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김철우 기자] 미국 뉴욕증시는 26일(현지시간) 4분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등 경제지표의 호조에 힘입어 일제히 상승 마감했다. 테슬라 주가는 11% 급등했다.
이날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 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205.57포인트(0.61%) 오른 3만3949.41로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도 전장보다 44.21포인트(1.10%) 상승한 4060.43로 장을 닫았다.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전장보다 199.06 포인트(1.76%) 오른 1만1512.41에 장을 마감했다.
시장은 이날 발표된 지난해 4분기 국내총생산(GDP) 지표와 기업 실적 등에 주목했다. 미국의 경제 지표가 견조한 모습을 보이면서 경기 연착륙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졌다.
미국 상무부는 작년 4분기 GDP 상승률이 연율 기준 2.9% 상승했다고 발표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집계한 전문가들의 전망치인 2.8% 증가를 소폭 웃돌았다.
샘 스토벌 CFRA 리서치 수석 투자 전략가는 CNBC에 GDP 수치가 예상보다 좋기 때문에 투자자들이 깊은 약세장으로 내던져지지 않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BMO 패밀리 오피스의 최고투자책임자(CIO)인 카롤 쉬리프는 이메일 논평을 통해 이날 GDP 수치가 "인플레이션을 진정시키기 위한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공격적인 조치에도 불구하고 경제는 상대적으로 강하다는 것을 시사한다"고 풀이했다고 마켓워치는 전했다.
실업 지표도 여전히 견조했다. 지난 21일 마감한 주간 신규 실업보험 청구자 수는 계절 조정 기준으로 전주보다 6천 명 감소한 18만6천 명에 집계됐다. 이는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집계한 전문가 예상치 20만5천 명보다 적은 수준이다.
지난 12월 내구재 수주도 전월보다 5.6% 증가하며 시장의 예상치인 2.4% 증가를 웃돌았다. 다만, 기업의 투자지표인 항공기를 제외한 비국방 자본재 수주는 전월보다 0.2% 감소해 부진한 모습을 보였다.
나스닥은 전기차 테슬라와 마이크로소프트, 아마존, 알파벳 등 기술 대기업들의 강세로 상승했다.
최대 분기 순이익을 발표한 테슬라는 이날 10.97%나 급등했다. 마이크로 소프트는 3.07%, 앤디비아는 2.48% 뛰었다.
다만 IBM은 분기 매출은 예상치를 웃돌고, 순이익은 대체로 예상치에 부합했음에도 주가는 4% 이상 하락했다.
아메리칸 항공의 주가는 회사가 예상치를 웃돈 순이익과 매출을 발표하고 예상치를 크게 웃도는 연간 가이던스를 제시하면서 2% 이상 올랐다. 사우스웨스트항공의 주가는 예상보다 손실 규모가 확대됐다는 소식에 3% 이상 하락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