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5.01 (목)

  •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대전 25.8℃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보은 25.4℃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사회

의료진 또 감염…‘보호구 착용 미흡’[종합]

URL복사

의료진 2명 추가 확진…삼성서울·건국대병원서 1명씩
확진자 3명 늘어 총 169명…사망자 25명

[시사뉴스 이상미 기자]국내 메르스(MERS·중동호흡기증후군) 환자가 3명 늘어 모두 169명이 됐다. 신규 환자 중 2명은 병원 의료진이다. 사망자는 1명 더 나와 총 25명이 됐다. 치사율은 14.8%다. 병이 완치돼 퇴원한 환자는 7명 추가됐다. 메르스 의심 환자로 분류돼 당국이 관찰 중인 격리자 수는 4000명대로 급감했다.

보건복지부 중앙메르스관리대책본부는 21일 오전 이같은 메르스 환자 현황을 발표했다.

◆의료진 또 감염…이번에도 '보호구 착용 미흡'

확진자 수는 3명 늘어 총 169명이 됐다. 추가 확진된 167번(53) 환자는 지난 5일 오후 4시30분부터 9시40분까지 강동경희대병원 응급실에서 진료를 받던 중 76번(75·여·사망) 환자에 의해 바이러스를 옮았다.

당국이 추정하는 167번 환자의 증상 발현일은 6월10일이다. 이틀 전인 8일과 10일 두 차례에 걸친 유전자 검사에서 '음성' 판정이 나와서다. 그 후 발열 증상을 보여 재검한 결과 20일 확진됐다.

정은경 질병관리본부 질병예방센터장은 "167번 환자가 폐결핵이 의심돼 내원하기 전 기침과 발열 증상이 계속 있었다. 그래서 정확한 발병일을 추정하기는 어렵다"면서도 "입원하면서 다른 원인균에 의한 폐렴 진단을 받았고, 그 사이 유전자 검사에서 음성으로 나와 6월10일로 일단 잡고 모든 조치를 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CCTV (분석한) 결과 응급실 진료 당시 76번 환자와 굉장히 가까운 베드(병상)에서 같이 치료를 받았고, 그 때 밀접접촉해 감염된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건국대병원 방사선사인 168번(36) 환자도 지난 6일 이 병원 응급실을 찾은 76번 환자의 엑스레이(X-ray) 촬영을 하다 감염된 것으로 추정된다. 7일부터 병동 격리하던 중 16일 근육통과 발열 증세를 보여 검사를 벌인 결과 '양성'이 나왔다.

당시 방사선사는 N-95 또는 수술용 마스크만을 착용했던 것으로 확인됐다.

다발성 골수종을 앓고 있던 76번 환자는 지난달 27~28일 14번(35) 환자와 삼성서울병원 응급실에서 접촉해 감염된 후 서울의 한 노인요양병원을 거쳐 강동경희대병원 응급실(6월 5·6일)과 건국대병원 응급실(6일)에도 들렸다가 격리돼 6월7일 확진 판정을 받았다. 하지만 사흘 뒤인 10일 숨졌다.

76번 환자로 인한 위험군은 강동경희대병원과 건국대병원 각각 44명, 34명으로 코호트 격리돼 관리 중이다.

정 센터장은 "168번은 76번 환자가 확진 전 응급실 진료를 했는데, (그 당시) 개인보호구를 하지 못해 이미 폭로(노출)된 다음에 격리되면서 확진된 케이스"라고 전했다.

삼성서울병원 의사인 169번(34) 환자는 지난 11일부터 중환자실에 근무해오다 135번(33·삼성서울병원 안전요원) 환자를 진료하는 과정에서 옮았다. 6월18일 처음 의심 증세를 보였지만 심하지 않다는 이유로 자택 격리된 후 20일 확진 판정을 받아 병원격리가 됐다.

정 센터장은 "169번 환자는 확진자에 대한 위중한 시술을 하는 과정에서 노출된 것을 파악하고 있다"면서 "같이 근무했던 동료 몇 분과 짧게 접촉한 것으로 (확인)돼서 현재 자택격리 명령한 상태이며, 가족 없이 혼자 생활을 해 가족 간 접촉도 없다"고 설명했다.

권덕철 중앙메르스관리대책본부 총괄반장은 "삼성서울병원에서 의료진 추가 확진이 나오는 것은 (6월17일 이전에) 보호복을 통상 수준으로 입은 것이 원인이 아니었을까 한다"고 전했다.

그간 삼성서울병원 의료진은 '레벨D 등급에 준하는 장비'를 착용하는 당국의 권고와 달리 수술용 가운을 입고 확진자를 진료해 왔다.

삼성서울병원이 의료진에게 '레벨D'에 준하는 보호구를 지급한 것은 17일 이후다. 앞서 삼성서울병원 방사선사인 162번(33) 환자와 간호사인 164번(35·여) 환자도 확진자를 진료하는 과정에서 감염됐다.

치료 중인 환자는 101명(59.8%)이며, 이중 14명의 환자 상태가 불안정하다. 이 기준은 심폐보조기인 에크모나 인공호흡기를 착용했을 정도로 위중하다는 의미다.

◆사망 1명·퇴원 7명 ↑…격리 경험자 총 1만2847명

사망자가 1명 추가로 나왔다. 25번째 사망자는 112번(63) 환자다. 부인의 암 치료차 5월27일 삼성서울병원 응급실에 함께 들른 뒤 사흘 후인 30일 발열 증세를 보여 전주 예수병원 응급실에 내원했다.

