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9.18 (목)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국제

일본 신규확진 엿새째 1만명↓...사망자 전날보다 20명↑

URL복사

 

[시사뉴스 한지혜 기자] 일본에서 코로나19가 기승을 부리는 가운데 신규환자가 엿새째 1만명 밑으로 떨어졌지만 사망자는 전날보다 20명 가까이 많은 74명이나 나왔다.

NHK와 지지(時事) 통신 등은 각 지방자치단체와 후생노동성의 발표를 집계한 결과 15일 들어 오후 9시45분까지 6806명이 코로나19에 새로 걸렸다고 전했다.

오사카부에서 1160명, 수도 도쿄도 1052명, 아이치현 568명, 사이타마현 513명, 가나가와현 489명, 효고현 367명, 지바현 354명, 오키나와현 255명, 후쿠오카현 248명, 교토부 177명, 시즈오카현 170명, 홋카이도 110명, 도치기현 83명, 나라현 80명, 이바라키현 78명, 미야기현 74명, 히로시마현 72명, 미에현 68명, 오카야마현 50명, 시가현 44명, 군마현 41명, 나가노현 39명, 구마모토현 36명, 가고시마현 30명, 후쿠시마현 30명, 오이타현 26명, 미야자키현 20명 등 감염자가 발생해 누계 확진자는 165만8000명을 넘었다.

일일환자는 7월 15일 3417명, 16일 3432명, 17일 3885명, 18일 3101명, 19일 2328명, 20일 3755명, 21일 4942명, 22일 5395명, 23일 4225명, 24일 3574명, 25일 5017명, 26일 4689명, 27일 7629명, 28일 9572명, 29일 1만697명, 30일 1만743명, 31일 1만2339명, 8월 1일 1만173명, 2일 8391명, 3일 1만2014명, 4일 1만4165명, 5일 1만5213명, 6일 1만5634명, 7일 1만5747명, 8일 1만4468명, 9일 1만2068명, 10일 1만570명, 11일 1만5804명, 12일 1만8890명, 13일 2만361명, 14일 2만148명, 15일 1만7826명, 16일 1만4850명, 17일 1만9949명, 18일 2만3916명, 19일 2만5145명, 20일 2만5868명, 21일 2만5486명, 22일 2만2289명, 23일 1만6836명, 24일 2만1559명, 25일 2만4309명, 26일 2만4958명, 27일 2만4192명, 28일 2만2749명, 29일 1만9300명, 30일 1만3632명, 31일 1만7703명, 9월 1일 2만23명, 2일 1만8217명, 3일 1만6728명, 4일 1만6007명, 5일 1만2905명, 6일 8227명, 7일 1만603명, 8일 1만2388명, 9일 1만395명, 10일 8885명, 11일 8802명, 12일 7210명, 13일 4171명, 14일 6277명을 기록했다.

일본 국내 감염자 중 도쿄도에서 20명, 가나가와현 12명, 오사카부 9명, 지바현과 아이치현 각 5명, 사이타마현 4명, 오키나와현 3명, 효고현과 도야마현, 히로시마현 각 2명, 미에현과 교토부, 홋카이도, 미야자키현, 야마가타현, 오카야마현, 도치기현, 후쿠오카현, 이바라키현, 가고시마현 1명씩 합쳐서 74명이 목숨을 잃어 총 사망자가 1만6983명으로 늘어났다.

크루즈선 승선 사망자 13명을 더하면 1만6996명이 지금까지 숨졌다.

일본 내 코로나19 환자는 전세기편으로 중국에서 귀국한 다음 감염이 확인된 14명과 공항 검역 과정에서 확진자로 드러난 사람을 포함해 165만8211명이다.

여기에 집단발병으로 요코하마(橫浜)항에 격리 정박했던 대형 유람선(크루즈) 다이아몬드 프린세스호에 탔던 승객과 승조원 환자 712명을 합치면 총 확진자는 165만8923명이다.

일본에서 코로나19에 감염한 일본인과 중국인 여행객, 귀국 환자 등 165만8211명의 분포를 보면 도쿄도가 36만8950명으로 전체 4분의 1에 육박하고 있다.

