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박정민 기자] 코스피가 외국인과 기관의 순매수에 힘입어 2600선을 회복했다. 4거래일 만의 반등이다. 21일 코스피는 전 거래일(2593.82)보다 11.10포인트(0.43%) 오른 2604.92에 장을 마쳤다. 이날 0.27% 상승 출발한 코스피는 장중 2618선까지 올랐지만, 개인을 중심으로 매도 물량이 출회되며 상승 폭을 일부 반납해 마감했다. 유가증권시장에서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221억원과 2641억원을 순매수 했고, 개인 홀로 2640억원을 순매도했다. 업종별로는 의약품(2.18%), 철강금속(1.77%), 운수창고(1.13%) 등이 상승했고, 증권(-0.63%), 섬유의복(-0.54%), 금융업(-0.40%) 등이 하락했다. 시가총액 상위종목들의 엇갈린 흐름을 나타냈다. 삼성전자가 전 거래일 대비 0.34% 내린 5만9000원에 거래를 마감했다. 반면 SK하이닉스는 1.92% 상승한 19만900원를 기록했다. 이외에도 LG에너지솔루션(0.26%), 삼성바이오로직스(2.92%), 현대차(1.07%) 등이 올랐고 기아(-0.11%), KB금융(-0.95%), 신한지주(-1.24%) 등이 내렸다. 김지원 KB증권 연구원은 "대형주 중심으로
[시사뉴스 박정민 기자] 21일 코스피는 전 거래일(2593.82)보다 11.10포인트(0.43%) 오른 2604.92에 장을 마쳤다. 코스닥 지수는 전 거래일(753.22)보다 6.73포인트(0.89%) 상승한 759.95에 거래를 종료했다.
[시사뉴스 박정민 기자] 21일 코스피는 전 거래일(2593.82)보다 6.95포인트(0.27%) 오른 2600.77에 개장했다. 코스닥 지수는 전 거래일(753.22)보다 1.13포인트(0.15%) 상승한 754.35에 거래를 시작했다.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1369.7원)보다 0.1원 내린 1369.6원에 출발했다.
[시사뉴스 박정민 기자] 미디어젠은 부산 해운대 파라다이스호텔에서 개최된 '웰컴 챗GPT 호락호락한 영어생활, 부산시 영어하기 편한 도시 포럼'에 참석했다고 21일 밝혔다. 회사 측에 따르면 지난 18일 열린 포럼에서는 챗GPT 등의 생성형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영어 교육 방안에 대한 발표가 이뤄졌다. 박지선 미디어젠 이사는 '소외계층 영어사다리'라는 주제로 AI 영어 프로그램을 활용한 공공 혁신 방안에 대한 발표에 참여했다. 특히 생성형 AI 기술이 영어 학습에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 알리고, 소외계층의 교육 격차 해소와 학습 효율성 극대화를 위한 공공 맞춤형 교육 솔루션을 소개했다. 박 이사는 "생성형 AI는 학습자 개개인의 학습 패턴을 분석해 맞춤형 교육 콘텐츠를 제공하는 데 큰 강점이 있다"며 "이는 공간·지역의 제약 없이 경제적 부담을 줄일 수 있는 최적의 교육 솔루션"이라고 말했다. 회사 관계자는 "미래 교육 시장에서 AI의 역할이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다”며 “미디어젠은 앞으로도 지속적인 AI 기반 교육 솔루션을 확대해 교육의 수준을 높이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시사뉴스 박정민 기자] 18일 코스피는 전 거래일(2609.30)보다 15.48포인트(0.59%) 하락한 2593.82에 장을 닫았다. 코스닥지수는 전 거래일(765.06)보다 11.84포인트(1.55%) 내린 753.22에 거래를 종료했다.
