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3.09.24 (일)

  • 맑음동두천 15.0℃
  • 구름조금강릉 17.5℃
  • 맑음서울 18.8℃
  • 맑음대전 18.7℃
  • 맑음대구 16.6℃
  • 구름조금울산 20.4℃
  • 맑음광주 17.8℃
  • 구름조금부산 21.1℃
  • 구름조금고창 15.5℃
  • 구름많음제주 23.2℃
  • 구름조금강화 16.7℃
  • 구름조금보은 13.9℃
  • 구름조금금산 13.5℃
  • 구름많음강진군 16.3℃
  • 구름조금경주시 16.8℃
  • 구름많음거제 21.1℃
기상청 제공

건강수기

【민경윤 건강수기】 간암 발병 후 치료와 관리방법 ②

URL복사

 

[시사뉴스 민경윤 칼럼니스트] 간암 치료 후 관리방법은 연 2회 이상 반드시 MRI를 찍어 보아야 한다. 2019년 개정된 MRI 급여기준도 연 2회 2년간 해주는 이유이다. CT로는 2센치이하 재발되는 간암은 발견할 수가 없다.


재발하는 간암은 어쩔 수 없으나 조기 발견하면 다시 근치적 치료를 할 수 있다. 간암 치료 후에는 필히 항바이러스제를 복용하여야 한다. 항바이러스제를 복용하면 50% 재발률이 줄어든다. HBV DNA바이러스가 검출되면 급여처방이 가능하다.

 

2018년 개정 간학회 만성B형 간염진료가이드라인에는 HBV DNA바이러스가 검출이 안 되어도 예방차원에서 복용을 권장(B1)하는데 아직 급여로 되지 않고 있다. 간혹 간암 발병 후 간외과로 직접 가서 수술 후 처방을 못 받는 경우가 있다.


이런 경우 항바이러스제 처방을 요청해야 한다. 항바이러스제 복용이 오래 될수록 간암 재발률이 적다. 개정 만성B형 간염진료가이드라인에는 간이식후에도 항바이러스제를 예방차원에서 복용하도록 되어 있다. B형 간염 재발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간경변 개선을 위해서라도 항바이러스제 복용을 권하고 싶고 부산 벡스코 간학회 세미나에서도 항바이러스제가 간성상세포생성을 억제하여 간섬유화, 간경변도 개선된다고 발표했다.


정기검진시 AFP, 피브카 간종양 수치변화를 반드시 알고 있고 체크해야 한다. 정상치 이내에서라도 의미 있는 수치가 증가 했으면 간 MRI 찍고 이상이 없으면 폐 CT찍고 여기서도 이상이 없으면 뼈 스캔 검사까지 해 봐야 한다. 환자 중에 이렇게 검사해서 뼈전이가 발견 된 분도 있다.​


간암 치료 후 1년이내 재발이 가장 많은데 이때 재발되는 것은 초기 간암 주변에 이미 존재해 있던 것이 발병한 것이다.


간암치료 후에는 주변에 존재해 있던 잔존암이 활성화 되어 재발하는 것이다. 절제수술이 재발률이 적은 이유는 간암 주변도 어느 정도 같이 절제하여서 그런 것이다.


고주파나 색전술 양성자치료 하신 분들은 특히 일년동안은 MRI를 3회 정도 찍어 보실 필요가 있다. 2년 이후부터 재발하는 것은 간의 다른 부위에서 재발의 경우가 많다.


다시 한번 말씀 드리면 간암 치료 후 조기 재발 간암발견을 위해 필히 MRI를 찍어야 하고 MRI 급여 조건도 간암 치료 후 2년간 연 2회 그 후는 연 1회는 급여로 된다. 그리고 주치의가 필요하면 횟수에 관계 없이 가능하다.


CT로는 절대 조기 발견을 할 수 없다. 주치의가 안찍어 주면 건강보험에서 정한 횟수라도 찍어 달라고 요청해야 한다.


육류도 꾸준히 먹어야 한다. 육류를 먹을 때는 기름을 제거한 수육으로 먹는 것이 좋다. 간암 재발률을 줄이는 식품으로 간학회 진료가이드라인에도 나와 있는 커피가 있다.


