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9.08 (월)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국제

중국 104세 일본 위안부 할머니, 춘제 하루 앞두고 별세

URL복사

[시사뉴스 강철규 기자] 104세 고령의 중국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황전메이(黃珍妹) 할머니가 중국 최대 명절인 춘제를 하루 앞둔 지난 7일 별세한 사실이 뒤늦게 전해졌다.

10일 중국 반관영 중신사는 황 할머니가 7일 하이난성 바오팅(保亭)여족묘족자치현 다바오촌에 있는 자신의 집에서 숨을 거뒀다고 전했다.

생전에 황 할머니는 슬하에 딸을 하나 뒀으며 숨을 거두기 전까지 딸과 함께 생활해 온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황 할머니가 춘제를 하루 앞둔 시점에 세상을 떠나 안타까움을 더해주고 있다.

황 할머니 가족과 마을 주민들은 10일 할머니를 위해 장례식을 치른 것으로 전해졌다.

소수민족인 여(黎)족인 황 할머니는 28살 때이던 1940년 3월 일본군에 강제로 끌려가 약 1년 동안 성노예로 생활하면서 극심한 고통을 겪을 것으로 전해졌다.

중국위안부연구센터의 자원봉사자인 천허우즈(陳厚志)는 "황 할머니의 별세로 하이난성 바오팅자치현과 링수이(陵水)여족자치현에 거주하는 위안부 생존자는 10명도 채 남지 않았다"면서 "다수 위안부 생존자들은 육체적, 심리적으로 큰 고통을 받을 뿐만 아니라 주변의 외면 등으로 비참한 노후를 보내게 된다"고 전했다.

아울러 '중국 위안부 문제 연구 일인자'로 알려진 쑤즈량(蘇智良) 상하이사범대 교수는 고령의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들이 잇따라 별세하면서 중국 전역에 20여 명 밖에 남지 않았다면서 이들이 살아서 일본 정부의 사과를 받을 수 있게 하는 것은 시급한 사안이라고 주장했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문화

더보기
나와 타인을 이해하는 심리적 안내서
[시사뉴스 정춘옥 기자] 좋은땅출판사가 ‘에니어그램 명상상담 전략’을 펴냈다. 이 책은 현대인이 겪는 심리적 불안과 대인관계의 갈등을 다루며, 아홉 가지 성격 유형을 통해 자기 이해와 관계 회복의 길을 안내하는 심리 지침서다. 저자는 에니어그램 이론에 명상상담을 결합해 각 유형의 특성과 패턴을 드러내고, 이를 극복할 수 있는 구체적인 전략을 제시한다. 단순히 성격을 분류하는 데 그치지 않고, 어린 시절의 경험과 현재의 관계 문제를 연결해 설명함으로써 독자가 자기 성찰의 깊이를 더할 수 있도록 돕는다. 저자 김문자는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명상심리상담학과에서 상담심리학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대학교 상담심리센터 객원 상담사를 역임한 바 있다. 현재는 명상에니어그램 교육원 원장으로 활동하며 명상과 심리상담을 접목한 다양한 연구와 실천을 이어가고 있다. 저자는 ‘명상상담프로그램이 여대생의 스트레스 감소에 미치는 영향’, ‘에니어그램을 활용한 영상관법이 분노 감소에 미치는 영향’, ‘에니어그램 명상상담 단일사례연구’ 등 여러 논문을 통해 그 효과를 입증해 온 학자이자 상담 전문가다. ‘에니어그램 명상상담 전략’은 명상이 내면의 불안을 직면하게 하고, 에니어그램이 그 불안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생성형 AI 활용…결국 사용자의 활용 능력과 방법에 달려 있다
지난 2022년 인공지능 전문 기업인 오픈AI에서 개발한 챗GPT를 비롯해 구글의 Gemini(제미나이), 중국의 AI기업에서 개발한 딥시크, 한국의 AI기업에서 개발한 뤼튼, 미국 캘리포니아에 본사를 두고 있는 중국계 미국기업이 개발한 젠스파크 등 생성형 AI 활용시대가 열리면서 연령층에 상관없이 생성형 AI 활용 열기가 뜨겁다. 몇 시간에서 며칠이 걸려야 할 수 있는 글쓰기, 자료정리, 자료검색, 보고서, 제안서 작성 등이 내용에 따라 10초~1시간이면 뚝딱이니 한번 사용해 본 사람들은 완전 AI 마니아가 되어 모든 것을 AI로 해결하려 한다, 이미 65세를 넘어 70세를 바라보는 필자는 아직도 대학에서 3학점 학점 수업을 진행하고 있다. 지난 2일 개강 첫날 학생들에게 한 학기 동안 글쓰기 과제물을 10회 정도 제출해야 하는데 생성형 AI를 활용해도 좋으나 그대로 퍼오는 것은 안 된다는 지침을 주었다. 그러면서 “교수님이 그대로 퍼오는지 여부를 체크 할수 있다”고 큰소리를 쳤다. 큰소리가 아니라 지난 학기에도 실제 그렇게 점검하고 체크해서 활용 정도에 따라 차등 평가를 실시했다. 이렇게 차등 평가를 할 수 있다는 것은 필자가 생성형 AI 활용 경험이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