[시사뉴스 김백순 기자] 기획재정부는 18일 중국 국가발전개혁위원회와 한중 경제협력교류회를 열고 정부, 기업, 학계를 아우르는 교류 플랫폼을 구축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기재부는 이날 서울에서 양국 정부·지자체, 기업, 연구기관 등이 참석하는 한중 경제협력교류회를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17차 한중 경제장관회의에서 체결한 경제분야 실질협력 강화에 관한 업무협약(MOU)에 따라 작년 11월 중국 창춘에서 제1차 행사가 개최된 데 이은 2번째 행사다. 이번 교류회는 한국의 대외경제정책연구원과 중국의 거시경제연구원 간의 학술교류회도 함께 진행됐다. 김범석 기재부 1차관은 "가속화되는 글로벌 환경변화에 맞추어 한중 간의 경제 협력을 업그레이드해야 한다"며 "경제협력교류회가 양국이 다방면으로 소통하는 플랫폼이 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우하오 중국 발개위 비서장도 "양국이 상호 신뢰의 기조 하에 교류와 협력을 증진해 왔다"며 "이번 경제협력교류회를 통해 양국이 새로운 미래를 위한 협력 방안을 모색하기를 기대한다"고 화답했다. 이날 교류회에서 양국은 정부와 지자체의 투자유치 정책, 민간 비즈니스 협력 사례 등을 공유했다. 정책·투자 설명 세션에서 한국 측은 기재부와 대한
[시사뉴스 김백순 기자] 정부가 여섯 달째 수출 중심의 경기 회복이 이어지는 가운데 완만한 내수 회복 조짐에 물가 안정세는 확대됐다고 진단했다. 기획재정부는 18일 발표한 '최근 경제동향(그린북)' 10월호에서 "최근 우리 경제는 물가 안정세가 확대되는 가운데, 수출·제조업 중심 경기회복 흐름이 지속되고 있다"며 "설비투자·서비스업 중심 완만한 내수 회복 조짐 속에 부문별 속도차가 존재한다"고 밝혔다. 지난달에 이어 '수출·제조업 중심의 경기 회복' 평가를 유지했으나, '견조한'이라는 단어를 제외했다. 서비스업 개선 등을 근거로 지난 5월부터 내수에 대해 '회복 조짐'이라고 진단하면서 수출과는 온도 차가 있다는 진단을 내린 것이다. 김귀범 기재부 경제분석과장은 "지난달에 견조한 수출·제조업 중심 경기회복 흐름에서 이번 달에는 수식어인 '견조한'이 빠졌다"며 "제조업을 7, 8월 합쳐서 보면 아직 소폭 마이너스(-)를 기록하고 있으나 회복이 안 됐으니 '견조한'이라는 단어를 쓰기가 부담스러웠던 측면이 있다"고 말했다. 정부의 '내수 회복 조짐' 진단은 반년째 이어지고 있다. 한국개발연구원(KDI)는 '10월 경제동향'을 통해 "최근 우리 경제는 수출이 양호한
[시사뉴스 박정민 기자] 18일 코스피는 전 거래일(2609.30)보다 6.74포인트(0.26%) 상승한 2616.04에 장을 열었다. 코스닥지수는 전 거래일(765.06)보다 0.65포인트(0.08%) 오른 765.71에 거래를 시작했다.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1372.7원)보다 1.2원 내린 1371.5원에 출발했다.
[시사뉴스 박정민 기자] 글로벌 이차전지 전해액 전문기업 엔켐이 북미·유럽 지역 시장 점유율 확대 및 글로벌 1위 도약을 위해 대규모 자금조달을 추진한다고 18일 밝혔다. 엔켐은 지난 14일 공시를 통해 2500억원 규모의 제14회차 무기명식 이권부 무보증 공모 전환사채(CB) 발행을 결정한 바 있다. 엔켐은 확보한 자금을 북미 4개주(미국 조지아·테네시·텍사스·캐나다 온타리오) 및 유럽 3개국(폴란드·헝가리·프랑스)에서의 전해액 생산시설 증설과 리튬염 등 원재료 매입에 활용할 계획이다. 특히 공모자금 2500억원을 시설 확장 등에 집중 투자해 경쟁사와의 격차를 벌리겠다는 전략이다. 이번 발행에는 KB증권이 대표주관사로, 대신증권이 인수사로 참여했다. 보통주 전환가격은 20만4500원으로 공시됐지만, 최종 전환가격은 청약일 3거래일 전 시세(가중평균산술주가)와 비교해 낮은 금액으로 결정될 예정이다. 대부분의 기업이 사모 방식으로 CB를 발행하는 것과 달리, 엔켐은 이번 CB를 공모 방식으로 진행해 성장 가능성에 대한 자신감을 내비쳤다. 특히 국내 메이저 증권사 2곳(KB증권·대신증권)이 미달 물량에 대해 총액 인수하기로 결정해 공모 흥행의 신뢰성을 높였다.
