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관석, '5년간 시중 8개 카드사 포인트 현황’ 자료 발표
카드 실적보상…"포인트 최소화 카드사·금융당국 고민해야"
[시사뉴스 김영욱 기자] 카드사 소멸 처리 포인트가 연간 1천억 원 대를 기록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정무위원회 위원장인 더불어민주당 윤관석 의원은 금융감독원에 의뢰한 '최근 5년간 시중 8개 전업카드사 포인트 현황'을 2일 발표했다.
이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카드사 발생 포인트는 3조 2천3십9억3천9백만 원, 사용 포인트는 2조 9천9백2십6억3백만 원, 소멸 포인트는 1천17억1백만 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누적 잔액은 2조 2백6십1억5천5백만 원(2020년 6월 말 기준 2조 7백4십7억 7천1백만 원)으로, 2015년 이후 계속 늘어났다.
회사별로 살펴보면, 2015년부터 2019년까지 포인트 총잔액이 감소한 회사는 8개 카드사 중 롯데, 신한, 현대 3개 사였으며, 포인트 소멸액이 감소한 회사는 롯데, 신한, 삼성, 현대 4개 사였다. 4년 연속으로 총잔액 또는 소멸액이 순증 또는 순감한 회사는 없었다.
카드 포인트 소멸액이 가장 적은 회사는 롯데카드사로, 2019년 말 기준 4십7억 6천2백만 원, 2020년 6월 말 기준 2십3억1천4백만 원이었으며, 가장 많은 회사는 현대카드사로, 2019년 말 기준 2백5십2억2천4백만 원, 2020년 6월 말 기준 1백9억5천9백만 원이었다.
카드 포인트 발생액이 가장 적은 회사는 BC카드사로, 2019년 말 기준 3백5억5천1백만 원, 2020년 6월말 기준 1백3십9억6천7백만 원이었으며, 가장 많은 회사는 신한카드사로, 2019년 말 기준 6천9백6십1억7천6백만 원, 2020년 6월 말 기준으로는 3천3백8십7억2천2백만 원이었다.
2020년 6월 말 기준, 발생 포인트 대비 소멸 포인트 비중이 가장 높은 회사는 BC카드사로 23.6%였으며, 가장 낮은 회사는 KB국민카드로 2.2%였다.
윤 위원장은 "카드 이용이 국민적으로 보편화 되고 포인트의 현금화도 쉬워지면서 이를 활용한 다양한 할인 및 금융서비스도 출시되고 있으나, 여전히 적지 않은 포인트가 아깝게 소멸되고 있는 실정"이라고 말했다.
윤 위원장은 "카드포인트는 소비자들의 카드 사용 실적에 따른 보상으로 부여되는 만큼, 소멸포인트를 줄여 소비자 혜택을 극대화 할 수 있는 방안을 카드사와 금융당국 모두 더 고민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