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낙연 "충청권 발전은 대한민국 성장에 기여할 것"
김종민 "분권발전은 대한민국의 새로운 발전전략"
양향자 "충청은 K뉴딜 축소판…충남은 수소 도시로"
[ 시사뉴스 김영욱 기자 ] 더불어민주당이 11일 충청 지역을 찾은 자리에서 여의도 국회를 세종시로 완전 이전하겠다고 밝혔다.
이날 오전 충북 괴산군청에서 열린 충청권 현장 최고위원회의에서 이낙연 대표는 "충청은 대한민국 균형발전의 핵심"이라며 "전국을 잇는 교통망의 중심이자 환황해권 경제·물류의 허브다. 그런 특성을 살리며 계속 발전해야 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국가균형발전과 서울의 매력적인 미래를 위해 서울은 중장기적으로 동아시아의 경제·금융·문화 중심으로 발전시키고 세종에는 국회의 완전 이전을 목표로 하는 단계적 이전을 추진하겠다"라며 "그 구체적인 안을 곧 국민 앞에 상세히 제시하겠다"고 했다.
중소벤처기업부를 대전에서 세종으로 이전하는 문제에 대해서는 "대전시민의 의견을 경청하며 신중히 결정하겠다"며 "대전시민의 의견을 무시하며 이전을 일방적으로 강행하는 일은 없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또 "충청권 광역철도망 구축을 지원하겠다"며 "대전의료원, 국립중앙의료원 세종분원 설치 등을 돕겠다"고 했다. 이 대표는 "충청권 각지에 혁신성장의 부문별 전초기지를 구축할 것"이라며 "대덕특구를 글로벌 혁신 클러스터로 키우고, 오송을 보건의약산업 중심으로 더욱 발전시키겠다"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세종은 국가균형발전의 상징이다. 대전 대덕의 기초과학연구단지, 충북의 바이오헬스단지, 충남의 태양광발전단지 등은 혁신성장의 엔진"이라며 "충청권의 발전은 대한민국 균형발전과 혁신성장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종민 최고위원은 "충청권 전체가 공동으로 발전할 비전이 필요하다"라며 "충청권 메가시티를 시작할 때가 됐다"고 밝혔다.
그는 "지난 수십년 동안은 광역시와 광역도로 각개약진해왔지만 이제는 광역구조로는 자치 발전에 한계가 있다"며 "부·울·경도 메가시티를 적극 추진하고 대구·경북과 광주·전남은 아예 행정통합을 하겠다고 선언했다. 이제 분권 발전은 대한민국의 새로운 발전전략"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광역시도 규모로는 중앙정부의 권한을 나눠받는 데 한계가 있다"라며 "(충청권이) 500만명 이상의 독자적 경제공동체를 만들어야 협상력을 만들 수 있다"고 강조했다.
양향자 최고위원은 "충청은 한국판 뉴딜의 축소판이다. 디지털·그린·안전망·지역균형이 모두 고르게 추진되는 곳이다"라며 "충남은 수소 도시로, 충북은 스마트 의료의 메카로 재탄생할 것이다. 대전 대덕특구는 디지털 뉴딜의 혁신 성장 엔진으로, 행정도시 세종은 데이터 수도로 만들겠다"고 말했다.
홍영표 의원은 "앞으로 충청권은 한반도 성장의 원동력이 될 거라고 믿는다"라며 "지방자치법 개정안이 이번 국회에서 통과돼 자치분권과 지역발전을 위한 새로운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