이어 오사카부가 19만3048명, 가나가와현 16만3640명, 사이타마현 11만1862명, 아이치현 10만1706명, 지바현 9만7334명, 효고현 7만4674명, 후쿠오카현 7만2399명, 홋카이도 5만9394명, 오키나와현 4만8003명, 교토부 3만4499명, 시즈오카현 2만5851명, 이바라키현 2만3266명, 히로시마현 2만963명, 기후현 1만7745명, 군마현 1만6213명, 미야기현 1만5859명, 나라현 1만4903명, 오카야마현 1만4842명, 도치기현 1만4703명, 미에현 1만4286명, 구마모토현 1만3899명, 시가현 1만1878명, 후쿠시마현 9312명 등이다.

공항 검역에서 감염이 확인된 4070명, 중국에서 전세기로 귀국한 사람과 정부직원, 검역관 등 173명이 있다.

감염자 가운데 인공호흡기를 달거나 집중치료실에 있는 중증환자는 15일까지 일본 내에만 전날보다 71명 줄어든 1834명이 됐다.

병세가 좋아져 퇴원한 환자는 15일까지 일본 안에서 걸린 확진자 중 152만6008명, 다이아몬드 프린세스 승선자가 659명으로 총 152만6667명이다.

PCR(유전자 증폭) 검사 시행 건수는 13일에 자가검사를 제외한 속보치로 6만5922건으로 집계됐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조현 장관 "시진핑, APEC 방한 가능할듯…내달 왕이 中외교부장 방한 추진"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조현 외교부 장관이 17일 다음달 경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에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참석이 가능할 것으로 내다봤다. 또 다음달 왕이 중국 외교부장의 방한도 추진될 것임을 예고했다. 이날 중국 베이징을 방문해 왕 부장과 취임 이후 첫 외교장관회담을 가진 조 장관은 회담 이후 베이징 주(駐)중국대사관에서 한국 언론사 특파원들과 가진 간담회에서 회담 결과와 관련해 이같이 밝혔다. 조 장관은 다음달 APEC에 시 주석이 참석하는 방향으로 논의가 이뤄졌다는 점을 들면서 "방한이 확실한 것으로 느꼈다"고 말했다. 또 왕 부장이 다음달 방한을 추진하기로 했다는 점을 밝히면서 "10월 중에 시간을 잘 잡아보자 하는 정도로 얘기가 됐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왕 부장이 모자를 여러 개 쓰고 있다"며 중앙정치국 위원 등을 겸임하고 있다는 점을 들면서 "방한하게 되면 안보실장과도 면담하고 다층적으로 면담과 회담 기회를 갖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조 장관은 "오늘 장시간 논의를 했지만 사실은 좀 더 여러 디테일에 대해 협의를 해나가는 것이 필요하다. 한·중 간에는 수시로 외교장관회담이 필요하다"며 왕 부장의 방한에 대해 "언제든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일 안 해도 돈 준다’…청년 실업 대책, 계속되는 엇박자
‘청년 백수 120만’ 시대를 맞아 정부가 청년 고용 확대와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올해부터 ‘일자리 첫걸음 보장제’를 강력 추진하기로 했다. ‘청년백수’는 대한민국에서 15~29세 청년층 중 공식적인 통계에 잡히는 실업자는 아니지만, 실직 상태이거나 취업을 준비 중이거나, 또는 구직 활동을 하지 않고 그냥 쉬는 ‘쉬었음’ 인구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지난 2월 통계청 발표에서 전년보다 7만여 명 이상 늘어난 120만7천 명에 달했다. 이중 실업자는 약 27만 명, 취업준비자 약 43만 명, ‘그냥 쉬었음’이 약 50만 명으로 그냥 쉰다는 ‘쉬었음’ 인구가 큰 폭으로 늘어났다. ‘쉬었음’ 인구는 취업자나 실업자가 아닌 ‘비경제활동인구’로 분류하는 공식적인 용어로 일할 의사나 능력이 없거나, 있더라도 구직 활동을 하지 않는 사람들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정부가 추진하는 ‘일자리 첫걸음 보장제’는 크게 세 가지 유형의 청년(쉬었음 청년, 구직 청년, 일하는 청년)을 대상으로 맞춤형 지원을 제공하는데 자칫 일 안 해도 정부가 수당도 주고, 각종 지원도 해준다는 인식을 심어주는 것 아닌가 하는 우려가 크다. 청년 세대의 어려움은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지만, 최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