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소 성격이 급하고 술, 담배, 매운 음식, 기름진 음식을 즐겨 먹는 경향이 있으면 간담의 습열로 인해 유정이 발생할 확률이 높다. 주요 증상으로는 빈번한 유정이 나타나고 가슴과 옆구리에 찌르는 듯한 통증이 느껴진다. 입안이 쓰고 귀울림 증상을 동반하기도 한다. 소변시 열감이 느껴지며 소변색이 붉고 혼탁하다. 설질은 붉으며 설태는 노랗고 끈적끈적하다. 이런 증상을 동반할 때는 우선 열을 내리고 습을 배출시키는 치료법을 써야 한다. 창출 비해 각각 21g, 소회향 30g을 대충 갈아 분말로 만든 다음 생강 3조각과 함께 달인 후 소금 3g을 넣고 찌꺼기를 제거한 삼신탕을 복용한다. 이 처방은 습을 배출시켜 유정을 치료하는 효능이 있다. 빈번한 유정이 나타나고 성충동이 쉽게 일어나면 신음이 부족해 유정이 발생한 경우를 의심해볼 수 있다. 허리와 무릎이 나른하�
유정이란 성인 남자가 성교에 의하지 않고 의지와는 아무런 상관없이 정액이 배출되는 증상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남성이 한 달에 1~3차례 유정을 하는 경우는 정이 충족돼 스스로 배출하는 것으로 정상적인 자연현상에 속한다. 하지만, 유정이 과도하게 배출되거나 또 전신의 피로감이나 이명 현기증 심계항진 등을 동반한 경우는 병리현상으로 본다. 역대 의학자들은 유정을 할 때 꿈을 꾸고 있는가, 그렇지 않은가에 따라 몽정(夢精)과 활정(滑精)으로 나누기도 했다. 일반적으로 수면 중 꿈을 꾸면서 유정하는 것을 몽정이라 하고 꿈을 꾸지 않거나 의식이 있는 상태에서 유정을 하는 것을 활정이라 명명하고 있다. 이들의 병명은 다르지만 통틀어서 넓은 의미의 유정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유정의 주요 병인으로는 심화가 왕성하거나 심기 부족, 또 심신의 양이 허한 것�
금욕을 하는 승려들은 전립선암의 발병률이 높다. 이 같은 현상은 성생활과 건강과의 관계를 입증해주는 한 예다. 건전한 성생활은 건강의중요한 요소다. 성욕을 억제하고 성생활이 원활하지 않으면 몸의 순환 또한 원활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성생활은 남성의 내분비를 조절하고 정상적인 기능과 활동을 유지시킨다. 예를 들어 전립선은 남성의 정액을 분비하는 기관으로 만일 그 기능이제대로 발휘되지 못하면 막히게 되면서 전립선암에 걸릴 확률이 높아진다. 금욕을 하는 승려들이 전립선암의 발병률이 높은 이유는 이 같은배경 때문이다. 그리고 성적 흥분은 남성의 신경 계통이나 혈액순환, 그리고 소화기능에 매우 유익한 작용을 한다. 또 신상선과 성선의 퇴화 속도를 느리게하기도 한다. 성적으로 억압된 남성의 경우 신경관능증과 관상동맥 심장병, 그리고 궤
조루증의 증상에 따른 한방 치료법을 소개한다. 복용시에는 전문가의 진단이 선행 돼야 함을 밝혀둔다. 방사나 수음의 과다, 혹은 오랜 질병으로 인한 신음이 손상돼 상화가 왕성해지면 조루가 발생한다. 음이 부족해 조루가 발생한 경우로 이때는대부분 현기증과 귀울림을 동반하고 성욕항진이 나타나기도 한다. 얼굴 전체가 뜨겁게 달아오르는 증상을 동반하기도 한다. 설질은 붉고설태는 없거나 노랗다. 맥은 들떠있고 약하다. 대표적인 처방은 백부환이다. 숙지황 120g, 술에 담근 산약 우슬 각각 60g, 오미자 180g, 술에 담근 육종용 두충 각각 90g,산수유 택사 복령 원지 파극천 적석지 석고 볶은 백자인 각각 30g을 분말로 만든 다음 꿀로 개어 오자대 크기의 환으로 빚는다. 한번에20환씩 공복에 따뜻하게 데운 술로 복용한다. 음경의 발기가 잘 안되고 발기가 돼도 지구력이
