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뉴스 조아라 기자] 프랜차이즈 생과일주스 전문점에서 판매되는 생과일주스 한 컵의 평균 당류 함량이 하루 영양성분 기준치의 31.7%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각설탕 10개 분량에 해당된다.
소비자시민모임과 서울시는 지난 5월부터 6월까지 가맹점수가 많은 상위 브랜드 생과일주스 전문점 31개소를 대상으로 인기품목 5종(청포도, 딸기바나나, 키위, 딸기, 자몽주스) 102건을 수거해 서울시 보건환경연구원을 통해 당 함량을 조사했다. 이번 검사 결과, 생과일주스 기본 사이즈 한 컵(약 320㎖)의 평균 당류 함량은 하루 영양성분 기준치(100g)의 31.7%(31.7g)로 나타났다.
생과일주스 종류별 한 컵(기본 사이즈)의 평균 당류 함량은 △청포도주스(39.0g) △딸기바나나주스(36.7g) △키위주스(31.4g) △딸기주스(26.7g) △자몽주스(26.4g) 순으로, 청포도주스가 자몽주스보다 당류 함량이 1.5배 높았다. 생과일주스 한 컵을 마실 경우 섭취하는 당류 함량은 최소 7.0g(자몽주스 기본사이즈)에서 최대 111g(청포도주스 큰 사이즈)으로, 하루 당류 기준치를 111%까지 섭취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생과일주스는 과일에 얼음, 물 등을 넣고 갈아 과즙이 희석됐음에도 대부분 과일주스의 당류 함량이 과일 자체 당류함량보다 더 높았다. 판매 업소에서 주스의 단맛을 높이기 위해 설탕이나 액상과당, 인공감미료 등이 첨가된 시럽을 사용하기 때문이다.
천연과일(100g당)의 당류 함량은 △청포도 15.23g △바나나 14.63g △키위 6.73g △딸기 6.09g △자몽 4.2g이다. 반면 생과일주스(100g당)의 당류 함량은 △청포도주스 11.7g △딸기바나나주스 11g △키위주스 9.4g △딸기주스 8.0g △자몽주스 7.9g으로, 키위·딸기·자몽주스는 당류 함량이 천연과일보다 각각 2.67g, 1.91g, 3.7g 높았다.
또, 생과일주스의 인공감미료(아세설팜칼륨, 사카린나트륨, 아스파탐)를 검사한 결과에서는 주스 102건 중 △아세설팜칼륨 4건 △아스파탐 9건 △중복 2건(아세설팜칼륨·아스파탐)으로 총 11건에서 인공감미료가 검출됐다. 단, 음료 기준이 있는 아세설팜칼륨의 경우 기준치 이내였으며, 사카린나트륨은 모두 불검출됐다.
생과일주스 전문점 31개소를 대상으로 ‘당류 조절 표시’ 여부와 ‘주문 시 당류 조절이 가능한지’ 여부를 조사한 결과, 31개 매장 모두 주문 시 시럽 등 당류 조절이 가능했다. 그러나 당류 조절여부를 표시한 업소는 11개소(35.5%)에 불과해 소비자들이 생과일주스 주문 전 미리 시럽 등 당류를 조절할 수 있는지 여부를 알기 어려웠다.
소비자시민모임 관계자는 “소비자들은 생과일주스는 탄산음료 등 다른 음료보다 건강에 이로울 것이라 생각하고 마시지만, 한 컵으로도 하루 당류 기준치의 1/3 또는 그 이상의 당류를 섭취할 수 있어 과다 섭취에 주의해야 한다”며 “생과일주스 판매업소는 당류 조절 가능 표시를 통해 당도 조절이 가능함을 적극적으로 알려, 소비자가 건강한 음료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