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4차산업혁명, 대학의 상업화에 달렸다
[시사뉴스 데니스 스테펀 세르반테스 칼럼니스트] 아마 어느 국가도 대학 순위에 대해서 한국만큼 집착하지 않을 것이다. 한국 학생들은 대학 졸업 이후 일류 기업에 취직하기 위해 SKY(서울대, 연세대, 고려대)를 목표로 하며 몇 년 동안은 그 대학에 들어갈 수 있는 수학능력시험 점수를 위해 공부한다. 하지만 한국 밖에서는 서울대, 연세대, 고려대를 들어본 사람들은 거의 없다. 외국 학생들이 전체 학생의 10%가 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SKY대학에 있는 학생들은 글로벌 다양성을 키우기 힘들다. 한국 대학들의 부족한 외국인 학생들을 위한 장학금과 외국인 직원들에 대한 장기 재직을 배제하는 것, 그리고 그 이외의 차별적인 정책은 한국의 대학교들이 일류로 나아가는 데 큰 걸림돌이 되고 있다.하지만 더 문제가 되는 점은 대학들의 불충분한 상업화에 있다. 특허권의 숫자로 보면 스탠포드 대학이 신청한 특허권 수는 149개이다. 그 숫자에 비해 서울대학교가 744개 그리고 카이스트가 1940개이다. 이 시점에서 보면 한국 대학이 신청한 특허권은 외국에 비해 부족하지 않다. 한국 대학들의 엄청난 특허권의 양에도 불구하고 스티브 잡스는 “질이 양보다 더 중요하다”고 말했다. 한번
- 데니스 스테펀 세르반테스 (건국대학교 국제무역학과 교수)
- 2017-08-07 18: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