성생활은 가정의 화목과 인간의 행복에 결정적 영향을 미친다. 또한, 만족스러운 성생활은 육체적 정신적 건강의 중요한 요소다. 성이 건강에 작용하는 영향에 대해서는 동서양의 의학에서 여러 각도로 해석돼왔다. 성과 건강에 대한 한의학적 이론에 이어, 이번에는 성생활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현대의학의 관점에서 설명하겠다. 현대의학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남녀의 성교 과정에서 성호르몬의 농도가 증가되고 체내의 혈류 또한 빨라지면서 혈관이 뚜렷하게 확장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 심장박동이 빨라져 그 박동률이 1분에 100~175회가 되고 근육도 긴장되고 수축되면서 호흡은 깊어지고 빨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유두 구조 속의 근육 섬유가 저절로 수축돼 여성의 유방 면적이 평소보다 20∼25% 가량 불어나게 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성생활은
전립선 비대증은 배뇨가 곤란하고 소변의 양이 적다. 심지어 배뇨를 할 수 없는 것 등을 주요 특징으로 한다. 이 병은 방광과 신장의 기능이 중심이 돼 비 폐 신과 함께 일어나는 상초의 기화작용에 차질이 생겨 나타난다. 발병원인은 다양하다. 지방의 과다한 섭취로 체내의 습열이 생성돼 방광으로 주입되는 경우도 발병 원인이 될 수 있고 무절제한 방사로 인해 신의 원기가 손상돼 기화작용이 일어나지 안는 경우도 주요한 발병 원인이 된다. 그 외에 어혈이나 외상 암 결석 등으로 전립선 비대증이 나타나기도 한다. 따라서 그 치료는 증상에 따른 한방요법을 활용하면 된다. 특히 한방처방을 복용할 때는 반드시 전문가의 정확한 진단이 선행돼야 한다. 방광습열로 인해 전립선 비대증이 발생한 경우는 소변의 양이 아주 적은 것이 특징이다. 아예 나오지 않거나 극소량�
여성 성욕 항진에 관한 한의학 문헌은 극히 적다. 아마도 유교사회의 영향을 반영한 것이 아닌가 싶다. 주요 증상은 잦은 성충동과 강렬한 성적욕구라고 할 수 있다. 이는 스스로 억제하기 힘들 정도로 나타난다. 발병 원인은 주로 과도한 망상, 그리고 허화(虛火)와 연관이 깊다. 이런 경우에는 음욕 과다로 성적 만족을 얻지 못해 환자들이 수음으로 대리만족을 느끼는 경우가 흔히 있다. 이 병은 여성의 신체에 비교적 큰 손상을 초래한다. 특히 욕구 불만족으로 수음을 하게 되는데 이 때 감염으로 습열이 생성되고 음이 손상돼 화가 망동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간과 신이 손상되고 신정의 소모 등 여러 가지 형태의 증상들이 함께 나타나게 된다. 각기 다른 증상에 따라 그 치료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특히 한약처방을 복욕할 때는 반드시 전문가의 정확한 진단이 선�
무정자증은 진성과 가성의 두 종류로 나누어진다. 여기서 진성 무정자는 정자를 만들어내는 고환의 세포가 위축되고 퇴화돼 정자를 생성하지 못하는 경우를 말하는데 선천성 무정증이라고도 한다. 가성 무정자는 고환에서 정자를 만들어내고는 있지만 정자 수송관이 막혀버려 정자의 배출이 잘 안 되는 것을 말한다. 그런데 무정자증은 진성이든 가성이든 정액 이상에 의한 성기능 장애로 빚어진 불임증 중에서 가장 치료하기 힘든 질환 중 하나다. 약을 복용하면 이따금 호전 또는 치유가 되는 경우가 있기는 해도 대부분의 경우는 치료가 잘 안 된다. 이러한 무정자증의 발병 원인은 일반적으로 모두 허로 인한 것이다. 타고난 체질이 허약하고 신정이 허약해서 발병한다. 또 후천적인 양호를 제대로 하지 못해 과도하게 허약 손상된 경우나 비장의 기능 상실로 인한 정혈
성욕감퇴는 정상적인 성적 욕구가 감소되거나 심지어 완전히 사라지는 경우를 말한다. 이러한 성욕감퇴는 발기부전과는 구별된다. 발기부전의 경우는 성적 욕구는 있으나 정상적으로 발기가 되지 않는 경우이고 성욕감퇴는 성적 욕구 자체가 적거나 아예 없는 경우를 말하기 때문이다. 보통 발기부전증과 함께 나타나는 경우가 많지만 항상 그런 것은 아니다. 일부 환자들은 상대를 바꾸거나 환경적 요소에 변화를 주면 정상적인 성기능을 찾는 경우도 있다. 이 점이 발기부전증과는 크게 다른 점이다. 주요 병인으로는 신양 부족, 신정 손상, 심과 비의 쇠약, 정신적인 억압 등이다. 신양의 부족으로 성욕감퇴가 발생한 경우는 평소 추위를 싫어하고 팔 다리가 차다. 신경쇠약이나 큰 병을 앓고 난 후의 후유증, 과도한 수음, 과도한 방사 등이 주요한 원인이 돼 신양이 손상
