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이상미 기자]한국인들은 평균 84세까지 살기를 희망하지만 이를 위해 건강관리를 하는 사람은 절반에 그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24일 한국건강증진개발원이 발표한 2015년 국민건강인식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들의 평균 희망 수명은 84.0세로 작년 기준 기대수명(81.9세)보다 높았다.
조사는 지난 2월 10~16일 20~59세 남녀 2918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성별로 보면 남성의 희망수명은 85.3세로 여성(82.6세)보다 높았다. 기대수명과 비교해보면 남성은 7년 정도 길었지만 여성은 되레 2.5년이 짧았다.
건강에 대한 관심은 높아지고 있지만 '희망수명까지 건강하게 살기 위해 노력한다'고 말한 사람은 절반(50.4%)에 그쳤다.
희망수명까지 살기 위한 노력으로는 '많이 움직이려고 노력한다'는 대답이 22.0%로 가장 많았다. 이어 '건강한 식생활을 한다'(16.8%), '별도의 시간을 내서 충분한 휴식을 한다'(13.1%), '정기적으로 건강검진을 받는다'(11.0%) 등의 순이었다.
건강을 위한 노력을 하지 않는 이유로는 '하고자 하는 의지가 약해서'와 '시간적 여유가 없어서'라는 응답이 대부분이었다.
연령이 낮을수록 '가족이나 친구의 방해', '주변의 술집이나 패스트푸드점이 많은 환경'이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