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하는 토끼를 쫓아 땅속으로 뛰어들어 이상한 나라를 모험하고 돌아온 지 6개월이 지난 어느 초겨울 날, 앨리스는 방 안에 걸린 거울 속으로 뛰어든다.
그리고 거울 나라를 모험하게 된다. 그곳은 거울 나라답게 모든 것이 반대다. 글자도 거꾸로 보이고 가고 싶은 방향으로 가려면 반대로 달려야 한다. 벌을 받은 뒤에 잘못을 저지르는 식이다.
앨리스는 거대한 체스 판처럼 생긴 거울 나라에서 하얀 여왕의 졸이 돼 직접 경기를 펼친다. 이상한 곤충들, 트위들덤과 트위들디, 험프티 덤프티, 하얀 기사 등 우스꽝스럽지만 매력적인 등장인물들을 만나 기상천외한 소동을 겪는다. 결국, 목적지에 도달한 앨리스는 여왕의 자리에 오른다. 붉은 여왕, 하얀 여왕과 함께 즐기던 파티가 엉망이 되면서 앨리스는 잠에서 깨어난다.
‘거울 나라의 앨리스’는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의 후속이다. 전작이 따뜻한 봄날 땅속 이상한 나라로 뛰어들어 트럼프 카드들을 상대한 내용이었다면, ‘거울 나라의 앨리스’는 추운 겨울날 거울 나라에서 체스 말이 돼 경기를 벌이는 이야기다.
특히 체스 말을 움직이는 ‘수’를 이야기에 반영했다. 논리와 계산에 치중했지만, 틀에 갇히지는 않았다. 현대 경제학과 사회학 분야는 이 작품의 등장인물들에 착안해 ‘붉은 여왕 효과’ ‘하얀 여왕 효과’ ‘험프티 덤프티’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다. 그만큼 각각의 등장인물이 탁월한 논리적 비유를 개성으로 삼고 있음을 방증한다.
‘거울 나라의 앨리스’는 아이들에게 교훈과 도덕성을 가르치기보다는 이야기 자체와 말장난이 주는 순수한 재미를 선사한다. ‘앨리스’ 시리즈의 유쾌한 상상력과 말놀이, 시적인 묘사와 개성 넘치는 등장인물, 재치 넘치는 패러디와 날카로운 사회 풍자 등이 그대로 담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