성욕저하를 한의학에서는 ‘음냉’ 혹은 ‘여자음위’라고 한다. 성욕저하는 나이를 먹어감에 따라 생리적으로 발생하는 성욕감퇴와는 구별된다. 성욕저하는 연령에 상관없이 성욕이 감퇴되는 것을 말한다. 한의학에서는 선천적으로 신의 양기가 부족하거나 신정의 부족, 심과 비의 부족을 주요 원인으로 들고 있다. 또 간의 기가 울결되는 경우도 그 원인이 될 수 있고 자궁에 한습이 침범한 경우도 발병 원인이 될 수 있다. 대체로 이 병은 각 장부의 병리현상 외에 정신적 심리적 요인이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치료시 장부에 대한 치료와 동시에 심리치료요법도 함께 병형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이다. 증상에 따른 치료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단, 한약처방을 복용할 때는 반드시 전문가의 정확한 진단이 선행돼야 한다. 선천적으로 양기가 부족해 생식기관의
한의학에서는 혈정이 신(腎)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본다. 옛 한의학자들도 과도한 방사로 인한 신의 손상을 주요한 병인으로 간주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그 치료는 신음과 신정의 손실을 보기약과 양혈약을 사용해 회복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혈정을 치료하지 못하고 시간이 오래 경과하면 심(心)과 비(脾) 등의 각 장부들 간의 상호 영향으로 인해 병의 증세를 악화시키게 된다. 이때는 반드시 심과 비를 보해주는 것이 근본적인 치료방법이다. 귀비탕을 주로 쓰며 만약 비와 위(胃)의 기가 부족한 경우에는 보중익기탕을 쓴다. 성질이 평(平)하고 비를 이롭게 하며 신을 견고히 하는 약효를 이용한다. 정(精)을 배출할 경우에는 육안으로 빨갛고 많은 양의 혈액을 볼 수 있다. 요도에 열이 느껴지고 맥이 빨리 뛰는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데 이때는 열을 내리고 습(濕)을 배출
결혼을 한 부부 사이에서 2년 이상 피임을 하지 않았는데도 임신이 안돼 자녀 양육을 못하는 것을 불임증이라고 한다. 특히 불임의 원인이 여성에게 있는 경우를 여성 불임증이라 한다. 이때 임신한 사실이 전혀 없는 경우를 선천적 불임증이라 한다. 한의학에서 말하는 ‘전불산(全不産), 무자(無子)’라는 개념은 현대의학에서 말하는 선천적인 불임과 그 의미가 가깝다. 신(腎)은 정(精)을 저장하고 생식능력을 주관하며 천계(天癸)의 근원이다. 또한 신은 충맥과 임맥을 주관하며 충맥과 임맥의 상호 협조하에 임신이 된다. 그런데 만약 어떤 병적 요소들이 신과 충맥, 그리고 임맥에 영향을 미쳤을 때 불임이 되는 것이다.이러한 여성 불임의 병인은 다양하다. 먼저 신양부족으로 임신이 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충맥과 임맥이 모두 허해 자궁을 따뜻하게 해주지 못함으로�
양강증이란 음경이 비정상적으로 발기해 아주 단단해지고 오랫동안 지속되는 증상을 말한다. 이는 압통이 있고 때로는 정액이 끊임없이 흘러나오는 일종의 질병이라 할 수 있다. 소신 또는 강증이라고도 불리는데 이는 정상적인 남성의 발기와는 구별된다. 정상인의 경우는 신양이 왕성해 성교시 쉽게 흥분하고 또 그 흥분이 오래 지속되면 원래의 상태대로 회복이 된다. 그러나 병리적인 양강은 그렇지 않다. 발기된 상태가 너무 강해 원래의 상태대로 회복이 잘 되지 않는다. 이 증상은 간과 신의 기능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간은 신체의 근육을 주관하는데 간의 맥락은 음낭에 이어져 있다. 또 신은 신체의 정을 저장해 생식활동을 주관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두 기능에 이상이 있으면 양강증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양강은 성욕항진과는 뚜렷이 구별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