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뉴스 박정민 기자] 지오릿에너지가 16조원 규모의 파키슨병치료제 시장에 진출한다. 회사는 파킨슨병 동물모델 뿐만 아니라 60명의 파킨슨 환자 분석으로도 검증을 마친 서울대 유전공학연구소 정종경 소장이 보유한 특허 3건을 도입한 뒤 글로벌 제약사와 라이선스아웃(기술수출)을 추진할 계획이다.
지오릿에너지는 '파킨슨병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특허 2건과 '파킨슨병 진단 마커' 특허 1건의 도입계약을 체결했다고 5일 밝혔다. 특허 출원인은 서울대 산학협력단이며 발명자는 서울대 유전공학연구소 소장으로 재직 중인 정종경 교수 등이다.
회사 측에 따르면 이번 거래로 서울대는 50억500만원의 기술료 계약금을 수령한다.
이번 특허는 파킨슨병 분야 전 세계 권위자 2인 중 한명으로 평가받는 정종경 교수가 25년 간 파킨슨병을 연구한 성과물이다. 정종경 교수는 파킨슨병 원인 유전자 6개 가운데 4개에 대한 질병 모델을 세계 처음으로 찾아냈다. 특히 2개의 파킨슨병 원인 유전자인 핑크(PINK)와 파킨(PARKIN)의 기능을 세계 처음으로 규명해 네이처, 셀 등 최정상 생명과학 학술지에 다수의 논문을 발표했다.
최근 정 교수 연구팀은 세계 처음으로 파킨슨병 동물의 뇌에서 도파민 신경이 죽는 것을 막아내는 물질을 발견했고, 사람에서도 이 물질의 양과 파킨슨 병의 상관관계를 증명해 2건의 치료제 특허와 1건의 진단법 특허를 출원했다.
현재 파킨슨병의 표준 치료법은 레보도파라는 도파민 전구체를 투약해 살아남아 있는 도파민 신경이 도파민을 더 많이 만들게 하는 치료법이다. 그러나 이 치료법은 도파민 신경이 죽는 것을 막지 못해 결국은 환자가 사망에 이르게 된다는 한계가 있다.
지오릿에너지가 확보한 파킨슨병 치료 물질은 체내에서 소량 만들어지는 물질로 인체 독성이 전혀 없다. 연구진은 이 물질을 주사하면 파킨슨병 증상이 사라질 뿐만 아니라 도파민 신경이 더 이상 죽지 않는다는 동물실험 결과를 확인했다. 특히 이번 특허에는 파킨슨병 환자 60명의 환자 분석 데이터가 포함돼 있다.
회사 관계자는 "현재 전 세계적으로 정종경 교수팀이 발견한 물질과 유사한 치료 효과를 나타내는 파킨슨병 치료 물질은 발견 또는 발명된 바 없다"며 "60명의 파킨슨병 환자 분석에서도 동물실험과 동일한 결과가 나왔다"고 말했다.
지오릿에너지는 이번에 기술도입한 물질을 해외 글로벌제약사에 조기 라이선스 아웃을 추진할 예정이다. 이와 동시에 에이프로젠 연구진과 연구 인프라를 활용해 보강 특허를 출원하고 치매 등 다른 퇴행성 뇌질환으로 적응증을 확장할 예정이다.
지오릿에너지 인수를 추진 중인 김재섭 에이프로젠 대표는 "정종경 교수가 발굴한 이번 파킨슨병 치료제 물질은 그 생물학적, 생화학적 특성을 감안할 때 유례를 찾아볼 수 없는 획기적인 치료제가 될 것임을 확신한다"며 "60명 환자 분석과 동물실험의 결과가 같다는 것은 이번 기술이 추가적인 임상 연구 없이도 수조원 규모의 라이선스 아웃 딜이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말했다.
한편 글로벌 데이터에 따르면 지난 2016년 35억달러(약5조원)이었던 전 세계 파킨슨병 치료제 시장 규모는 오는 2029년 115억달러(약 16조원)에 이를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