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4.22 (화)

  • 흐림동두천 16.0℃
  • 흐림강릉 11.7℃
  • 흐림서울 17.9℃
  • 대전 17.5℃
  • 대구 17.5℃
  • 울산 15.7℃
  • 흐림광주 18.5℃
  • 부산 16.1℃
  • 구름많음고창 17.3℃
  • 구름많음제주 18.2℃
  • 맑음강화 17.7℃
  • 흐림보은 16.8℃
  • 흐림금산 17.1℃
  • 구름많음강진군 17.1℃
  • 흐림경주시 17.7℃
  • 흐림거제 17.3℃
기상청 제공

박성태 직론직설

[박성태 칼럼] 대통령이 당부한 상상력, 어떻게 키울 것인가

URL복사


[배재대학교 박성태 부총장] 지난달 30일 역사적인 북미 정상 간의 회동을 두고 국내외 주요 언론들은 실시간으로 실황중계까지 하며 대서특필했다. 이어 국내 언론들은 문재인 대통령의 지난2일 청와대에서 주재한 국무회의에서의 발언 내용을 일제히 보도했다.
 
이들 보도에 따르면 문대통령은 지난달 30일 북미 정상 간 판문점 회동에 대해 “세계를 감동시킨 북미 정상 간 판문점 회동은 트럼프 대통령의 SNS를 통한 파격적 제안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과감한 호응으로 이뤄졌다”며 “그 파격적 제안과 과감한 호응은 상식을 뛰어넘는 놀라운 상상력의 산물”이라고 평가했다.
 
문 대통령은 “문화예술이나 과학기술 분야뿐 아니라 중대 국면 해결을 위해서는 상식을 뛰어넘는 상상력이 필요하다”며 “정부 각 부처에서도 우리 경제와 민생의 어려움을 타개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는데 열심히 하는 것을 넘어 과감한 정책적 상상력을 좀 더 풍부하게 발휘 해달라"고 당부했다고 보도했다.

역사적인 북미 정상 간의 판문점 회동과 상상력을 강조한 문대통령의 발언을 지켜보면서 드는 생각은 그러한 상상력은 어디에서 나오는 것일까? 상상력은 발휘하고자 해서 발휘되는 것일까? 하는 의문이 들었다. 

감히 말하건대 상상력의 발휘는 어느 날 갑자기 툭 튀어나오는 것이 아니다. 발휘하고 싶다고 발휘되는 것도 아니다. 평소에 엄청난 노력과 훈련의 결과이지 마음먹는다고 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강조하고 싶다.

불과 27세에  세계적인 디자인 전문대학인 미국의 파슨스디자인스쿨의 교수가 된 배상민 카이스트 교수는 어릴 때부터 지금까지 다이어리(일기)를 쓰고 있다며 몇 십 권에 달하는 너덜너덜한 일기장을 어느 강의에서 공개했다.
 
그는 어떤 아이디어가 떠오를 때, 어떤 기억에 남을 만한 사건이 있었을 때, 그 사건의 실체와 원인과 앞으로의 상황 등에 대해 모두 정리하고 기록해 두었다.
 
그리고 그 사건에 대해 계속 생각해 자신의 뇌와 일기에 차곡차곡 쌓아두었다고 한다. 배 교수가 파슨스디자인스쿨 교수 재직 때부터 카이스트로 자리를 옮긴 이후 지금까지 ‘레드 닷 디자인어워드’ 대상을 비롯해 세계적인 디자인 어워드를 휩쓴 세계적인 산업 디자이너가 될 수 있었던 것은 바로 끊임없는 기록과 상상, 기억의 저장이었다.
 
배 교수는 “사람의 두뇌는 컴퓨터와 달라 단순 저장만 하는 것이 아니라 사건과 기억을 토대로 상상력을 발휘하게 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며 “평소에 많은 아이디어와 생각들을 정리해 놓아야 어떤 일의 트리거(방아쇠)역할을 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프랑스의 유명한 소설가이자 저널리스트인 베르나르 베르베르는 지난 6월30일 방영된 SBS 방송프로그램 집사부일체의 '상상력 스쿨'에 출연해서 '상상력 훈련법'을 얘기하며 "아이디어의 비법은 바로 명상"이라며 “명상을 통해 번뇌, 고민, 꾸준한 생각을 하게 되고 결국 이 생각을 숙성시켜 어느 날 갑자기 환하게 해결되는 멋진 아이디어를 도출해 내곤 한다”고 밝혔다.

