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한 아버지와 연약한 아들
‘크리스티아노’의 하루는 뽀뽀를 해달라고 조르는 ‘리노’의 닭살 돋는 장난으로 시작된다. 여자애들에게 놀림이나 당하는 연약한 크리스티아노에게 절대적인 사랑과 믿음을 주는 건 그의 아버지이자 베스트 프렌드인 리노 뿐이다. 크리스티아노와 장난치며 친구처럼 어울려 즐기기를 좋아하는 리노는 아들이 힘없이 얻어맞고 돌아오는 것, 그리고 정신이 온전치 않은 4차원 친구 ‘콰트로’가 사람들에게 무시당하는 것은 참지 못한다 한편. 리노 부자의 보호를 받는 콰트로는 TV 속 포르노 배우와 사랑을 나누는 등 혼자만의 세계에 빠져 현실과 상상을 혼동하며 산다.
어느 날 크리스티아노의 친구 ‘파비아나’를 본 콰트로는 그녀를 자신이 사랑하는 TV 속 배우로 착각한다. 그리고 얼마 뒤 폭풍우 치던 늦은 밤 혼자 귀가하던 그녀를 발견하고 ‘신께서 내게 보내주신 선물’이라며 들뜬 마음으로 뒤를 쫓다 돌이킬 수 없는 큰 실수를 저지른다. 그날 밤 콰트로의 실수에 리노까지 휘말리게 되고… 파비아나의 시체와 정신을 잃고 쓰러진 리노를 발견한 크리스티아노는 모든 게 그의 소행이란 생각에 불안에 떤다.
셰익스피어 연상시키는 극적 연출
이 영화는 이탈리아 최고권위의 문학상인 ‘스트레가 상’ 수상작인 니콜로 아망띠의 동명 베스트셀러를 원작으로 한 작품이다. 니콜로 아망띠 특유의 탄탄한 구성과 밀도 있는 스토리, 긴박감 넘치는 전개, 매력 넘치는 캐릭터로 구성된 소설에 거장 가브리엘 살바토레 감독의 임팩트 있고 감각적인 연출을 통해 더욱 더 강렬한 메시지와 흡인력을 지닌 영화로 재탄생 됐다.
가브리엘 살바토레 감독은 극적 드라마를 보여주며 인간본연의 감성을 자극하기 위해 셰익스피어를 연상시키는 연출을 선보였다. 셰익스피어의 작품에는 흔히 ‘폭풍우 전’, ‘폭풍우 치는 밤’, ‘폭풍우 후’의 이야기 구성과 세 부류의 인물 ‘왕(아버지)’, ‘왕자(아들)’ 그리고 ‘바보’가 존재한다. 인물들은 첫 번째 막에서 이야기를 시작하고 두 번째 막에서 폭풍우를 맞으며 자신을 잃고 좌절하다 세 번째 막에 이르러 아픔과 상처의 경험을 겪고 마침내 한 ‘인간’으로 재탄생한다. 감독은 아버지 리노, 아들 크리스티아노, 지능이 떨어지는 콰트로를 등장시켜 ‘폭풍우 치는 숲’에서의 강렬한 사건 후 그들을 뒤엉킨 운명의 소용돌이 속으로 이끈다. 하지만 가브리엘 살바토레는 아들을 강하게 키워야 한다고 믿는 아버지 리노와 오히려 아버지를 더 걱정하는 아들 크리스티아노 부자의 뜨거운 사랑과 믿음을 스토리에 녹여내며 비극적 결말이 아닌 감동의 엔딩을 선택한다.
네오리얼리즘의 또 다른 수작
인위적으로 가공됐던 스토리 라인 대신 ‘삶의 단면을 반영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네오리얼리즘의 흐름을 이어가며 ‘네오리얼리즘의 적자(適者)’로 불리는 가브리엘 살바토레 감독은 여전히 자신만의 네오리얼리즘 영화의 방식을 고수하며 작품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감독은 ‘애즈 갓 커맨즈’를 촬영하면서도 배우들에게 조명 및 마이크를 의식하지 않게 배려하면서 연기에 무한한 자유를 제공하고, 인물내면의 시점에 집중해 영화를 제작했다. 카메라를 어깨에 메고 숄더 헬드 기법을 사용해 배우와 함께 움직이며 배우가 움직이는 대로 카메라가 따라가는 방법으로 배우들과 함께 비를 맞거나 진흙탕을 뒹굴며 더욱 더 그들의 내면 속으로 들어갔다.
또한 가브리엘 살바토레 감독은 구성 리스트와 스토리 보드를 과감히 제거해 배우들의 더욱 자연스러운 움직임과 연기를 담아냈다. 그리고 그렇게 처음부터 끝까지 단 한 번의 중단 없이 한 씬으로만 촬영을 이어가는 대신 다양한 시퀀스를 구성해 촬영했고 찍은 시퀀스들은 과감하게 편집하고 연결해 영화를 완성시켰다. 그 결과 주인공들의 섬세한 내면 묘사와 강렬한 시퀀스들이 조화돼 강력한 흡인력을 발산하는 네오리얼리즘의 또 다른 수작이 탄생했다.
프롬파리 위드러브
감독 : 피에르 모렐
배우 : 존 트라볼타, 조나단 리스 마이어스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감독 : 팀 버튼
배우 : 조니 뎁, 앤 해서웨이, 미아 워시코스카, 헬레나 본햄 카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