것이 건물 붕괴 원인으로 지목돼 검찰이 수사하고 있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한 가족의 삶을 통해 대한민국 근현대사 100년을 통찰하다
[시사뉴스 정춘옥 기자] 페스트북은 정일남 작가의 소설 ‘반갑다, 지리산 무지개여!: 격동기를 살아낸 한민족의 이야기’를 올해의 추천 도서로 선정했다. 이 책은 일제강점기와 6·25전쟁, 강제 노역과 해방을 거치며 한반도를 휘몰아친 격동의 역사를 평범한 민초의 삶을 통해 그려낸 역사소설이다. 정일남 작가는 노스텍사스대학에서 화학 박사 학위를 받은 후 평생을 화학 연구자로 살았다. 정년 퇴임 이후에는 벤처기업 JSI실리콘을 설립했다. 그는 “오늘날 대한민국이 이룬 발전이 결코 저절로 얻어진 것이 아님을, 개개인의 수많은 노력과 희생 위에 세워진 것임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됐으면 한다”며 “또한 지나온 역사 속에서 미처 깨닫지 못했거나 바로잡아야 할 부분들을 함께 성찰하고, 어떤 마음가짐으로 미래를 향해 나아가야 할지 고민하는 작은 계기가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라고 출간 소감을 전했다. 페스트북 편집부는 ‘반갑다, 지리산 무지개여!’는 위대한 영웅이 아닌 지리산 부근에 사는 한 가족의 삶을 통해 대한민국 근현대사 100년을 통찰하는 소설로, 그들의 삶과 슬픔, 저항을 날 것의 모습 그대로 꾹꾹 눌러 담았다며, 강제 노역과 전쟁, 분단의 파고를 지나야 했던 사람들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의대생 전공의 복귀하려면 무조건 사과부터 해야
지난해 ‘의대 정원 2000명 증원’에 반발해 집단 이탈했던 의대생과 전공의들이 지난 14일 전격 복귀 의사를 밝히면서 17개월 만에 의정 갈등이 마침표를 찍게 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다만 복귀자들에 대한 학사일정조정, 병역특례, 전공의 시험 추가 응시기회 부여 등 특혜 시비를 슬기롭게 해결하지 못하면 의정갈등의 불씨는 계속 남아있게 된다. 새로운 정부가 들어서면서 1년5개월 만에 해결의 실마리를 찾고 있는 의정 갈등의 해법은 의대생, 전공의들이 무조건 국민과 환자들에게 의정 갈등으로 인한 진료 공백 사태에 대해 사과부터 하고 그 다음 복귀 조건을 제시하는 수순을 밟는 것이다. 지난해 2월부터 발생한 의정 갈등은 정부가 고령화 시대 의료 수요 증가와 지역·필수의료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의대 정원 2000명 증원과 지역의료 강화, 필수 의료 수가 인상 등을 묶어 필수 의료 정책 패키지 추진을 강행하면서부터 시작됐다. 의료계는 이에 대해 의사 수 부족이 아닌 ‘인력 배치’의 불균형 문제이며, 의료개혁이 충분한 협의 없이 졸속으로 추진되었다고 반발하며 집단행동에 나섰다. 의료계는 의사 수 증가가 오히려 과잉 진료와 의료비 증가를 야기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