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4.30 (수)

  •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대전 25.8℃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보은 25.4℃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사회

“노동환경 열악할수록 애 안 낳는다”

URL복사

서울여성가족재단 '서울시 저출산 현황과 발전방향' 보고서
출산여성 월소득 174.8만원…비출산여성보다 47.7만원↑

[시사뉴스 이상미 기자]고용이 안정적이고 육아휴직 등 일·가정 양립 정책이 보장되면 출산을 할 가능성이 높다는 실증적 분석 결과가 나왔다.

장진희 서울여성가족재단 연구위원은 21일 '서울시 저출산 현황과 발전방향' 보고서를 통해 이 같이 밝혔다.

서울시 합계출산율은 2000년 1.26명에서 점차 감소해 2005년 0.92명으로 최저점을 기록, 이후 고착화 상태에 접어들었다. 2014년 출산율은 0.98명으로 전국에서 가장 낮은 수준으로 유일하게 1.0명 이하의 출산율을 보였다.

연구진은 한국노동패널 2~15차 개인자료와 가구자료를 결합해 출산 여성과 비출산여성의 출산영향요인을 분석했다.

그 결과 여성의 고용안정과 일·가족양립이 출산 확률을 높이는 것으로 조사됐다.

서울 거주 여성의 출산 2년전 월평균 소득을 비교한 결과 출산여성은 174만8000원으로 비출산여성 127만1100원보다 47만7000원 많았다.

특히 출산여성의 80.4%는 상대적으로 고용이 안정된 상용직이었으나 비출산여성의 경우 57.8%에 불과했다.

육아휴직 등 일·가정 양립 제도 도입률도 차이가 컸다. 비출산여성은 30.6%만이 직장내 출산휴가제도가 마련돼 있다고 응답했고 육아휴직제도의 도입률은 22.3%에 불과했다. 출산여성은 해당사업의 도입률이 2배 이상 높았다.

기혼여성의 일·가정 양립과 더불어 가구 내 성평등한 돌봄인식도 부족했다. 통계청 사회조사에 의하면 서울시 여성의 78.6%는 여성이 가사를 주도적으로 해야 한다고 응답했다. 실제 서울시 기혼가구 중 91.9%는 여성이 육아를 분담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비싼 집값과 양육비 등 경제적 부담도 서울의 출산율을 떨어뜨리는 저해요인이었다. 임신·출산을 미루는 이유로 기혼남성의 60.0%, 기혼여성의 34.2%는 경제적 사정을 꼽았다.

장 연구위원은 "서울시 비출산여성은 주택마련의 어려움, 고용안정, 월평균 소득, 직장 내 일·가족 양립지

원제도 마련 여부 등 출산여성에 비해 열악한 노동환경에 직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핵심사업을 선정하고 이를 중앙 컨트롤타워를 통해 각 부서가 협조체계하에 움직일 수 있는 방안이 마련돼야 한다"고 말했다.

연구진은 이러한 결과를 22일 오전 9시30분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 기자회견장에서 열리는 '제9차 인구포럼'에서 발표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