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4.29 (화)

  • 맑음동두천 18.5℃
  • 맑음강릉 17.5℃
  • 맑음서울 19.0℃
  • 맑음대전 20.2℃
  • 맑음대구 23.5℃
  • 맑음울산 15.7℃
  • 맑음광주 21.6℃
  • 맑음부산 14.7℃
  • 맑음고창 17.2℃
  • 맑음제주 17.7℃
  • 맑음강화 13.7℃
  • 맑음보은 20.2℃
  • 맑음금산 19.5℃
  • 맑음강진군 17.8℃
  • 맑음경주시 18.4℃
  • 구름조금거제 14.5℃
기상청 제공

문화

[서평] 이광재 그리고 <노무현이 옳았다>

URL복사

 

“나를 역사 발전의 도구로 써주세요” 강조

미처 만들지 못한 나라, 국민의 나라  ‘화두’

 

[ 시사뉴스 김영욱 기자 ] “ ‘나는 정치를 잘 모릅니다. 나를 역사 발전의 도구로 써주세요.’ 1988년 4월 노무현 대통령이 첫 만남에서 나에게 한말이다. 당시 마흔둘의 나이로 정치에 첫발을 내디딘 노무현 국회의원 당선자는 스무 살 가량 아래인 나에게 당신을 역사 발전의 도구로 써달라고 부탁했다. 당시 나는 ‘역사 발전의 도구로 써달라’는 말에 담긴 깊은 뜻을 온전히 이해할 순 없었다. 다만, 그때는 이 사람은 최소한 정치를 권력 확보의 도구가 아닌 사회를 변화시키고 역사를 발전시키는 유용한 방법으로 생각하고 있다는 확신이 들었다. 그래서 선뜻 그의 손을 잡았고, 오래도록 함게 일했다.” -서장, 내일의 문턱에 서서. 중에서

 

여전히 많은 국민이 잊지 못하는 대통령이 있다. 노무현 고(故) 전 대통령이다. 권위주의를 타파하고 자신이 속한 정당이 아닌 국민을 바라본 노 대통령은 대한민국 정치사에서 이례적인 인물이었다.

 

대표적 친노(盧) 인사로 꼽히는 이광재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최근 <노무현이 옳았다>(이광재 지음·포르체·248쪽)를 출간했다.

 

이 의원은 노 전 대통령 최측근으로 한때 안희정 전 충남지사와 함께 ‘좌희정·우광재’로 불렸다.

 

이 의원은 이 책에서 ‘노무현이 새로운 시대를 열기 위해 던진 질문’을 돌아보며 그가 그리던 이상과 꿈을 다시 조명했다. ‘옳다, 그르다’의 이분법적 평가가 아닌 새로운 시대를 열기 위해 던진 그의 근본적 질문들이 옳았다고 말한다.

 

<노무현은 옳았다>에는 노 전 대통령이 한국사회에 던졌던 비전을 구현할 방법들이 담겼져 있다.

 

특히 이 의원은 책에서 분열의 시대를 마감하기 위한 협치와 연정를 강조한다. “분열된 땅 위에 집을 지을 수 없다”고 했던 노 전 대통령의 발언에 주목하며 선거 전 공통 공약 입법화, 국회 입법 청원 플랫폼 등을 제안한다.

 

<노무현이 옳았다>는 ▲협치·연정을 통해 분열의 시대를 마감하는 정치 ▲기술경쟁에서 승자가 되는 길 ▲교육 ▲동북아 균형자로 가는길 ▲균형발전의 길 ▲더 행복하게 사는 법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이 의원이 가진 정책 대안을 제시하고 있다.

 

이 의원은 노 전 대통령을 생각하며 국가 재설계를 위해 필요한 정책 디자인을 쉽게 풀어쓴 책이라고 소개했다. 특히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팬데믹 이후 한국사회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담았다고 설명했다.

 

이 의원은 “노 대통령과 나는 오랫동안 꿈꾸던 것이 있었다”며 “분열의 역사, 변방의 역사를 끝내고 통합의 나라, 세계인이 사랑하고 존경하는 나라를 만드는 데 기여하고 싶다”고 강조했다.

 

이 의원은 또 “책을 통해 단순한 GDP 성장보다 ‘삶의 질 1등 국가, 건강한 공동체, 강인한 국가’를 향해 함께 나아가야 한다는 미래 국가 비전을 제시하고 있다”며 “분열의 역사, 변방의 역사를 끝내고 ‘통합의 나라, 세계인이 사랑하는 삶의 질 1등 국가’를 만드는 일에 기여하고 싶다”고 말했다.

 

이 의원은 강원도지사를 역임했으며 현재 당내 미래전환K뉴딜위원회 총괄본부장을 맡고 있다. 최근 친문 인사들을 주축으로 발족한 싱크탱크 ‘민주주의 4.0연구원’에 함께 이름을 올리는 등 차기 대권 주자 중 한 명으로 거론되고 있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김형재 시의원, “서울시 홍보대사의 ‘무제한 연임’ 관행 사라진다”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서울특별시의회 김형재 의원(국민의힘·강남2)이 서울시 홍보대사의 무분별한 연임 관행을 방지하기 위해 대표발의한 「서울특별시 홍보대사 운영에 관한 조례 일부개정조례안」이 지난 25일 개최된 제330회 서울시의회 임시회 2차 본회의에서 최종 가결됐다. 그동안 서울시는 시정의 효율적인 홍보와 시 이미지 제고를 위한 차원에서 홍보대사를 무보수 명예직으로 위촉하여 운영해 왔다. 최근 5년간 위촉된 홍보대사만 해도 52명에 달한다. 현행 조례상 홍보대사의 임기는 2년이다. 그러나 연임 횟수에 대한 제한은 따로 없기 때문에 특정인이 장기간 홍보대사로 활동하는 경우가 적지 않았고, 이에 따라 서울시 홍보대사직이 관행적으로 연임될 우려가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어 왔다. 김 의원이 대표발의한 이번 개정안이 서울시의회 본회의에서 가결됨에 따라 앞으로 서울시 홍보대사는 초임 2년을 포함해 최대 6년까지만 활동할 수 있게 됐다. 단 현 임기 중 시정홍보에 탁월한 업적을 인정받는 경우에 한해 추가 연임을 허용하는 예외 규정을 추가했다. 김형재 의원은 “그동안 서울시는 시정홍보와 시 이미지 제고를 위해 홍보대사를 위촉·운영해 왔지만, 최근 5개년간 위촉된 52명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