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이상미 기자]정부가 삼성서울병원발 메르스 2차 유행이 시작된지 2주가 지나서야 민간합동 대응팀을 파견했다. 사실상 삼성병원 자체 조사에만 의존한 채, 적극적인 역학조사를 하지 않은 것을 인정한 셈이다.
병원측은 환자 발생 이후 의료진과 환자 등 900여명을 격리 조치했다고 밝혔지만 이 병원에서만 3명의 의사가 메르스에 감염됐고 이 중에는 격리 대상에서 제외된 확진자들도 다수 포함됐다. 환자를 제대로 관리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병원 역시 책임을 피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보건복지부는 메르스(MERS·중동호흡기증후군) 확산 방지를 위해 구성된 삼성서울병원 민간합동대책반 즉각대응팀이 13일부터 활동을 개시했다고 15일 밝혔다.
민간전문가 10명, 보건복지부 방역관 등 6명, 역학조사관 4명 등 총 24명으로 구성된 대응팀은 전문가를 주축으로 역학조사 및 방역조사 등을 총괄 지휘하며 접촉자 관리계획, 부분폐쇄 계획 등을 점검한다.
특히 삼성서울병원과 관련해 병원격리, 자택격리 등 5588명에 대한 역학조사와 대응조치를 시행하고 있다. 메르스 감염의 핵심이 된 14번 환자는 지난달 30일 확진 판정을 받았다. 사건 발생 2주만에 정밀조사에 나선 셈이다.
이날 현재 삼성서울병원에서만 70여명의 환자가 발생했지만 여전히 14번 환자의 행적은 제대로 파악되지 않고 있다.
그나마 입원 첫날인 지난달 27일, 응급실 밖으로 두어 차례 나왔다는 게 지금까지 알아낸 전부다. 사태 초기 당국과 병원측은 감염 경로를 응급실로 국한해 방역 조치를 시행했는데 조사 결과 오판으로 드러났다.
1차 진원지인 평택성모병원에서도 환자 발생 가능 지역을 '병실'로 좁혀 사태를 키운 당국이 2차 유행에서도 똑같은 실수를 저지른 것이다.
신종 감염병인만큼 최악의 상황을 가정해 대비해야 했지만 당국의 대책은 요지부동이었다.
그러면서 환자 이송요원인 137번 환자는 감염 의심상태에서 10일 가까이 14번 환자가 있었던 응급실과 일반 병실을 수시로 드나들며 수백명과 접촉한 것으로 드러났다.
환자와 밀접하게 접촉하는 직업 특성상 당연히 처음부터 격리 대상에 포함돼야 했지만 그렇지 않았다. 외부 용역 업체 직원인 탓에 병원 측도 접촉자 분류에 소홀했고 당국은 이를 점검하려고 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국가가 뚫렸다'며 책임을 회피한 병원 측은 또 138번 환자인 이 병원 내과의사를 단순 '응급실 체류자'로 분류했는데 역학 조사 결과 당시 응급실에서 근무를 한 것으로 조사됐다. 병원 내 감염 우려를 간과한 안이한 대응이었다.
보건의료단체연합은 “이러한 사실에서 드러나고 있는 것은 삼성서울병원이 14번 환자가 내원한 27일~29일 사이 응급실 환자 및 보호자에 대한 추적조사를 제대로 하지 않았으며, 정부는 이에 대해 지속적으로 방관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문제는 아직까지도 삼성서울병원에 대한 광범위한 역학조사와 감염에 노출되었을지 모를 환자들과 보호자 그리고 의료진에 대한 추적조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는 점”이라며 “제대로 된 역학조사와 감염에 노출된 모든 삼성서울병원 이용자들에 대한 추적조사를 실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