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9.17 (수)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바이오ㆍ제약

모더나코리아, 의료진 대상 코로나19 백신 선호도 서베이 결과 발표

URL복사

개원의 10명 중 9명, 엔데믹 시대에 편리성과 안전성이 높은 단회 투여 바이알 선호

[시사뉴스 김성훈 기자] 모더나코리아가 의료진 대상으로 실시한 코로나19 백신 처방 의향 및 제형 선호도 관련 서베이 결과를 27일 발표했다. 그 결과 응답자의 91%가 단회 투여 바이알(Single Dose Vial, SDV)을 선호하며, 이를 사람들을 위한 편리한 접종 방법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더나코리아 이규남 마케팅 전무는 "모더나는 삼성바이오로직스와 협력하여 mRNA 기술을 기반으로 국내에서 유일하게 제조된 코로나19 백신을 제공하게 되어 자랑스럽게 생각한다”며, “이번 백신 접종 시즌에는 전량 단회 투여 바이알(SDV) 형태로 최신 백신을 공급할 계획이며, 앞으로도 국내 의료진과 국민들에게 최적의 백신 접종 방안을 제공하기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단회 투여 바이알(SDV)은 한 병을 여러 사람이 나눠 맞는 것이 아닌 한 사람만 맞는 1인 전용 백신으로, 정량 투여 가능성을 올리고, 오염 가능성을 낮춘다.

 

이번 서베이는 9월 9일부터 12일까지 4회에 걸쳐 온·오프라인 통합 하이브리드 형식으로 진행된 모더나코리아의 ‘스파이크박스 One for All’ 심포지엄에서 진행되었으며, 개원의 2,065명이 서베이에 참여했다.

 

서베이 결과에 따르면, 단회 투여 바이알(SDV) 선호도에 관한 문항에 ‘매우 선호’가 51%, ‘선호’가 40%로 전체 응답자의 91%가 긍정적으로 응답했다. 또한, 84%의 응답자는 단회 투여 바이알(SDV)이 앞으로의 엔데믹 대응에 있어 사람들에게 더 안전하고 편리한 접종 방법이라고 응답해, 포스트 팬데믹 환경에서 단회 투여 바이알(SDV)이 최적의 접종 방법으로 인식됨을 확인했다.

 

이어 단회 투여 바이알(SDV)의 주요 장점을 묻는 문항(중복응답 포함)에서는 응답자들이 접종 편리성(59%)을 가장 큰 이유로 꼽았으며, 오염 위험 감소(24%), 백신 낭비 최소화(12%), 관리 용이성(5%) 이 그 뒤를 이었다. 이를 통해 의료진들이 편리성과 안전성을 백신 종류 선택의 주요 기준으로 고려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백신 접종 의향에 관한 조사에서도 긍정적인 결과를 보였다. 응답자의 89%는 코로나19 백신과 인플루엔자(독감) 백신을 동시 접종할 의향이 있다고 밝혔으며, 92%는 65세 미만이더라도 감염 취약 대상에 속하는 기저질환자에게 코로나19 백신 접종을 권장할 것이라고 답변했다.  

 

질병관리청은 오는 10월 11일부터 65세 이상 고령자를 포함한 고위험군을 대상으로 코로나19 백신 접종을 시작하며 독감 백신과 동시 접종을 권장한다. 무료 접종 대상군이 아닌 경우에는 병의원에서 의료진과 상담을 통한 유료 접종이 가능하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생성형 AI 활용…결국 사용자의 활용 능력과 방법에 달려 있다
지난 2022년 인공지능 전문 기업인 오픈AI에서 개발한 챗GPT를 비롯해 구글의 Gemini(제미나이), 중국의 AI기업에서 개발한 딥시크, 한국의 AI기업에서 개발한 뤼튼, 미국 캘리포니아에 본사를 두고 있는 중국계 미국기업이 개발한 젠스파크 등 생성형 AI 활용시대가 열리면서 연령층에 상관없이 생성형 AI 활용 열기가 뜨겁다. 몇 시간에서 며칠이 걸려야 할 수 있는 글쓰기, 자료정리, 자료검색, 보고서, 제안서 작성 등이 내용에 따라 10초~1시간이면 뚝딱이니 한번 사용해 본 사람들은 완전 AI 마니아가 되어 모든 것을 AI로 해결하려 한다, 이미 65세를 넘어 70세를 바라보는 필자는 아직도 대학에서 3학점 학점 수업을 진행하고 있다. 지난 2일 개강 첫날 학생들에게 한 학기 동안 글쓰기 과제물을 10회 정도 제출해야 하는데 생성형 AI를 활용해도 좋으나 그대로 퍼오는 것은 안 된다는 지침을 주었다. 그러면서 “교수님이 그대로 퍼오는지 여부를 체크 할수 있다”고 큰소리를 쳤다. 큰소리가 아니라 지난 학기에도 실제 그렇게 점검하고 체크해서 활용 정도에 따라 차등 평가를 실시했다. 이렇게 차등 평가를 할 수 있다는 것은 필자가 생성형 AI 활용 경험이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