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3.03.20 (월)

  • 맑음동두천 13.5℃
  • 맑음강릉 18.1℃
  • 구름많음서울 13.9℃
  • 구름많음대전 15.2℃
  • 구름많음대구 18.2℃
  • 구름많음울산 15.1℃
  • 흐림광주 15.5℃
  • 구름많음부산 14.2℃
  • 구름많음고창 10.3℃
  • 흐림제주 14.6℃
  • 구름많음강화 9.0℃
  • 구름많음보은 16.3℃
  • 구름많음금산 14.3℃
  • 구름많음강진군 14.0℃
  • 구름많음경주시 16.7℃
  • 구름많음거제 13.6℃
기상청 제공

지역네트워크

(재)김해문화재단 클레이아크김해미술관, '시시각각;잊다있다' 展 연계 공공프로젝트 '미술관 밖으로' 성료

URL복사

 

[시사뉴스 정윤철 기자] 김해문화재단 클레이아크김해미술관은 뉴미디어아트 교육체험전 '시시각각;잊다있다'展 오픈에 앞서 공공프로젝트 '미술관 밖으로' 프로그램을 성공적으로 마쳤다고 밝혔다.

 

뉴미디어아트 교육체험전 '시시각각;잊다있다'展은 시각 위주의 정형화된 틀에서 벗어나 빛·소리·공기·냄새 등을 활용, 관람객이 경험하고 인지한 각기 다른 정보를 덧붙여 전시 안에서 또 다른 작품을 만들어내는 특별한 전시다.

 

미술관은 본 전시에 앞서 지난 3월 25일 코로나 팬데믹 상황에 지친 시민들을 위로하고자 찾아가는 미술관 프로젝트 '미술관 밖으로'를 추진했다. 전시에 사용되는 ‘보이지 않는 조각’ 1점, 점토, 이동식 좌대, 카트를 활용한 야외형 퍼포먼스를 펼쳤다.

 

장소는 최근 문화도시에 선정된 가야왕도 김해를 대표하는 연지공원·수릉원·한옥체험관 일대에서 진행됐다. 현장에서 만난 50여 명의 시민들은 연신 감탄하며 작품에 빠져들었다. 눈으로는 볼 수 없지만 다양한 감각으로 느낄 수 있는 작품에 큰 흥미를 느끼며 전시관을 찾겠다는 약속과 함께 작가를 향해 박수를 보냈다.

 

프로젝트를 진행한 송예슬 작가는 “현장에서 만나 뵙게 된 관람객들의 관심과 칭찬 덕분에 전시 막바지 작업을 더욱 열정적으로 할 수 있을 것 같다”라고 전했다.

 

한편 클레이아크김해미술관 큐빅하우스 4갤러리에서 전시될 뉴미디어아트 교육체험전 '시시각각;잊다있다'는 오는 4월 2일부터 8월 29일까지 진행될 예정이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news@kakao.com




배너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대통령실, '주 69시간' 논란에 "윤 대통령 '주 60시간' 가이드라인 아닌 정책 보완 과정"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대통령실은 '근로시간 개편안' 논란이 좀처럼 수그러들지 않자 '최대 주 69시간 근로'라는 제도는 존재하지 않으며 윤석열 대통령이 '주60시간 이상은 무리'라고 한 언급도 가이드라인이 아닌, 정책 보완 과정에 있다고 강조했다.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20일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취재진과 만나 "윤 대통령이 주 60시간은 무리라고 말한 건 그렇게 일하는 자체가 힘들지 않겠냐는 개인적 생각에서 말씀하신 것이지 논의의 가이드라인을 주시고자 하는 의도가 아니었다"고 설명했다. 이어 "대통령 말씀을 유추해보면 의견 수렴을 해보면 60시간이 아니고 그 이상 나올 수도 있고, 캡(상한)이 적절치 않다면 대통령도 고집할 이유가 없다고 본다"고 했다. 또 "대통령이 60시간 상한 캡을 언급했다해서 논의가 60시간 이하, 59시간으로 갈 것이라고 예단할 필요는 없다"며 "장시간 근로에 대한 어려움을 충분히 이해하고 여러 방면에서 의견을 듣고 여론조사 등을 통해 정확히 개편안에 반영하란 뜻"이라고 거듭 강조했다. 또다른 대통령실 관계자도 "'주62시간 근로'라는 제도는 존재하지 않는다. '근로시간 유연화'다"라며 "노동 약자를 위해 입법을 시도한건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국가산단조성사업에 인재양성 계획은 없나…부처간 엇박자 눈에 보여
정부는 지난 15일 경기도 용인에 세계 최대 반도체 클러스터를 조성하는 등 전국에 15개 국가첨단산업단지를 새롭게 지정해 반도체·미래차·우주산업 등을 집중 육성한다고 발표했다. 이는 정부가 국가경쟁력 제고를 위해 5대 핵심분야 22개 신기술을 집중 육성키로 한 국정과제 수행의 일환으로 이번 국가산단 지정은 역대 정부에서 지정한 산단 중 최대 규모다. 정부의 계획에 따르면 2026년까지 550조원 규모의 민간투자를 유치해 총 1천200만평(4천76만㎡)규모 부지에 반도체(340조원), 디스플레이(62조원), 이차전지(39조원), 바이오(13조원), 미래차(95조원), 로봇(1조7천억원) 등 6대 국가첨단산업벨트를 조성한다는 것이다. 경기권에서는 용인 일대, 충청권에서는 대전·천안·청주·홍성이, 호남권에선 광주, 고흥, 익산, 완주, 경남권에서는 창원, 대구·경북권은 대구, 안동, 경주, 울진, 강원권에서는 강릉에 각 분야별 국가산단을 조성키로 했다. 기존 국가산단은 중앙정부 주도로 입지를 선정하고 개발했지만, 이번에는 지역에서 특화산업과 연계해 후보지를 제안한 게 특징이다. 산단 지정을 발표한 원희룡 국토부 장관은 “지방과 기업의 제안을 바탕으로 정부는 민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