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김철우 기자] 서울시내버스 노조가 28일 총파업을 예고한 가운데 오늘(27일) 노사 최종 협상이 결렬되면 12년 만에 버스 파업이 현실화된다. 서울시내버스 노조에 참여하는 65개사 중 61곳이 단체교섭 대상이다.
전국자동차노동조합연맹 서울시버스노동조합은 26일 파업 찬반 투표를 진행한 결과 투표 참여자 대비 찬성률 98.3%로 파업안이 통과됐다고 밝혔다.

이번 총파업 찬반투표에는 조합원 1만8133명 중 1만6317명이 투표에 참여해 1만6046명이 찬성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에 따라 사측과 합의가 최종 무산될 경우 28일 오전 4시 첫차부터 운행을 중단하고 총파업에 돌입하게 된다.
총파업에 앞서 노조와 사측인 서울시버스운송사업조합은 오늘 오후 2시 30분부터 서울지방노동위원회에서 막판 조정절차를 진행한다.
쟁점은 임금 인상이다. 서울 시내버스 노사는 지난해 12월 28일부터 지난 23일까지 7차례의 중앙노사교섭과 2차례의 사전 조정회의를 통해 임금교섭을 진행해왔지만 아직 합의점을 찾지 못했다.
노조는 시급을 12.7% 올려달라 요구하는 반면, 서울시 버스운송사업조합 측은 올해 공무원 임금 인상률인 2.5% 인상만 가능하다면서 맞서고 있다.
버스조합은 이날 발표한 보도자료에서 "노조 측 요구안을 모두 수용하면 연간 1천841억∼1천923억원이 추가로 발생한다"며 "막대한 비용 증가는 결국 시민들의 부담으로 다가올 수 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서울시버스노조가 파업을 한 것은 2012년이 마지막이다. 당시 20분간 부분 파업이 진행됐다. 이번에 예고한 파업이 현실화한다면 12년 만이다.
서울시는 버스 파업에 대비해 지하철 운행 시간 연장, 셔틀버스 운행 등 비상수송계획을 수립한 상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