[시사뉴스 박정민 기자] 서비스 로봇 소프트웨어 전문기업 클로봇이 코스닥 상장을 위한 일반청약에서 흥행에 성공했다고 18일 밝혔다. 클로봇은 16일부터 이틀간 진행된 일반청약 결과 1037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주문액의 절반을 미리 납부하는 증거금은 5조570억원으로 집계됐다. 청약 건수는 31만건, 청약 수량은 7억7799만 주다. 앞서 진행한 기관투자가 대상 수요예측에서 2414개의 국내외 기관이 수요예측에 참여했으며, 참여기관 중 95.3%가 1만3000원 이상을 제시해 일반공모 흥행에 기대감을 모았다. 2017년 설립된 클로봇은 실내 자율 주행 로봇 소프트웨어와 이기종 통합 관제 소프트웨어를 주력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다. 제조, 물류, 운송 등 다양한 도메인에서 130여곳의 고객사를 확보했다. 또 현대차, 보스턴다이내믹스, LG CNS와 로봇 사업 전반의 견고한 전략적 파트너쉽을 구축하고 있다. 지난해 매출액은 242억원을 기록해 5년간 연평균 81.2%의 강한 성장세를 이어오고 있다. 클로봇은 보스턴다이나믹스와 LG CNS와의 협력사업을 강화하고 있다. 지난 9월 보스턴다이나믹스와 사족 보행 로봇 '스팟(Spot)'의 국내 도입을 위한 전략적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우리나라는 국민들의 유류비 부담 완화를 고려해서 단계적으로 정상화하고 있는 상황"이라 밝혔다. 최 부총리는 이달 말 종료를 앞둔 유류세 인하 조치와 관련 "큰틀에서 보면 (유류세 인하를) 정상화해야 하는데, 국민들의 부담을 고려해 단계적으로 추진하는 게 기본방침"이라고 밝혔다. 최상목 부총리는 17일 포스코포항제철소에서 진행된 기자 간담회에서 이같이 말했다. 최 부총리는 "시기적으로 유류세에 관심이 있을 만한 시기인 거 같다. 아시는 바와 같이 한시적으로 유류세 인하 조치를 했던 국가들이 많이 있는데, 대부분 국가가 환원해서 복원시킨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우리나라는 국민들의 유류비 부담 완화를 고려해서 단계적으로 정상화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큰틀에서 보면 정상화해야 하는데, 국민들의 부담을 고려해서 단계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게 기본방침"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11월부터 어떻게 할지는 그런 큰틀 안에서 국내외 물가나 가계부담 등을 고려해서 종합적으로 결론 내려서 알려드릴 계획"이라고 언급했다. 유류세 탄력세율 한시적 인하 조치는 지난 2021년 11월 처음 시행 후 3년 가까이
[시사뉴스 박정민 기자] 16일 코스피는 전 거래일(2633.45)보다 23.09포인트(0.88%) 하락한 2610.36에 장을 닫았다. 코스닥지수는 전 거래일(773.81)보다 8.02포인트(1.04%) 내린 765.79에 거래를 종료했다.
[시사뉴스 박정민 기자] 16일 코스피는 전 거래일(2633.45)보다 26.75포인트(1.02%) 하락한 2606.70에 장을 열었다. 코스닥지수는 전 거래일(773.81)보다 4.62포인트(0.60%) 내린 769.19에 거래를 시작했다.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1366.3원)보다 1.8원 내린 1364.5원에 출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