이처럼 상상력이란 갑자기 하늘에서 뚝 떨어지듯이 한순간에 툭 튀어나오는 것이 아니라 수많은 훈련과 경험, 번뇌, 생각의 나래를 펼쳐서 뇌와 가슴속에서 숙성이 되어야 발휘가 가능한 것이다.

그러나 우리 교육시스템과 교육현장은 전혀 상상력 훈련과 발휘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 아니어서 안타깝기만 하다. 점수위주의 교육, 주입식교육, 아무 상상력 없이 시험과목 내용 달달 외워서 수능 1등급만 맞으면 소위 말하는 SKY대학에 입학하는 교육시스템으로는 대통령이 상상력의 나래를 펴라고 당부해본들 아무 소용이 없을 것 같다. 

지난 4일 청와대를 방문한 손정의 일본 소프트뱅크 회장이 “첫째도 둘째도 셋째도 인공지능(AI)”이라고 강조했는데 인공지능도 결국 상상력의 산물임을 잊지 말자.

정부 각 부처가, 전 국민이 상상력의 나래를 펼치기 위해서는 지금 당장 대한민국 교육시스템과 교육현장부터 바꾸어야 한다. 수업시간에 멍 때리고 있다고 지청구말자. 나름 상상력의 나래를 펼치고 있을지 모르니까.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서울 봉천동 아파트 화재 7명 사상, 방화 용의자는 현장서 사망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서울 관악구 봉천동에서 21일 오전 발생한 화재로 인하여 1명이 사망하고 6명이 중·경상을 입었다. 화재를 낸 것으로 추정되는 방화 용의자는 현장 사망자와 동일인인 것으로 확인됐다. 서울경찰청에 따르면 이날 봉천동에서 발생한 방화 용의자는 60대 남성으로 복도에서 발견된 소사체와 동일인이다. 서울경찰청 관계자는 "불에 탄 변사체의 지문을 확인해본 결과 방화 용의자로 추정하던 사람과 동일인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방화 용의자는 인화물질 액체를 담을 수 있는 토치 형태의 도구로 아파트에 불을 지른 것으로 확인됐다. 아파트 인근에서는 해당 도구로 불을 지르는 모습이 포착되기도 했다. 방화 전에는 본인이 거주하던 주거지에 유서를 남겼다. 현장에 남겨진 유서에는 "엄마 미안하다"는 내용과 함께 딸에게는 "할머니 잘 모셔라"는 내용을 남겼다. 아울러 "이 돈은 병원비하라"며 유서와 함께 현금 5만원을 놓아뒀다. 한편 소방당국은 이날 오전 8시17분께 봉천동 소재 21층 규모의 아파트 4층에서 화재가 발생했다는 신고를 접수하고 출동했다. 화재 연속 확대와 인명 피해 우려에 8시30분 대응 1단계를 발령했으며, 소방 인원 153대와 소방차 45대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SH, '서울주택도시공사'에서 '서울주택도시개발공사'로 사명 변경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서울주택도시공사(SH공사)가 '서울주택도시개발공사'로 사명을 변경하면서 재탄생한다. 22일 서울시의회에 따르면 김현기 시의원이 지난달 25일 발의한 '서울특별시 서울주택도시공사 설립 및 운영에 관한 조례 일부개정안'이 전날 주택공간위원회에서 원안가결됐다. 조례안의 주요 내용은 현재의 '서울주택도시공사' 명칭에 '개발'을 추가해 '서울주택도시개발공사'로 변경하고 설립목적도 주택건설을 통한 주거생활 안정에서 탈피, 도시의 개발·정비사업을 통한 '지역경제 발전 및 지역개발 활성화'로 대폭 확대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기관 명칭을 '서울주택도시공사'에서 '서울주택도시개발공사'로 변경하는 한편 ▲목적에 '택지의 개발과 공급'을 '도시의 개발·정비, 토지의 개발과 공급'으로 변경하고 ▲'시민의 주거생활안정과 복지향상' 뿐만 아니라 '시민복리 증진과 주거생활안정에 이바지하고 지역경제 발전 및 지역개발 활성화'한다는 등의 내용을 조례안에 명시했다. 기관명칭에 '개발'을 추가하려는 것은 최근 서울시의 가용지가 고갈돼 주택건설 수요가 점차 줄어드는 반면, 노후계획도시의 정비, 도심지 성장거점 조성 및 신속한 주택공급 등을 위한 새로운 제도가 도입되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