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4.23 (수)

  • 구름조금동두천 9.8℃
  • 흐림강릉 9.4℃
  • 구름조금서울 11.4℃
  • 흐림대전 13.9℃
  • 구름많음대구 13.6℃
  • 구름조금울산 11.0℃
  • 박무광주 15.2℃
  • 구름많음부산 13.4℃
  • 구름조금고창 11.7℃
  • 흐림제주 13.6℃
  • 구름조금강화 12.3℃
  • 흐림보은 13.4℃
  • 흐림금산 15.3℃
  • 구름많음강진군 14.9℃
  • 흐림경주시 11.6℃
  • 흐림거제 13.5℃
기상청 제공

정치

日슈칸겐다이 "김정은, 스텐트시술 늦어 '식물인간'상태"

URL복사

중국 의료진 못 기다리고 북한 의사 시술받아
김 위원장 스텐트시술 받았으나 처치 지연돼



[시사뉴스 홍정원 기자] 일본의 한 매체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스텐트 시술이 늦어져 '식물인간 상태'에 빠졌다고 전했다. 


건강이상설, 중태설(위독설), 사망설 등 각종 '유고설'에 휩싸인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최근 지방시찰 도중 쓰러져 스텐트 시술을 받았으나 처치가 지연돼 '식물인간' 상태에 빠졌다고 일본 주간지 슈칸겐다이((週刊現代)가 25일 보도했다.

중국 의료 소식통을 인용 보도한 슈칸겐다이는 중국 의료진이 북한으로 급파됐으나 김 위원장을 구하진 못했다고 했다. 

이 중국 의료 소식통에 따르면 김 위원장이 지방 시찰을 갔다가 갑자기 심장에 손을 대고 통증을 호소하며 쓰러졌고 당시 김 위원장을 수행하던 의료진은 심장마시지를 하면서 병원 응급실로 이송했다고 한다. 

김정은 수행 의료진은 곧바로 중국에 "빨리 전문 의료진을 파견해 달라"고 긴급 요청했다며 슈칸겐다이가 중국 의료진 소식통을 인용해 보도했다. 

또 이 매체에 따르면 중국이 푸와이병원 국가심혈관센터와 인민해방군 301병원 전문의들을 중심으로 50명의 의료진단을 구성해 평양에 급파했지만 이들의 도착을 기다릴 시간이 없다고 판단한 북한 의료진은 심장 스텐트(막힌 피를 뚫어주는) 시술을 실시했다.

시술한 의사는 중국에서 연수한 심장외과의였으며 긴장해 손을 떤데가 김 위원장 같은 비만환자를 치료한 경험이 없어 스텐트 삽입에 8분이나 소요됐다. 결국 김 위원장 뇌에 피가 공급되지 않아 식물인간이 됐다는 것이다.

관련 기사를 쓴 슈칸겐다이 곤도 다이스케 편집위원은 "믿기지 않는 이야기"라면서 "중국 의료 관계자의 말이 사실이라면 북한 최고통치자의 정치적 생명이 끝나게 됐다"고 밝혔다.

앞서 로이터 통신도 25일(현지시간) "중국당국이 의료진으로 방문단을 구성해 23일 베이징을 출발해 북한에 갔다"며 "이를 공산당 대외연락부 소속 고위 관계자가 인솔했다"고 전했다. 

로이터 통신은 관련 사정에 밝은 소식통 3명의 말을 인용해 보도했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서울 봉천동 아파트 화재 7명 사상, 방화 용의자는 현장서 사망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서울 관악구 봉천동에서 21일 오전 발생한 화재로 인하여 1명이 사망하고 6명이 중·경상을 입었다. 화재를 낸 것으로 추정되는 방화 용의자는 현장 사망자와 동일인인 것으로 확인됐다. 서울경찰청에 따르면 이날 봉천동에서 발생한 방화 용의자는 60대 남성으로 복도에서 발견된 소사체와 동일인이다. 서울경찰청 관계자는 "불에 탄 변사체의 지문을 확인해본 결과 방화 용의자로 추정하던 사람과 동일인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방화 용의자는 인화물질 액체를 담을 수 있는 토치 형태의 도구로 아파트에 불을 지른 것으로 확인됐다. 아파트 인근에서는 해당 도구로 불을 지르는 모습이 포착되기도 했다. 방화 전에는 본인이 거주하던 주거지에 유서를 남겼다. 현장에 남겨진 유서에는 "엄마 미안하다"는 내용과 함께 딸에게는 "할머니 잘 모셔라"는 내용을 남겼다. 아울러 "이 돈은 병원비하라"며 유서와 함께 현금 5만원을 놓아뒀다. 한편 소방당국은 이날 오전 8시17분께 봉천동 소재 21층 규모의 아파트 4층에서 화재가 발생했다는 신고를 접수하고 출동했다. 화재 연속 확대와 인명 피해 우려에 8시30분 대응 1단계를 발령했으며, 소방 인원 153대와 소방차 45대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SH, '서울주택도시공사'에서 '서울주택도시개발공사'로 사명 변경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서울주택도시공사(SH공사)가 '서울주택도시개발공사'로 사명을 변경하면서 재탄생한다. 22일 서울시의회에 따르면 김현기 시의원이 지난달 25일 발의한 '서울특별시 서울주택도시공사 설립 및 운영에 관한 조례 일부개정안'이 전날 주택공간위원회에서 원안가결됐다. 조례안의 주요 내용은 현재의 '서울주택도시공사' 명칭에 '개발'을 추가해 '서울주택도시개발공사'로 변경하고 설립목적도 주택건설을 통한 주거생활 안정에서 탈피, 도시의 개발·정비사업을 통한 '지역경제 발전 및 지역개발 활성화'로 대폭 확대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기관 명칭을 '서울주택도시공사'에서 '서울주택도시개발공사'로 변경하는 한편 ▲목적에 '택지의 개발과 공급'을 '도시의 개발·정비, 토지의 개발과 공급'으로 변경하고 ▲'시민의 주거생활안정과 복지향상' 뿐만 아니라 '시민복리 증진과 주거생활안정에 이바지하고 지역경제 발전 및 지역개발 활성화'한다는 등의 내용을 조례안에 명시했다. 기관명칭에 '개발'을 추가하려는 것은 최근 서울시의 가용지가 고갈돼 주택건설 수요가 점차 줄어드는 반면, 노후계획도시의 정비, 도심지 성장거점 조성 및 신속한 주택공급 등을 위한 새로운 제도가 도입되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