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신형수기자] 새누리당 당협위원장 선정방식이 결정됐다. 여론조사를 60% 적용하기로 한 것이다.
새누리당 조직강화특별위원회는 12일 회의를 열고 이같이 결정했다. 여론조사 대상은 일반국민 50%, 책임당원 및 일반다원 50%로 하기로 했다. 여론조사 반영은 60% 하기로 하고 나머지 40%는 그동안 조강특위에서 했던 평가를 반영하기로 했다. 아울러 여론조사 비용은 후보자가 부담하기로 했다.
김무성 대표는 그동안 여론조사 100% 반영을 주장했다. 하지만 끝내 조강특위는 60%를 적용하기로 했다.
앞서 조강특위는 6개 지역의 당협위원장 후보 2~3명을 압축했다.
확정된 당협위원장 후보는 ▲문정림 민현주 지상욱(서울 중구) ▲권신일 정태근(서울 성북갑) ▲강승규 황인자(서울 마포갑) ▲김상민 박종희(경기 수원갑) ▲강호정 이음재(경기 부천원미갑) ▲서규용 오성균(충북 청원)이다.
당헌·당규에 따라 여론조사에서 여성에 대해서는 15%를, 장애인에 대해선 10%의 가산점이 부여된다.
이런 가운데 경기도 수원갑에 출마한 박종희 전 의원이 반발하고 나섰다. 박 전 의원은 보도자료를 통해 “이번처럼 원칙과 기준도 없이 오락가락하는 조강특위는 보지를 못했다”면서 “일반 국민을 대상으로 여론조사를 한다면 매달 당비를 내온 책임당원과 일반당원들의 당직선출권은 어떻게 되는 것인가”라고 일갈했다.
박 전 의원이 반발하면서 수원갑 당협위원장 임명은 요동칠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