이튿날 삼성서울병원으로부터 14번(35) 환자와 접촉했다는 통보를 받고 곧바로 보건소에 신고한 뒤 자가격리 됐다. 1, 2차 검사에서 음성 판정으로 받아 6월2일부터 자가격리에서 능동감시 대상으로 전환됐으나 일주일만인 9일 근육통과 기침, 설사 증세가 나타나 전주보건소에 재신고했다.

112번 환자는 6월10일 3차 검사에서 확진 판정을 받았고, 지역거점 음압병상에 격리 치료를 받던 중 상태가 악화돼 전날 오후 6시께 사망했다. 그는 심근허혈증과 당뇨를 앓고 있었다.

퇴원한 환자는 7명 늘어 모두 43명이 됐다. 신규 퇴원자는 11번(79·여), 29번(77·여), 43번(24·여·평택성모병원 의료진), 107번(64·여·간병인), 134번(68·여), 139번(64·여), 142번(31세) 환자다.

앞서 2번(여·63·1번 환자의 부인), 5번(50·365서울열린의원 원장), 18번(여·77), 34번(여·25·평택성모병원 의료진), 7번(여·28·평택성모병원 의료진), 37번(45·공군 원사), 13번(49), 19번(60), 17번(45), 20번(40), 8번(여·46·아산서울의원 의료진), 27번(55), 33번(47), 41번(70·여), 9번(56), 56번(45), 88번(47), 4번(46·여), 12번(49·여), 40번(24), 44번(51·여), 59번(44), 62번(32·삼성서울병원 의사), 71번(여·40), 26번(43), 32번(54), 39번(62), 57번(57), 70번(59), 138번(37), 52번(54·여), 60번(37·여·삼성서울병원 응급실 근무 의료진), 99번(48), 105번(63), 113번(64), 115번(77·여·삼성서울병원 정형외과 외래) 환자가 2차례의 검사 결과가 음성으로 나타나 퇴원했다.

격리 대상자는 모두 4035명이다. 전날보다 1162명(22.4%) 줄어든 것이다. 자가 격리자가 1149명 감소한 3296명, 시설(병원) 격리자는 13명 줄어든 739명이었다.

메르스 환자와 직·간접적으로 접촉해 격리됐다가 최대 잠복기(14일)을 지나도록 증상이 발현되지 않아 일상 생활로 복귀한 격리 해제자는 1361명이 늘어 모두 8812명이 됐다. 메르스로 인해 격리를 경험했거나 경험 중인 누적 격리자는 총 1만2847명으로 집계됐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학교 먹는물’ 철저하게 관리한다··· 이효원 서울시의원 발의 조례 통과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서울시에도 ‘학교 먹는물’을 관리·지원하는 규정이 마련됐다. 서울특별시의회 교육위원회 소속 이효원 의원(국민의힘, 비례)이 발의한 「서울특별시교육청 학교 먹는물 관리 조례안」이 지난 30일 제330회 임시회 제3차 본회의를 통과했다. 이번 조례안은 서울시 교육감과 각 학교장이 교내 먹는물을 관리·지원하고 먹는물의 유지보수를 위한 책무를 규정하기 위해 발의됐다. 교육감은 학교 먹는물을 관리하기 위한 지원 사업을 규정하고, 학교장은 교내 먹는물을 관리하기 위해 자체적으로 각각의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본 조례안의 골자다. 현재 학교 먹는물은 학교와 지역별로 공급원과 공급장치가 상이하고 다수가 함께 사용하는 특성상 관리가 까다로워 보건·위생상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농후하다. 특히 서울시 학교의 경우 서울시 수돗물인 ‘아리수’ 음수대뿐만 아니라 정수기, 먹는 샘물 등 여러 공급장치가 설치돼 있어 학교 먹는물의 체계적인 관리가 필요한 실정이다. 이효원 의원은 “물은 인간의 생명을 유지하기 위해 누구나 매일 일정량을 섭취해야 하는 기본적인 영양소이자 필수 요소”라며 “무엇보다 학생과 교직원이 하루 중 대부분의 시간을 보내는 학교에서 제공되는 먹

문화

더보기
‘5월, 우리가 함께 알아야 할 세계의 민주주의’ 전시 개최
[시사뉴스 정춘옥 기자] 이은북(eeunbook)이 오는 2025년 5월 1일부터 30일까지 광주광역시 지하철 1호선 김대중컨벤션센터역 내에서 특별 전시 ‘5월, 우리가 함께 알아야 할 세계의 민주주의’를 개최한다. 이번 전시는 민주화운동기념관의 개관 기념 출판 지원을 받아 완성된 책 ‘10대가 꼭 알아야 할 세계의 민주주의’의 원화와 주요 내용을 바탕으로 구성했으며, 국가인권위원회 광주인권사무소와 연계해 민주주의와 인권의 가치를 시민들과 함께 나누고자 마련됐다. 5월은 민주주의의 가치를 다시 한번 되새기는 달이다. 특히 올해 5월은 ‘5·18민주화운동’ 45주년과 ‘2025세계인권도시포럼’이 열리는 뜻깊은 달로, 이번 전시는 세계 곳곳에서 민주주의를 지키기 위해 싸워 온 시민들의 이야기를 통해 우리 모두가 민주주의의 의미를 새롭게 되새길 수 있는 자리가 될 것이다. 전시는 세계 곳곳에서 민주주의를 지키기 위해 싸워 온 시민들의 생생한 이야기를 담고 있다. 민주주의가 흔들리고 위협받는 상황 속에서도 이를 지켜내려는 세계 시민들의 용기와 연대의 모습을 다채로운 일러스트와 함께 만나볼 수 있다. 5월, 광주를 찾는다면 꼭 들러보자. 민주주의의 의미를 다시 한번

오피니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