커피의 성분중에 클로로겐산은 항암 항염효과가 있고 카와웰은 간성상세포 생성을 억제하여 간경변을 개선시키고 카페스톨은 신생혈관 생성을 억제하여 재발을 방지한다.


간에 좋은 커피는 아라비카원두를 라이트 로스팅하여 필터를 쓰지 말고 크레마를 같이 마셔야 가장 좋은 것이다.


​마지막으로 똑똑한 환우가 되어야 한다. 본인이 간의 어느 부위에 얼마나 큰 것을 어떻게 치료 했는지는 꼭 알고 있어야 한다.


수술 전 검사기록과 수술 후 검사기록을 영상판독 포함해서 핸드폰에 저장하여 항상 가지고 있어서 수시로 볼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본인이 스스로 관리 할 수 있어야 한다.


<똑똑한 투병 간을 살린다>라는 책을 쓴 이유이다.

 

[편집자 주 : 외부 칼럼은 본지의 편집 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민주당, 26일 오후 2시 새 원내대표 선출…"추석 연휴 전 뽑아 공백 최소화"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더불어민주당은 앞서 박광온 원내대표 및 원내지도부가 이재명 대표의 체포동의안 가결에 따른 책임으로 사퇴하면서 당은 오는 26일 새 원내대표를 선출한다. 민주당은 22일 추석연휴 전 인원내 지도부 공백을 최소화하기로 방침을 정했다. 정청래 최고위원은 이날 오전 당 최고위원회의에서 "후임 원내대표는 가장 빠른 시일 안에 가급적 추석 연휴 전에 선출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지도부 공백은 최단 시간에 최소화하고 당의 정무직 당직자도 조속히 안정적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이재명 대표와 의논해 빨리 결정하도록 하겠다"고 전했다. 앞서 박광온 원내대표를 비롯한 원내지도부는 전날 밤 이 대표의 체포동의안 가결에 따른 책임을 지고자 사퇴한 바 있다. 이후 최고위는 '원내대표 선거관리위원회 설치 및 구성의 건'을 당무위원회에 부의했고, 이날 오후 2시 열린 당무위에서는 선관위 구성을 의결했다. 선관위원장에는 변재일 의원이 이름을 올렸다. 간사는 송옥주 의원이, 위원은 최기상·한준호·홍정민 의원 등이 맡는다. 같은 날 선관위는 회의를 열고 오는 26일 오후 2시에 선거를 진행하기로 확정했다. 곧 선거공고가 나오게 되며, 오는 24일 오후 6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5개월만에 또 다시 등장한 ‘엄석대’ 논란
지난 3월 국민의힘 3·8 전당대회를 앞두고 이준석 전 대표가 윤석열 대통령을 이문열 소설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의 주인공인 독재자 엄석대로 빗댄데 이어 5개월만에 또 다시 국민의힘 의원들과 내각 일부장관들이 대통령을 엄석대로 만들고 있다는 비판이 제기돼 관심을 끌고 있다. 자유한국당(국민의힘 전신) 비상대책위원장을 지낸 김병준 한국경제인협회 상임고문은 지난달 28일 ‘2023 국민의힘 국회의원 연찬회’ 특강에서 “국민의힘 의원들과 정부부처가 윤석열 대통령의 의중, 즉 ‘윤심(尹心)’만 따라가는 모습을 국민에게 보여 주니까 ‘대통령이 엄석대다, 아니다’라는 말이 나온다”며 “대통령의 철학이나 국정운영 기조를 제대로 알고 이심전심으로 당과 용산이 혼연일체가 되고 일심동체가 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강연의 요지는 윤 대통령은 엄석대를 쫓아내며 학급에 자유를 되찾게 한 김 선생님에 가까운데 일부 여당과 정부부처 장관들이 ‘윤심’을 지나치게 확대해석하거나 맹목적으로 따르다보니 대통령이 엄석대 소리를 듣게 된다는 것이다. 김 상임고문의 지적은 요즘 일어나고 있는 홍범도 장군 흉상 이전문제나 정율성 역사공원 논란, 잼버리대회 전후 여성가족부장관의 부적절한 처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