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3.10.03 (화)

  • 흐림동두천 11.4℃
  • 구름많음강릉 15.3℃
  • 구름많음서울 14.8℃
  • 흐림대전 12.0℃
  • 흐림대구 12.1℃
  • 흐림울산 14.6℃
  • 흐림광주 16.1℃
  • 흐림부산 18.7℃
  • 흐림고창 13.5℃
  • 흐림제주 21.3℃
  • 흐림강화 13.3℃
  • 흐림보은 10.0℃
  • 흐림금산 9.6℃
  • 흐림강진군 15.4℃
  • 흐림경주시 11.2℃
  • 흐림거제 16.6℃
기상청 제공

사회

광복절 연휴 첫날 고속도로 양방향 '북적'

URL복사

전국 고속도로 이용차량 544만대 예상
정체 시작된 지방방향, 정오께 최대 혼잡
상행선도 정체…오후 8시 넘어야 풀릴 듯

 

[시사뉴스 김도영 기자]  13일 광복절 연휴 첫날에 쏟아져 나온 나들이 차량들로 고속도로 양방향이 매우 혼잡할 것으로 전망된다.

한국도로공사에 따르면 이날 전국 고속도로 교통량은 544만대로 예상된다. 수도권에서 지방으로 빠져나가는 차량은 48만대, 지방에서 수도권으로 진입하는 차량은 43만대로 관측된다.

도로공사 측은 "나들이 차량이 집중돼 교통량은 평소 주말보다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며 "양방향 모두 혼잡하며 특히 지방방향으로 정체가 집중될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오전 6시~7시 시작된 지방 방향 정체는 오전 11시~12시 최대에 달한 뒤 오후 8시~9시 해소되겠다.

서울 방향 정체는 오전 9시~10시 시작돼 오후 5시~6시 절정에 이르고 오후 8시~9시 사이 풀릴 전망이다.

이날 오전 9시40분 기준 경부고속도로 부산방향은 한남~서초 4㎞ 구간, 신갈분기점 부근~수원 4㎞ 구간, 동탄분기점~남사 부근 12㎞ 구간, 망향휴게소 부근~천안휴게소 부근 15㎞ 구간, 옥산분기점 부근~청주 부근 17㎞ 구간 등에서 정체를 보이고 있다. 서울방향으로는 양재부근~반포 4㎞ 구간 등에서 속도가 더디다.

서해안 고속도로는 목포방향으로 순산터널부근 1㎞ 구간, 매송 휴게소 부근~화성휴게소 부근 12㎞ 구간, 서평택분기점~서평택 7㎞ 구간, 서평택~서해대교 5㎞ 구간 에서 교통 흐름이 혼잡하다.

서울 양양고속도로는 양양방향 미사~설악 부근 29㎞ 구간, 남춘천 부근~춘천분기점 부근 12㎞ 구간에서 차량이 제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다

오전 10시 요금소 기준으로 승용차를 이용한 주요 도시 간 예상 소요시간은 하행선 ▲서울~부산 6시간 ▲서울~대구 5시간  ▲서울~광주 6시간 ▲서울~대전 3시간40분 ▲서울~강릉 6시간10분 ▲서울~울산 5시간30분 ▲서울~목포 6시간20분이다.

상행선은 ▲부산~서울 4시간57분 ▲대구~서울 3시간30분 ▲광주~서울 3시간20분 ▲대전~서울 1시간49분 ▲강릉~서울 2시간40분 ▲울산~서울 4시간10분 ▲목포~서울 3시간40분이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바이든, 미 상·하원 통과 임시예산안에 서명…정부 폐쇄 위협 해소
[시사뉴스 김성훈 기자] 미 하원과 상원은 이날 정부 폐쇄 돌입을 불과 몇시간 남기고 임시 예산안을 잇따라 통과시켜 바이든 대통령에게 서명하도록 송부했었다. 전격적으로 하원과 상원을 통과한 이 임시 예산안은 공화당 의원들의 반대가 점점 거세지고 있는 우크라이나에 대한 지원을 중단시키지만 연방정부의 재난 지원을 160억 달러(21조6800억원) 증액시켜 바이든 행정부의 요구를 충족시켰다. 임시 예산안 통과로 미 정부는 11월17일까지 지출이 가능해졌다. 케빈 매카시 하원의장(공화)은 공화당 강경파 의원들이 요구해온 급격한 지출 삭감을 포기하고 임시 예산안 통과를 민주당 의원들에 의존했다. 이는 그의 하원의장직을 위험에 빠뜨릴 수도 있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상원도 하원과 같은 내용의 임시 예산안을 통과시켜 초당적 임시 예산안이 최종 확정됐다. 매카시 의장은 표결에 앞서 "우리는 우리의 일을 할 것이며, 성숙하게 행동할 것이다. 연방정부는 계속 열릴 것"이라고 말했다. 1일 자정(현지시간) 전 임시 예산안이 통과되지 못했을 경우 연방 공무원들은 강제 무급휴가를 가야 했고, 200만명이 넘는 현역 및 예비역 군인들이 무보수로 근무해야 했을 것이며, 미 전역의 국민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5개월만에 또 다시 등장한 ‘엄석대’ 논란
지난 3월 국민의힘 3·8 전당대회를 앞두고 이준석 전 대표가 윤석열 대통령을 이문열 소설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의 주인공인 독재자 엄석대로 빗댄데 이어 5개월만에 또 다시 국민의힘 의원들과 내각 일부장관들이 대통령을 엄석대로 만들고 있다는 비판이 제기돼 관심을 끌고 있다. 자유한국당(국민의힘 전신) 비상대책위원장을 지낸 김병준 한국경제인협회 상임고문은 지난달 28일 ‘2023 국민의힘 국회의원 연찬회’ 특강에서 “국민의힘 의원들과 정부부처가 윤석열 대통령의 의중, 즉 ‘윤심(尹心)’만 따라가는 모습을 국민에게 보여 주니까 ‘대통령이 엄석대다, 아니다’라는 말이 나온다”며 “대통령의 철학이나 국정운영 기조를 제대로 알고 이심전심으로 당과 용산이 혼연일체가 되고 일심동체가 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강연의 요지는 윤 대통령은 엄석대를 쫓아내며 학급에 자유를 되찾게 한 김 선생님에 가까운데 일부 여당과 정부부처 장관들이 ‘윤심’을 지나치게 확대해석하거나 맹목적으로 따르다보니 대통령이 엄석대 소리를 듣게 된다는 것이다. 김 상임고문의 지적은 요즘 일어나고 있는 홍범도 장군 흉상 이전문제나 정율성 역사공원 논란, 잼버리대회 전후 여성가족부장관의 부적절한 처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