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이상미 기자]현재 중학교 3학년이 입시를 치르는 2018학년도 대학수학 능력시부터 영어영역이 절대평가로 전환될 전망이다. 특히 이 과정에서 수학 등 다른 과목에 절대평가 도입 여부도 함께 검토할 것으로 예상된다. 영어 절대평가 도입시, 등급체제는 4~5개등급 또는 9개 등급을 가장 유력히 검토중이다. 이 같은 방안은 20일 교육부와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 서울 중구 평가원에서 개최한 '수능 영어 절대평가 도입을 위한 방안' 공청회를 통해 제시됐다.
이날 공청회에서 교육부가 선정한 정책연구진의 연구책임을 맡은 강태중 중앙대 교수는 '수능 영어영역 절대평가 방안 모색'을 주제로 한 발제문에서 “수능 영어 절대평가를 독자적으로 도입할 경우 성공할 수 없다”며 “다른 영역으로 확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의견을 냈다.
강 교수는 수능을 절대평가로 바꾸는 방안에 대해 “수능은 학교 교육내용을 충실히 반영하고 평가는 학생 개개인의 교과 학습 수준을 드러내는 데 두어야 한다”며 “수험생들의 상대적인 우열을 세밀하게 가르는 데 두어서는 안 된다”고 밝혔다. 수능 절대평가 체제 전환에 대해 긍정적인 입장을 나타낸 것으로 해석된다.
그는 또 “많은 사람들이 우려하고 있듯 '수능 영어 절대평가 방안'은 독자적으로 성공할 수 없다”며“학교에서 영어 교육을 소홀히 하게 될 가능성이나 사교육이 다른 영역으로 옮겨갈 가능성 등을 세심하게 고려하는 보완책을 함께 강구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도“사교육 문제에 따른 '풍선효과' 현상은 충분히 예상될 수 있지만 이런 예상이 정상적인 교육을 추구하는 정책을 위축시켜서는 안된다”며 “사교육의 부작용을 가능한 한 줄여야 겠지만 그런 부작용을 이유로 교육적인 대안 선택을 포기해서는 안된다”고 주장했다. 사교육이 늘어날 수 있다는 이유만으로 영어 절대평가를 도입하지 않아서는 안된다는 것이다.
강 교수는 “학교 교육의 목표는 1등 하는 학생을 만드는 데 있는 것이 아니라 모든 학생이 교과 숙달에 이르게 하는 데 있다”며“이 점에서 '절대평가'는 영어영역을 넘어 다른 영역으로 확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등급체제에 대해서는 “수능 영어 절대평가 방안에서 채택할 가능성이 높은 등급수 대안은 4~5개 또는 9개 등급이라고 볼 수 있다”며 “수능이 전형 자료가 된다는 점을 감안하면 등급 수를 2~3개 정도로 줄이는 것은 변별력을 지니지 못하기 때문에 어렵다”고 말했다.
두번째 발제자로 나선 박찬호 계명대 교수는 '수능 영어영역 절대평가 점수체제 탐색'을 주제로 한 발표에서 수능 영어 절대평가 논의 과정에서 필요한 점수체계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구체적으로 분할점수 방식은 ▲고정 분할점수 방식 ▲내용 분석에 의한 준거설정 방식 ▲혼합 방식을 , 등급 수는 ▲9등급 ▲4~5등급 ▲2~3등급을 각각 검토해 볼 수 있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고정 분할 점수 방식'은 사전에 분할 점수를 미리 정한 후 그에 맞추어 출제하는 방식으로 100점 만점에 90, 80, 70, 60점을 분할 점수로 미리 정하고 이에 따라 등급을 산출하는 방식이다. '준거설정 방식'은 전문가의 내용 분석에 의거해 분할 점수를 설정하는 방식으로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등에서 사용된다.
박 교수는 “2~3등급이나 4~5개 등급의 경우 현재 대학에서 요구하는 수준의 변별력에는 미치지 못한다”며 “9개 등급은 절대평가로서의 취지가 퇴색되며 신뢰도가 낮아질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고 말했다.
그는 “수능 영어를 절대평가로 전환한다면 어떠한 방식의 점수체제를 택하는 것이 정책 도입의 취지를 가장 살리는 것인지 고민할 필요가 있다”며 “수능 영어 절대평가에서 어떤 입장을 취하든 이에 앞서 가장 경계해야 할 문제는 '수능만능주의'일 것”이라고 지적했다.
또 “절대평가가 교육적으로 바람직한 면이 있지만 과거 고등학교 내신 절대평가에서의 혼란이나 수능 등급제에 따른 혼란 등 과거의 경험을 반추해 볼 필요가 있다”며 “현재 수능에서 1~2점 차이로 등급이 바뀌는 문제를 절대평가 점수체제가 바로 해결해주는 것은 아니다”고 강조했다.
한편 교육부는 이날 수능 영어에서 절대평가가 도입된다는 점을 인정했다.
김도완 교육부 대입제도과장은 “수능 영어 절대평가 도입은 기정 사실이고 공청회는 등급 산정 등 구체적인 방식을 연구하기 위한 성격이 강하다”며“도입 시기는 빠르면 2018학년도 도입된다는 것이고 아직 확정된 것은 아니다”고 말했다.
이날 공청회에 토론자로 참석한 최은경 상계고 교사는 이와 관련 “고등학교에서는 영어보다 수학으로 인한 사교육비가 더 많이 투자되고 있다”며 “수능 영어를 절대평가해 영어의 변별력이 없어지면 수학 변별력이 커지게 돼 수학에 대한 사교육비가 더 증가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한편 교육부와 평가원은 이번 공청회에서 논의된 사항을 검토해 수능 영어 절대평가 도입 관련 정부 정책을 연내 확정해 발표한다는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